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중국 관계
![]() | |
![]() 뉴질랜드 |
![]() 중국 |
---|---|
외교 공관 | |
주중국 뉴질랜드 대사관 | 주뉴질랜드 중국 대사관 |
뉴질랜드-중국 관계(영어: New Zealand-China relations, 중국어: 新西兰与中国关系)는 뉴질랜드와 중국 사이 관계를 말한다.
상세
[편집]정무
[편집]뉴질랜드는 파이브 아이즈 회원국이며, 주요 비NATO 동맹국인 미국의 대표적인 우방국임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비교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 양국은 2014년에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양국 간 관계 수준을 격상하였다.[1][2] 옆나라의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와 달리 아직까지 직접적인 충돌은 없다.
그러나 2020년대에 들어서 두 국가의 관계는 도전을 받고 있다. 일례로, 뉴질랜드의 자치령인 쿡 제도가 뉴질랜드와 별다른 협의 없이 중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체결하여 갈등이 일었다.[3][4] 또한 중화권-태평양 관계에서 보이듯, 태평양 도서국들에 대한 중국의 공세적 지원과 대만과 단교 요구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뉴질랜드와 중국 간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5][6]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아시아태평양 동반자 국가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일본과 밀착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견제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7][8]
또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인권 탄압[9], 홍콩에 일국양제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2019년~2020년 홍콩 시위에 대해서 뉴질랜드는 외교장관회담에서 우려를 표하였다.[10][11]
무역
[편집]양국은 2008년에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 자유 무역 협정 체결 이후 뉴질랜드의 최대 교역국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중국으로 변화하였다.[12] 특히 뉴질랜드의 대중 무역 의존도 또한 심화되었다.[13][14]
문화
[편집]뉴질랜드에는 많은 중국계 뉴질랜드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뉴질랜드 내 대표적인 이민자 집단 중 하나다.
각주
[편집]- ↑ “중국-뉴질랜드, 전면적 전략동반자 관계로 격상”.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중국-뉴질랜드, 전면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쿡제도 총리 "중국은 태평양 도서국에 충분히 존중"”.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한국원양산업협회 - KOSFA”.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Corlett, Eva (2025년 5월 21일). “Pacific must not become a ‘military zone’ amid rise of China, New Zealand’s deputy PM warns”.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Edel, Charles; Paik, Kathryn (2025년 4월 8일). “China’s Power Play Across the Pacific” (영어).
- ↑ 이승호,김하나 (2023년 7월 12일). “중국 견제 위해 韓·日·호주와 협력…나토, 아시아로 동진”.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중국, ‘나토-아태 협력’ 연일 비난…“중국 핑계 나토 동진 반대””.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호주·뉴질랜드 "중국 신장 인권유린 제재 환영"”. 2021년 3월 24일.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뉴질랜드 외교장관, 中 만나 신장 인권·홍콩 자유 우려 전달”. 2023년 3월 25일.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플랜아이. “[동향세미나] 중국, 신장 위구르족 인권문제에 대한 대응 강화”.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보복 우려' 뉴질랜드, 중국 상대 무역의존도 낮추려 '안간힘'”. 《한국무역협회》.
- ↑ Trade, New Zeal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Key facts on New Zealand-China trade” (영어).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
- ↑ “New Zealand firms double down in China as bilateral trade ties deepen-China International Import Expo”. 2025년 8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