네덜란드 속담
| 네덜란드 속담 | |
|---|---|
| Netherlandish Proverbs | |
| 작가 | 대 피터르 브뤼헐 |
| 연도 | 1559 |
| 매체 | 패널 유화 |
| 크기 | 163 x 117 cm |
| 위치 | 베를린 |
| 소장처 | 회화관 |
네덜란드 속담 (Netherlandish Proverbs, 네덜란드어: Nederlandse Spreekwoorden)은 플랑드르 속담(Flemish Proverbs), 파란 망토(The Blue Cloak) 또는 뒤바뀐 세상(he Folly of the World, The Topsy Turvy World)이라고도 불리는데, 1559년 대 피터르 브뤼헐이 그린 유화로, 사람과 동물, 사물로 네덜란드어 속담과 관용구를 묘사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브뤼헐의 그림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주제로, 이 작품에도 나타나는 것은 인간의 터무니없음, 사악함, 어리석음이다. 원래 제목인 파란 망토 또는 세상의 어리석음은 브뤼헐의 의도가 단순히 속담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어리석음을 나열하기 위함임을 나타낸다. 브뤼헐이 바보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던 특징적인 무표정한 얼굴로 사람들을 묘사한다.[1]
그의 아들 소 피터르 브뤼헐은 아버지의 작품을 모사하는 것을 전문으로 했으며, 네덜란드 속담의 사본을 최소 16점 그렸다.[2] 아버지 또는 아들이 그린 모든 그림이 정확히 동일한 속담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며, 다른 사소한 세부 사항에서도 차이가 있다. 대 브뤼헐의 원작은 베를린 회화관에 소장되어 있으며,[3] 사본들은 다른 여러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아래 참조).
역사
[편집]배경
[편집]속담은 브뤼헐 시대와 그 이전부터 매우 인기가 많았다. 브뤼헐의 그림이 그려지기 100년 전부터 속담 삽화는 플랑드르의 시도서에서 많이 나타난 소재이다.[4] 네덜란드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의 아다지아를 포함한 여러 속담집이 출판되었으며,[5] 프랑스 작가 프랑수아 라블레는 1564년에 완성된 그의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서 상당수의 속담을 사용했다.[6]
1558년경 플랑드르 예술가 프란스 호헨베르흐는, 브뤼헐의 그림과 거의 같은 시기에 43개의 속담을 묘사한 인그레이빙 판화를 제작했다.[7][8] 이 작품은 브뤼헐의 그림과 구성이 매우 유사하며, 네덜란드 속담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정 속담(예: 간통한 여자가 남편의 눈에 띄지 않게 뒤집어 쓴다는 뜻의 "파란 망토")을 포함한다.[8] 두 예술가 모두 농촌을 배경으로 속담을 문자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뒤바뀐 세상"을 보여주었다.[8]
브뤼헐 자신도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1556)와 <12개의 속담> (1558)을 포함하여 속담을 주제로 한 여러 작품(주로 판화와 드로잉)을 제작했지만, 네덜란드 속담은 이 주제에 대한 그의 첫 번째 대형 유화로 여겨진다.
그림
[편집]이 그림(1559년 작)은 한때 대 피터르 브뤼헐의 작품으로 귀속되었던 유사한 모든 그림 시리즈 중 최고로 평가 받았으며, 밑그림이 있는지 엑스레이 조사를 거쳐 다른 버전과 비교하였다. 모든 버전에서 19세기 후반 이전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는 나오지 않았지만, 브뤼헐 학자들은 이 그림들이 대 브뤼헐의 창작물이며, 모두 베를린 버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밑그림이 있는 실물 크기 밑그림을 사용한다고 믿고 있다.[9] 이 그림들은 따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관람자가 직접 속담을 추측해야 한다. 1558년 및 그 이전에 플랑드르어로 비문이 새겨진 판화들을 근거로 속담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림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558년 작 프란스 호헨베르흐의 판화로, 'Die blau huicke is dit meest ghenaemt, maer des weerelts abvisen he beter betaempt'(영어: 'The Blue Cloak'이라고 불리지만, 'The World's Follies'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두테쿰 형제는 1577년에 'De Blauwe Huyck'이라는 판화 시리즈를 제작했다. 테오도르 갈레도 나중에 'Dese wtbeeldinghe wort die blauw hvyck genaemt, maer deze werelts abvysen haer beter betaemt'라는 유사한 제목의 판화를 제작했다.[10]
속담과 관용구
[편집]비평가들은 질서정연한 묘사와 통합된 장면을 높이 평가했다.[8] 이 장면에는 약 126개의 식별 가능한 속담과 관용구가 있지만, 언어 변화로 인해 알 수 없는 다른 속담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속담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흐름을 거슬러 헤엄치기", "벽에 머리 박기", "무장한 상태" 등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사용되지 않는 속담들 때문에 그림 분석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지붕을 타르트로 덮기"는 모든 것이 풍부하다는 의미로, 브뤼헐이 나중에 그린 목가적인 코케뉴의 땅 (1567)이라는 그림에 다시 등장한다.
원래 제목인 파란 망토는 그림 중앙에 있으며, 간통한 아내가 남편에게 망토를 씌워주는 장면으로, 남편을 속인다는 의미이다. 다른 속담들은 인간의 어리석음을 나타낸다. 한 남자가 송아지가 죽은 후에 연못을 메운다. 파란 망토를 두른 남자 중앙 위에는 또 다른 남자가 바구니에 햇빛을 담아 나른다. 일부 인물들은 두 가지 이상의 비유적 표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이 브뤼헐의 의도였는지는 알 수 없음), 예를 들어 그림의 왼쪽 아래 중앙에서 양털을 깎는 남자와 그 옆의 돼지 털을 깎는 남자이다. 이는 "하나는 양털을 깎고 다른 하나는 돼지 털을 깎는다"는 표현을 나타내며, 한쪽이 다른 쪽보다 유리하다는 의미이지만, "털은 깎되 가죽을 벗기지 마라"는 조언, 즉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
그림에 나타난 속담과 관용구 목록
[편집]| 속담/관용구 | 의미 | 위치 | 이미지 | |
|---|---|---|---|---|
| 001 | 악마마저 베개에 묶을 수 있다 (fr)(nl) | 끈기는 모든 것을 극복한다 | 왼쪽 아래 | |
| 002 | 기둥을 갉아먹는 자가 되다 (fr)(nl)(it)(lmo) | 위선적인 신자가 되다 | 왼쪽 아래 | |
| 003 | 한 손에는 불을, 다른 손에는 물을 들고 다니는 사람을 믿지 마라 (fr)(nl) | 두 얼굴을 가지고 문제를 일으키다 | 왼쪽 아래 | |
| 004 | 벽에 머리 박기 (fr)(nl) | 불가능한 일에 시간을 낭비하다 | 왼쪽 아래 | |
| 005 | 한 발은 신발을 신고, 다른 발은 맨발로(fr)(nl) | 균형이 중요하다 | 왼쪽 아래 | |
| 006 | 암퇘지가 마개를 뽑다 (fr)(nl) | 부주의는 재앙으로 이어진다 | 왼쪽 아래 | |
| 007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fr)(nl) | 위험하거나 비현실적인 계획을 실행하다 | 왼쪽 아래 | |
| 008 | 이빨까지 무장하다 (fr)(nl)(de) | 중무장하다 | 왼쪽 아래 | |
| 009 | 갑옷을 입다 (fr)(nl) | 화가 나다 | 왼쪽 아래 | |
| 010 | 한 명은 양털을 깎고, 다른 한 명은 돼지 털을 깎는다 (fr)(nl) | 한 명은 모든 이점을 가지고, 다른 한 명은 아무것도 없다 | 왼쪽 아래 | |
| 011 | 털만 깎고 가죽을 벗기지 마라 (fr)(nl) | 이점을 너무 멀리 밀고 나가지 마라 | 왼쪽 아래 | |
| 012 | 여기서는 청어가 튀겨지지 않는다 (nl) |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 왼쪽 아래 | |
| 013 | 알을 위해 청어 전체를 튀기다 (fr)(nl) | 작은 것을 얻기 위해 너무 많은 것을 하다 | 왼쪽 아래 | |
| 014 | 머리에 뚜껑이 씌워지다 (nl) | 결국 책임을 지게 되다 | 왼쪽 아래 | |
| 015 | 청어가 자기 아가미에 매달려 있다 (fr)(nl) |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 왼쪽 아래 | |
| 016 | 청어 한 마리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nl) | 보이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 왼쪽 아래 | |
| 017 | 연기가 쇠에 무엇을 할 수 있는가? (fr)(nl) | 변할 수 없는 것을 바꾸려고 노력해 봐야 소용없다 | 왼쪽 아래 | |
| 018 | 냄비에서 개를 발견하다 (fr)(nl) | 저녁 식사에 너무 늦게 도착하여 모든 음식이 다 먹힌 것을 발견하다 | 왼쪽 아래[note 1] | |
| 019 | 재 속의 두 의자 사이에 앉다 (fr)(nl)(de) | 우유부단하다 | 왼쪽 아래 | |
| 020 | 암탉을 만져보는 사람 (fr)(nl) | 매우 인색하다 (도살하기 전에 암탉이 알을 낳으려는지 만져보는 것) | 중간 왼쪽 | |
| 021 | 가위가 밖에 걸려 있다 (fr)(nl) | 그곳에서 사기를 당하기 쉽다 | 왼쪽 위 | |
| 022 | 항상 한 뼈만 갉아먹다 (fr)(nl) | 계속 같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다 | 왼쪽 위 | |
| 023 | 카드의 낙하에 달려 있다 (fr)(nl) | 운에 달려 있다 | 왼쪽 위 | |
| 024 | 세상이 뒤집어지다 (fr)(nl)(de) | 모든 것이 원래의 모습과 반대이다 | 왼쪽 위 | |
| 025 | 둥지에 최소한 한 개의 알을 남겨두다 (fr)(nl) | 항상 예비해 두다 | 왼쪽 위 | |
| 026 | 세상에 똥을 싸다 (fr)(nl)(de) | 모든 것을 경멸하다 | 왼쪽 위 | |
| 027 | 서로 코를 잡고 이끌다 (fr)(nl)(de) | 서로를 속이다 | 왼쪽 위 | |
| 028 | 주사위는 던져졌다 (fr)(nl)(de) | 결정이 내려졌다 | 왼쪽 위 | |
| 029 | 바보들이 최고의 카드를 얻는다 (fr)(nl) | 운이 지능을 이길 수 있다 | 왼쪽 위 | |
| 030 | 손가락 사이로 보다 (fr)(nl) | 못 본 척하다 | 왼쪽 위 | |
| 031 | 칼이 걸려 있다 (fr)(nl) | 도발하다 | 왼쪽 위 | |
| 032 | 나무 신발이 서 있다 (fr)(nl) | 헛되이 기다리다 | 왼쪽 위 | |
| 033 | 빗자루를 내밀다 (fr)(nl) | 주인이 없을 때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 | 왼쪽 위 | |
| 034 | 빗자루 아래서 결혼하다 (fr)(nl) |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다 | 왼쪽 위 | |
| 035 | 지붕이 타르트로 덮여 있다 (fr)(nl) | 매우 부유하다 | 왼쪽 위 | |
| 036 | 지붕에 구멍이 있다 (fr)(nl)(de) | 지능이 낮다 | 왼쪽 위 | |
| 037 | 오래된 지붕은 수리가 많이 필요하다 (fr)(nl) | 오래된 것은 더 많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 왼쪽 위 | |
| 038 | 지붕에 나무 널판이 있다(fr)(nl) | 도청자가 있을 수 있다 (벽에도 귀가 있다) | 중간 왼쪽 | |
| 039 | 귀 뒤에 치통이 있다(fr)(nl) | 꾀병을 부리다 | 중간 왼쪽 | |
| 040 | 달을 향해 오줌을 누다(fr)(nl) | 헛된 노력에 시간을 낭비하다 | 중간 왼쪽 | |
| 041 | 여기에 항아리가 걸려 있다(fr)(nl) | 그것은 원래 모습과 반대이다 | 중간 왼쪽 | |
| 042 | 첫 번째를 찾기 위해 두 번째 화살을 쏘다(fr)(nl) | 어리석은 행동을 반복하다 | 왼쪽 위 | |
| 043 | 거품 없이 바보를 면도하다(fr)(nl) | 누군가를 속이다 | 중간 | |
| 044 | 한 후드 아래 두 바보(fr)(nl) | 어리석음은 친구를 좋아한다 | 중간 | |
| 045 | 창문 밖으로 자라나다(fr)(nl) | 숨길 수 없다 | 중간 | |
| 046 | 목형에서 놀다(fr)(nl) | 자신의 수치스러운 행동에 주의를 끌다 | 중간 위 | |
| 047 | 문이 열리면 돼지들이 옥수수 밭으로 달려간다(fr)(nl) | 부주의는 재앙을 초래한다 | 중간 위 | |
| 048 | 옥수수가 줄면 돼지가 늘어난다 | 한 사람이 얻으면 다른 사람은 잃어야 한다 | 중간 위 | |
| 049 | 엉덩이에 불이 붙은 것처럼 달리다(fr)(nl) | 큰 고통에 빠지다 | 중간 위 | |
| 050 | 불을 먹는 자는 불똥을 싼다 | 위험한 일을 시도한다면 결과에 놀라지 마라 | 중간 위 | |
| 051 | 바람에 따라 망토를 걸다(fr)(nl)(de) | 현재 의견에 따라 자신의 관점을 조절하다 | 중간 위 | |
| 052 | 바람에 깃털을 던지다 (fr)(nl) | 헛되이 일하다 | 중간 위 | |
| 053 | 황새를 바라보다(fr)(nl) | 시간을 낭비하다 | 중간 위 | |
| 054 | 한 번의 타격으로 파리 두 마리를 잡으려 하다(fr)(nl)(de) | 효율적이다 (오늘날의 '돌 하나로 새 두 마리 잡기'와 동등) | 중간 위 | |
| 055 | 소에서 당나귀 엉덩이로 떨어지다(fr)(nl) | 어려운 시기를 겪다 | 중간 위 | |
| 056 | 문의 고리를 입맞춤하다 (fr)(nl) | 비굴하다 | 중간 위 | |
| 057 | 문에 엉덩이를 닦다 (nl) | 무례하게 대하다 | 중간 위 | |
| 058 | 짐을 짊어지고 다니다 (fr) (nl) | 상황이 실제보다 더 나쁘다고 상상하다 | 중간 위 | |
| 059 | 한 거지가 문 앞에 서 있는 다른 거지를 불쌍히 여기지 않는다(nl) | 경쟁을 두려워하다 | 중간 위 |
|
| 060 | 그물 뒤에서 낚시하다 (fr)(nl) | 기회를 놓치다 | 중간 | |
| 061 | 상어는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fr)(nl) | 사람들이 하는 말은 그들의 중요성 수준에 따라 해석될 것이다 | 중간 | |
| 062 | 물 위로 햇살이 비치는 것을 볼 수 없다(fr)(nl) | 타인의 성공을 질투하다 | 중간 | |
| 063 | 도랑 위에 화장실처럼 걸려 있다 (fr)(nl) | 극도로 명백한 것 | 중간 | |
| 064 | 구멍이 나 있다면 누구든 참나무 판자를 통해 볼 수 있다 (fr)(nl) | 명백한 것을 말해 봐야 소용없다 | 중간 | |
| 065 | 둘 다 같은 구멍으로 똥을 싼다 (fr)(nl) | 그들은 헤어질 수 없는 동지이다 | 중간 | |
| 066 | 돈을 물에 던지다(fr)(nl) | 돈을 낭비하다 | 중간 | |
| 067 | 금이 간 벽은 곧 무너진다(fr)(nl) |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것은 곧 실패한다 | 중간 오른쪽 | |
| 068 | 남의 집에 불이 나도 그 불에 몸을 녹일 수만 있다면 신경 쓰지 않는다(fr)(nl) | 타인에게 미치는 결과에 상관없이 모든 기회를 잡다 | 중간 오른쪽 | |
| 069 | 블록을 끌다(fr)(nl) | 연인에게 속거나 헛된 일에 몰두하다 | 오른쪽 위 | |
| 070 | 두려움이 노파를 뛰게 한다(fr)(nl) | 예상치 못한 사건이 알려지지 않은 자질을 드러낼 수 있다 | 오른쪽 위 | |
| 071 | 말똥은 무화과가 아니다 (fr)(nl) | 겉모습에 속지 마라 | 오른쪽 위 | |
| 072 | 맹인이 맹인을 이끌면 둘 다 도랑에 빠진다(fr)(nl) | 똑같이 무지한 사람들에게 안내받아봐야 소용없다 | 오른쪽 위 | |
| 073 | 교회와 종탑을 볼 수 있다고 해서 여행이 끝난 것은 아니다 (fr)(nl) | 과업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포기하지 마라 | 오른쪽 위 | |
| 074 | 아무리 곱게 잣다 해도 모든 것은 결국 햇빛을 본다(nl) | 아무것도 영원히 숨길 수 없다 | 오른쪽 위 | |
| 075 | 돛에서 눈을 떼지 마라(fr)(nl) | 경계하고 조심하라 | 오른쪽 위 | |
| 076 | 교수대에 똥을 싸다(fr)(nl) | 어떤 처벌에도 굴하지 않다 | 오른쪽 위 | |
| 077 | 시체가 있는 곳에 까마귀가 날아든다(fr)(nl) | 얻을 것이 있다면 모두가 서두른다 | 오른쪽 위 |
|
| 078 | 순풍에 돛을 달고 항해하기는 쉽다(fr)(nl) | 조건이 좋으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지 않다 | 오른쪽 위 | |
| 079 | 왜 거위가 맨발로 다니는지 누가 아는가?(fr)(nl) |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지만, 분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오른쪽 위 | |
| 080 | 내가 그들의 지키미가 될 운명이 아니라면, 거위는 거위가 되게 내버려둘 것이다 | 당신과 상관없는 일에 간섭하지 마라 | 오른쪽 위 | |
| 081 | 춤추는 곰들을 보다[note 2](fr)(nl) | 굶주리다 | 오른쪽 | |
| 082 | 야생 곰들은 서로의 회사를 선호한다[note 2](nl) | 동료들은 외부인보다 서로 더 잘 지낸다 | 오른쪽 | |
| 083 | 자기 망토를 울타리 너머로 던지다(fr)(nl) | 나중에 필요할지 모르고 무언가를 버리다 | 오른쪽 | |
| 084 | 흐름을 거슬러 헤엄치기는 어렵다(fr)(nl)(de) | 일반적인 의견에 반대하기는 어렵다 | 오른쪽 | |
| 085 | 물병은 결국 깨질 때까지 물로 간다(fr)(nl)(de) | 모든 것에는 한계가 있다 | 오른쪽 | |
| 086 | 가장 넓은 끈은 다른 사람의 가죽에서 잘라낸다 (fr)(nl) | 다른 사람의 돈을 빠르게 사용한다 | 오른쪽 | |
| 087 | 뱀장어를 꼬리로 잡다(fr)(nl) | 어려운 일을 맡다 ('호랑이 꼬리 잡기'와 유사) | 오른쪽 | |
| 088 | 바구니를 통해 떨어지다(fr)(nl) | 자신의 속임수가 드러나다 | 오른쪽 | |
| 089 | 하늘과 땅 사이에 매달리다(fr)(nl)(de) | 곤란한 상황에 처하다 | 오른쪽 | |
| 090 | 암탉의 알을 잡고 거위의 알을 놓치다(fr)(nl) | 잘못된 결정을 내리다 | 오른쪽 | |
| 091 | 오븐을 향해 하품하다(fr)(nl) |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시도하다 | 오른쪽 아래 | |
| 092 | 한 덩어리 빵에서 다른 덩어리 빵으로 겨우 닿다(fr)(nl) | 예산 내에서 생활하기 어렵다 | 오른쪽 아래 | |
| 093 | 손잡이 없는 괭이(fr)(nl) | 아마도 쓸모없는 것[note 3] | 오른쪽 아래 | |
| 094 | 손도끼를 찾다(fr)(nl) | 변명을 찾으려 노력하다 | 오른쪽 아래 | |
| 095 | 여기 그의 랜턴을 들고 있다(fr)(nl) | 마침내 재능을 보여줄 기회를 얻다 | 오른쪽 아래 | |
| 096 | 손잡이 달린 손도끼(fr)(nl) | 아마도 "전체"를 의미한다[note 3] | 오른쪽 아래 |
|
| 097 | 죽을 쏟은 자는 다시 다 긁어모을 수 없다(fr)(nl) | 일단 한 일은 되돌릴 수 없다 ('엎질러진 우유를 보고 울지 마라'와 유사) | 오른쪽 아래 | |
| 098 | 누군가의 바퀴에 막대기를 넣다(fr)(nl) | 장애물을 만들고, 누군가의 계획을 망치다 | 오른쪽 아래 | |
| 099 | 사랑은 돈주머니가 걸린 쪽에 있다(fr)(nl) | 사랑은 살 수 있다 | 오른쪽 아래 | |
| 100 | 가장 긴 끝을 얻기 위해 당기다(fr)(nl) | 이점을 얻으려 하다 | 오른쪽 아래 | |
| 101 | 자신의 빛에 서다(fr)(nl) | 자신의 행복이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다 | 오른쪽 아래 | |
| 102 | 자신이 오븐에 숨어 있지 않은 사람은 남들이 오븐에 숨어 있는지 찾지 않는다(fr)(nl) | 타인에게 악의를 상상하는 것은 자신에게 악의가 있다는 증거이다 | 오른쪽 아래 | |
| 103 | 세상이 엄지손가락 위에서 돌게 하다(fr)(nl) | 모든 이점을 가지고 있다 ('세상을 손아귀에 넣다'와 유사) | 오른쪽 아래 | |
| 104 | 그리스도의 얼굴에 아마 수염을 묶다(fr)(nl) | 기독교적 경건함이라는 외피 아래 속임수를 숨기다 | 오른쪽 아래 | |
| 105 | 세상에서 성공하려면 구부려야 한다(fr)(nl) | 성공하려면 기꺼이 희생해야 한다 | 오른쪽 아래 | |
| 106 | 돼지 앞에 장미를 던지다(fr)(nl)(de) | 가치 없는 일에 노력을 낭비하다 | 중간 아래 | |
| 107 | 송아지가 이미 물에 빠진 후에 우물을 채우다(fr)(nl) | 재앙이 발생한 후에야 조치를 취하다 ('말이 달아난 후 외양간 문을 닫기'와 유사) | 중간 아래 | |
| 108 | 양처럼 온순하다(fr)(nl)(de) | 매우 침착하거나 온순한 사람 | 중간 아래 | |
| 109 | 그녀는 남편에게 파란 망토를 씌운다(fr)(nl) | 그녀는 그를 속인다 | 중간 아래 | |
| 110 | 검은 개가 끼어들지 않도록 조심해라(fr)(nl) | 일이 잘못되지 않도록 조심해라 | 중간 아래 | |
| 111 | 한 명이 물레에 감는 것을 다른 한 명이 잣다(fr)(nl) | 둘 다 소문을 퍼뜨린다 | 중간 아래 | |
| 112 | 바구니에 낮을 담아 나르다(fr)(nl)(de) | 시간을 낭비하다 ('뉴캐슬에 석탄 나르기'와 '사막에서 모래 팔기'와 유사) (de) | 중간 | |
| 113 | 악마에게 촛불을 들다(fr)(nl)(de) | 무분별하게 아첨하고 친구를 만들다 (de) | 중간 | |
| 114 | 악마에게 고백하다(fr)(nl)(de) | 적에게 비밀을 누설하다 (de) | 중간 | |
| 115 | 돼지가 배를 찔렸다(fr)(nl) | 이미 결정된 결론 또는 이미 한 일은 되돌릴 수 없다 | 중간 | |
| 116 | 한 뼈를 두고 싸우는 개 두 마리는 좀처럼 동의하지 않는다(fr)(nl) | 한 가지 쟁점에 대해 논쟁하다 | 중간 | |
| 117 | 개 두 마리가 뼈를 누가 가질지 싸울 때, 세 번째 개가 뼈를 훔쳐간다(fr)(nl) | 싸우거나 논쟁하는 것은 손실을 보장한다 | 중간 | |
| 118 | 국자처럼 떠 먹는 사람(fr)(nl) | 기생충 또는 빈대 | 중간 | |
| 119 | 아름다운 접시에 아무것도 없으면 무슨 소용인가?(fr)(nl) | 아름다움이 내용물을 보충하지 못한다 | 중간 | |
| 120 | 여우와 두루미 또는 여우와 두루미가 함께 식사하다(fr)(nl) | 누군가를 속이면 그들이 복수할 수도 있다[note 4] | 중간 | |
| 121 | 귀에 바람을 불어넣다(fr)(nl) | 소문을 퍼뜨리다 | 중간 | |
| 122 | 빚을 분필로 쓰다(fr)(nl)(de) | 누군가에게 호의를 빚지다 | 중간 | |
| 123 | 꼬챙이에 꽂힌 고기는 기름을 발라야 한다(fr)(nl) | 어떤 것들은 끊임없는 관심이 필요하다 | 중간 | |
| 124 | 그와 함께 꼬챙이를 돌릴 수 없다(fr)(nl) | 그는 비협조적이다 | 중간 | |
| 125 | 뜨거운 석탄 위에 앉다(fr)(nl)(de) | 참을성이 없다 | 중간 | |
| 126 | 그물 없이 물고기를 잡다(fr)(nl) | 타인의 노력으로 이득을 얻다 | 중간 |
영향
[편집]T. E. 브라이튼바흐의 1975년 그림 속담들은 이 네덜란드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영어 속담과 관용구를 묘사했다.
2014년 홍콩 잡지 패션 타임즈의 삽화는 수십 개의 광둥어 속담을 묘사하고 있다.[13][14]
이 그림은 플릿 폭시스의 동명 첫 정규 앨범 (2008) 표지에 등장한다.
갤러리
[편집]-
개인 소장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내용주
[편집]- ↑ “Pieter Bruegel”. APARENCES. 2013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Wisse, Jacob. “Pieter Bruegel the Elder (ca. 1525/30–1569)”.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013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Die niederländischen Sprichwörter”. 《Staatliche Museen zu Berlin (Berlin State Museums)》. 2024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Rudy, Kathryn M. (2007). 〈Bruegel’s Netherlandish Proverbs and the Borders of a Flemish Book of Hours〉. Biemans, Jos 외 (편집). 《Manuscripten en miniaturen: Studies aangeboden aan Anne S. Korteweg bij haar afscheid van de Koninklijke Bibliotheek》. Zutphen: Walburg. ISBN 9789057304712.
- ↑ Erasmus, Desiderius. 《Adagia》 Leiden 1700판. University of Leiden: Department of Dutch language and literature.
- ↑ O'Kane, Eleanor (1950). 《The Proverb: Rabelais and Cervantes》. 《Comparative Literature》 2. 360–369쪽. doi:10.2307/1768392. JSTOR 1768392.
- ↑ Lebeer, L. (1939–40). 《De Blauwe Huyck》. 《Gentsche Bijdragen tot de Kunstgeschiedenis》 6. 161–229쪽.
- ↑ 가 나 다 라 “Die blau huicke is dit meest ghenaemt / Maer des weerelts abuisen het beter betaempt”. 《Prints》. Nicolaas Teeuwisse. 2019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Breughel Enterprises, 2001-2002 exhibition on the work of Pieter Brueghel II's copies after his father's works, Historians of Netherlandish Art review
- ↑ C. C. Barfoot and Richard Todd, The Great Emporium: the Low Countries as a cultural crossroads in the Renaissance and the eighteenth century (1992), p. 128; Google Books.
- ↑ Hagen 2000, 36–37쪽.
- ↑ “Spreekwoorden”. 《Middeleeuwen》. Literatuurgeschiedenis.org. 202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熱血時報 - 大粵港諺語 - 阿塗 - 專欄部落”. 《passiontimes.hk》.
- ↑ “Cantonese Proverbs in One Picture”. 《廣府話小研究Cantonese Resources》. 2014년 2월 25일.
각주
[편집]- Hagen, Rainer (2000). Hagen, Rose-Marie (편집). 《Bruegel: The Complete Paintings》. Taschen. ISBN 3822859915.
- De Rynck, Patrick (1963). 《How to Read a Painting: Lessons from the Old Masters》. New York: Abrams. ISBN 0810955768.
- “The Netherlandish Proverbs by Pieter Brueghel the Younger”. Fleming Museum, University of Vermont. 2004. 2007년 5월 18일에 확인함. not found 6 Nov. 2022
- Mieder, Wolfgang (2004). 《The Netherlandish Proverbs: 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Pieter Brueg(h)els》. 《University of Vermont》.
- Dundes, Alan and Claudia A. Stibbe (1981). The Art of Mixing Metaphors: A Folkloristic Interpretation of the Netherlandish Proverbs by Pieter Bruegel the Elder. Helsinki: Suomalainen Tiedeakatemia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ISBN 9514104242.
더 읽어보기
[편집]- Orenstein, Nadine M. 편집 (2001). 《Pieter Bruegel the Elder: Drawings and Prints》.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ISBN 978-0-870-9-99901.
외부 링크
[편집]- 브뤼헐의 네덜란드 속담, 스마트히스토리 비디오, 베스 해리스와 스티븐 주커의 해설
- 네덜란드 속담, 확대 및 주석 가능
- 네덜란드 속담의 대화형 모바일/반응형 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