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노랑점나비고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랑점나비고기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목: 양쥐돔목
과: 나비고기과
속: 나비고기속
아속: 랍도포루스아속
종: 노랑점나비고기
학명
Chaetodon selene
Bleeker, 1853
향명
  • 영어: Yellow-dotted Butterflyfish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노랑점나비고기 (학명Chaetodon selene 카이토돈 셀레네[*])는 나비고기과에 속하는 해수어이다. 인도양~서태평양 해역에서 발견된다.

특징

[편집]

노랑점나비고기는 흰빛을 띠며 회색점이 대각선으로 줄 지어 있다. 노란색으로 테두리 진 검정 띠무늬가 눈 위아래로 가로지르며 또다른 수직 검정 띠가 등지느러미부터 해서 꼬리지느러미, 뒷지느러미까지 뻗어있다.[2]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앞부분은 노란색이다. 검은 띠들은 새끼 때에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나 성체가 되면서 줄무늬가 희미해지고 밑에 깔려있던 노란색이 더욱 선명해지며 줄무늬가 갈색으로 변한다. 뒤쪽의 수직띠도 나이가 들면서 더 길어지고 등지느러미 밑부분과 평행하게 눈띠까지 거의 이어진다.[3] 등지느러미에는 극조 12개와 연조 20~22개가 나 있는 반면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극조 및 18~19개의 연조가 나 있다. 최대 크기는 16 센티미터 (6.3 in)으로 추정된다.[4]

분포

[편집]

노랑점나비고기는 인도-말레이시아 지역 전체에 걸쳐 발견되는데, 북쪽으로는 자바 북부에서 동쪽으로는 파푸아뉴기니 북쪽 해안까지, 북쪽으로는 대만류큐 제도와 일본 남부의 가시와지마까지 그 분포가 이어져 있다.[1]

대한민국에서

[편집]

과거 한반도 연안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던 노랑점나비고기가 2024년 통영제주 연안 바다에서 발견되었다. 전문가들은 쓰시마 해류를 타고 한반도 해역으로 들어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반도 해역의 해수온 상승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사례로 보고 있다.[5]


서식지 및 생태

[편집]

노랑점나비고기는 해안 암초지대에서 발견되며 주로 깊이 8–50 미터 (26–164 ft)의 경사 진 돌무더기에서 발견된다.[4] 대개 둘이서 짝을 짓고 다니는 것이 발견되지만, 어린 개체는 산호초 근처에서 홀로 다니는 반면, 성체는 돌 바닥이나 모래 바닥을 선호한다.[1] 피낭류, 멍게 및 기타 저서성 무척추동물이 먹이가 될 뿐 아니라 소량의 조류도 섭취한다.[2] 또한 산호의 폴립도 먹는다.[3]

체계

[편집]

노랑점나비고기는 1853년 네덜란드인 생리학자 겸 어류학자파충류학자인 피터 블리커 (Pieter Bleeker, 1819-1878)가 처음으로 기재하였으며 표준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솔로르섬에 있는 라와종이다.[6] 종소명 셀레네 (selene)는 달을 뜻하는데, 명명자 블리커는 명명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지만, 머리 뒤에서 뒷지느러미까지 뻗은 검은 초승달 모양의 띠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7] 이는 별도의 으로 인정받는 커다란 아속인 랍도포루스속 (Rabdophorus)에 속한다. 이 속 내에서는 검은등나비고기 (C. melannotus) 및 꼬리점나비고기 (C. ocellicaudus)의 다소 먼 친척인 것으로 드러난다. 모두 타원형 모양이고 은빛이며 지느러미와 주둥이는 노란색이고 대각선 줄무늬(노랑점나비고기의 경우 노란색인 반면 다른 종은 어둡다)가 위로 올라가며, 눈 주위와 꼬리자루, 때로는 등에 검은색 무늬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안장나비고기 (C. ephippium) 및 점나비고기 (C. semeion)가 가장 가까우나, 이들 조상은 라브도포루스아속 계통이 다양화를 시작한 직후에 다른 조상들과 갈라져 나간 것으로 여겨진다.[8][9]

각주

[편집]
  1. Myers, R.F.; Pratchett, M. (2010). Chaetodon selene. 《IUCN 적색 목록》 (IUCN) 2010: e.T165643A6078975. doi:10.2305/IUCN.UK.2010-4.RLTS.T165643A6078975.en. 2021년 11월 20일에 확인함. 
  2. Chaetodon selene. 《Saltcorner》. Bob Goemans. 2012. 202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3. Chaetodon selene. De Jong Marinelife. 202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4. Froese, Rainor (2024년 2월). Pauly, Daniel, 편집. Chaetodon selene. 《Fishbase》. 2025년 2월 1일에 확인함. 
  5. 김지훈 (2025년 1월 30일). “한반도 생태계 ‘붕괴’ 카운트다운?… 노랑점나비고기·뭉툭혹줄모래풍뎅이까지, “기후 침략 시작됐다””. 《JIBS》. 2025년 2월 1일에 확인함. 
  6. Eschmeyer, William N.; Fricke, Ron & van der Laan, Richard (eds.). "Species in the genus Chaetodon". Catalog of Fishes.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Retrieved 28 December 2020.
  7. Christopher Scharpf; Kenneth J. Lazara (2020년 7월 21일). “Order ACANTHURIFORMES (part 1): Families LOBOTIDAE, POMACANTHIDAE, DREPANEIDAE and CHAETODONTIDAE”. 《The ETYFish Project Fish Name Etymology Database》.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8. Fessler, Jennifer L.; Westneat, Mark W (2007).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e butterflyfishes (Chaetodontidae): Taxonomy and biogeography of a global coral reef fish famil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5 (1): 50–68. doi:10.1016/j.ympev.2007.05.018. 
  9. Hsu, Kui-Ching; Chen, Jeng-Ping; Shao, Kwang-Tsao (2007). “Molecular phylogeny of Chaetodon (Teleostei: Chaetodontidae) in the Indo-West Pacific: evolution in geminate species pairs and species groups” (PDF). 《Raffles Bulletin of Zoology Supplement》 14: 77–86. 2007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