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방
노래방(영어: カラオケボックス, 영어: karaoke box, noraebang)은 아시아, 미국, 캐나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라오케 시설의 한 종류이다. 일본에서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특히 아시아에서 인기가 많다.[1] 노래방은 일반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대여하는 가라오케 장비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노래방 시설은 10~20개(또는 그 이상)의 방을 포함하며, 각 방은 다른 분위기를 내도록 테마를 지정하거나[2] 오리지널 노래방으로 만들 수 있으며, 전면에 메인 가라오케 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가라오케 시설은 종종 음료를 판매하며, 때로는 음식을 판매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무료 다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모든 연령대의 많은 사람들이 가라오케를 취미로 즐기며, 일본 음악계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3] 관광객을 유치하는 장소이다.[4] 사람들은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 노래방에 가서 즐기기도 하지만, 혼자 가서 방 안에서 편안하게 공연을 즐기기도 한다.[5] 이에 더해, 사적인 방보다는 인기 있는 유흥 지역에서 여전히 제공되는 오리지널 방식의 가라오케도 있다.

새로운 노래방 부스 트렌드가 중국 쇼핑몰에 등장하여 고객들이 사진 부스와 유사한 부스에 들어가 다양한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1~2명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며[6] 부스는 오리지널 노래방보다 저렴하다. 방을 빌릴 필요 없이 들어가서 여러 곡을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부스들은 노래방과 매우 유사하지만 더 작은 규모이며, 2017년에 최소 20,000개의 부스가 운영되어 추정 CN¥31억 8천만 위안(한화 약 ₩6,16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7] 이 부스에는 에어컨, 고객을 위한 좌석, 반주기, 헤드셋이 갖추어져 있다.
나라별 명칭
[편집]다음과 같이 나라마다 다르게 불린다.
- 노래방(-房) : 대한민국
- KTV(卡拉OK TV,Karaoke TV)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중화민국 (타이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 가라오케박스(Karaoke Box) : 홍콩, 일본, 마카오
- 비디오케(Videoke) : 필리핀
- 화면반주음악실(畵面伴奏音樂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나라별 법에 따른 분류
[편집]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3년 9월) |
대한민국
[편집]식품위생법에서는 주류 판매 허가와 유흥접객원 고용 허가 여부에 따라 노래연습장, 단란주점, 유흥주점으로 구분한다.
노래연습장
[편집]'노래연습장'은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또는 무영상 반주장치 등의 시설을 갖추는 것이 허용되며,[8] 주류는 판매할 수 없다.
단란주점
[편집]'단란주점'은 노래를 부르는 행위가 허용되고 주류 판매도 허용된다.[9]
유흥주점
[편집]'유흥주점'은 무도장 설치, 음주가무, 유흥접객원 고용이 허용된다.[9]
노래방 업체
[편집]현재 이 문단은 주로 동아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3년 2월) |
대한민국
[편집]일본
[편집]같이 보기
[편집]기타
[편집]- 대한민국에서는 동전이나 지폐를 넣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노래방인 코인 노래방(혹은 동전 노래방)이 젊은 층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다.흔히 줄여서 코노라고 부른다.
- 노래방 역사에 관한 자료
- KBS 2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해피투게더 - 전설의 조동아리》의 한 코너인 《내 노래를 불러줘》는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SBS에서 〈도전 1000곡〉의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TV조선에서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의 미스터트롯 TOP7[11]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TV조선에서 〈금요일은 밤이 좋아〉의 미스트롯 2 TOP7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각주
[편집]- ↑ Fung, Anthony (2009년 12월 1일). 《Consuming Karaoke in China》. 《Chinese Sociology & Anthropology》 42. 39–55쪽. doi:10.2753/CSA0009-4625420202. ISSN 0009-4625. S2CID 143804901.
- ↑ Box, August Karaoke. “KARAOKE In A WHOLE NEW LEVEL” (미국 영어). 《August Karaoke Box》.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 ↑ Ogawa, Hiroshi (2005년 6월 20일). 〈The effects of karaoke on music in Japan〉 (영어). 《Karaoke Around the World》. Routledge. doi:10.4324/9780203982396. ISBN 9780203982396.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Karaoke”. 《www.japan-guide.com》.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Armitage, Susie (2018년 8월 3일). “Tokyo's Best Karaoke Is Karaoke Sung Alone” (영어). 《The Daily Beast》.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Li, Eva (2017년 8월 2일). “China's Newest Trend: mini karaoke booths at shopping malls”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 ↑ “China's newest trend: mini KTV booths at shopping malls”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년 8월 2일.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 ↑ “음악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법제처. 2011년 7월 20일. 2013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식품위생법 시행령 22조”. 법제처. 2013년 7월 1일. 2013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JOYSOUND의 계열사이다.
- ↑ TO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