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니콜라 필리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니콜라 필리치(Nikola Pilić, 1939년 8월 27일 ~ 2025년 9월 22일)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가대표로 출전한 크로아티아의 프로 테니스 선수였다.

필리치는 핸섬 에이트 중 한 명이었다.[1] 필리치는 1968년 1월 세계 랭킹 6위를 기록했고, 데일리 텔레그래프랜스 팅게이는 1967년 그를 세계 7위로 평가했다.[2][3]

어린 시절

[편집]

필리치는 1939년 8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왕국크로아티아 바노비나, 당시 스플리트에서 크르스토 필리치와 다니차 토미치-페리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필리치는 1952년 여름 테니스를 시작했다.[4] 당시 13세였던 그는 스플리트의 능률적인 고등학교에서 조선 (산업)을 공부하면서 피룰레 테니스 클럽 클레이 코트에서 연습하기 시작했다. 졸업 후 그는 자그레브의 전문대학(viša škola)에 입학하려고 했지만 입학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결국 노비사드에서 행정(viša upravna škola)을 공부했다.

테니스 경력

[편집]

1964년 그는 모스크바 국제 선수권 대회에서 동포 보로 요바노비치를 5세트 접전 끝에 이겼다.[5] 필리치는 1967년 윔블던에서 로이 에머슨을 물리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6] 이후 오픈 테니스가 도입되었고, 필리치는 1968년 러마 헌트가 새로 결성된 프로 월드 챔피언십 테니스 (WCT) 그룹을 위해 계약한 선수 그룹인 핸섬 에이트 중 한 명이었다.[7]

1970년 필리치는 브리스틀 오픈 또는 웨스트 오브 잉글랜드 챔피언십에서 톰 오커를 긴 경기 끝에, 그레이엄 스틸웰, 마티 리센, 존 뉴컴을 접전 끝에, 그리고 결승에서 로드 레이버를 물리치고 우승했다.

같은 시즌, 필리치는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 프랑스 파트너 피에르 바르테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존 뉴컴로드 레이버를 4세트 접전 끝에 물리치고 우승했다. 그의 그랜드 슬램 대회 최고 단식 성적은 1973년 프랑스 오픈 결승에 진출했지만 일리에 너스타세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한 것이었다.[8]

필리치는 1973년 윔블던 보이콧의 도화선이 되었다. 1973년 5월, 유고슬라비아 테니스 연맹은 필리치가 그 달 초 뉴질랜드와의 데이비스컵 경기에서 그들을 대표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필리치는 이 혐의를 부인했지만 연맹에 의해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고, 이 정지 처분은 국제 테니스 연맹 (ILTF)에 의해 9개월에서 1개월로 줄어들었지만, 그가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출전 정지에 항의하여 프로 테니스 협회 (ATP)로 조직된 필리치의 동료 프로 선수 81명(시드 선수 16명 중 13명 포함)이 197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기권했다.[9][10][11]

은퇴 후

[편집]

프로 테니스 선수 은퇴 후, 필리치는 코칭을 시작했으며 세 국가에서 데이비스컵 트로피를 획득한 최초의 주장이 되었다. 1988, 1989, 1993년 독일, 2005년 크로아티아, 2010년 세르비아가 그 나라들이다. 그는 2007년부터 세르비아 데이비스컵 팀에서 자문 역할로 일했으며 2010년에 데이비스컵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는 거주지인 뮌헨 근처 오버슐라이스하임에서 테니스 아카데미를 운영했다. 미하엘 슈티히, 노바크 조코비치, 에르네스츠 굴비스, 아나스타시야 세바스토바와 같은 선수들이 필리치 아카데미를 통해 성장했다.[12]

개인 생활 및 사망

[편집]

1970년 필리치는 세르비아 배우 밀리차 "미야" 아다모비치와 결혼했다.[13] 부부는 1971년에 딸 다니옐라를 낳았다.[13] 둘째 아이인 아들 니코는 1975년에 태어났다.[14][13]

2020년에 그는 세르비아 공화국 공로 황금 훈장을 받았다.[15]

필리치는 2025년 9월 22일, 86세의 나이로 크로아티아 리예카에서 사망했다.[16][17][18]

그랜드 슬램 결승

[편집]

단식: 1 (준우승 1회)

[편집]
결과 연도 선수권 대회 표면 상대 선수 점수
1973 프랑스 오픈 클레이 루마니아 일리에 너스타세 3–6, 3–6, 0–6

복식: 2 (우승 1회, 준우승 1회)

[편집]
결과 연도 선수권 대회 표면 파트너 상대 선수 점수
1962 윔블던 잔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보로 요바노비치 오스트레일리아 밥 휴이트
오스트레일리아 프레드 스톨
2–6, 7–5, 2–6, 4–6
1970 US 오픈 잔디 프랑스 피에르 바르테스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6–3, 7–6, 4–6, 7–6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연대표

[편집]
W  F  SF QF #R RR Q# DNQ A NH
(W) winner; (F) finalist; (SF) semifinalist; (QF) quarterfinalist; (#R) rounds 4, 3, 2, 1; (RR) round-robin stage; (Q#) qualification round; (DNQ) did not qualify; (A) absent; (NH) not held; (SR) strike rate (events won / competed); (W–L) win–loss record.
토너먼트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SR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2R A A A A A A A 3R 2R A A A A A A A A 0 / 3
프랑스 오픈 A 4R 2R 3R 4R 3R A A A 2R A 1R A F A 3R A 1R 2R 0 / 11
윔블던 2R 3R 2R 1R 2R A 1R SF 1R 1R 2R 3R A A 3R 1R 4R 3R A 0 / 15
US 오픈 A A 1R A A 1R A 3R 4R 3R 4R 4R 4R QF A A A A A 0 / 9
우승률 0 / 1 0 / 2 0 / 4 0 / 2 0 / 2 0 / 2 0 / 1 0 / 2 0 / 2 0 / 3 0 / 3 0 / 4 0 / 1 0 / 2 0 / 1 0 / 2 0 / 1 0 / 2 0 / 1 0 / 38

참고: 호주 오픈은 1977년에 1월과 12월 두 번 개최되었다.

각주

[편집]
  1. Deutsche Welle Croatian language service 19 July 2010 Nikola Pilić – 'Prus sa Balkana'
  2. "Top Players Go For Cup", St. Petersburg Times, 31 January 1968.
  3. United States Lawn Tennis Association (1972). Official Encyclopedia of Tennis (First edition), p. 428.
  4. Nikola Pilić: Krao sam novac od majke da kupim reket;Blic, 29 May 2011
  5. “Yugoslavian Captures Moscow Title” (영어). 《Hartford Courant》 (Hartford, CT: The Wikipedia Library - Newspaper Archive.Com). 1964년 8월 17일. 19면. 2023년 10월 13일에 확인함. 
  6. “Wimbledon 1967”. 《www.tennis.co.nf》. 
  7. Wind, Herbert Warren (1979). 《Game, Set, and Match : The Tennis Boom of the 1960s and 70s》 1.판. New York: Dutton. 65–70쪽. ISBN 0525111409. 
  8. Collins, Bud (2010).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2판. [New York]: New Chapter Press. 389, 478쪽. ISBN 978-0942257700. 
  9. John Barrett 편집 (1974). 《World of Tennis '74》. London: Queen Anne. 15–17, 45–47쪽. ISBN 978-0362001686. 
  10. “The History of the Championships”. AELTC. 2011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3일에 확인함. 
  11. “Dark Fortnight For Wimbledon...”. SI. 1973년 7월 2일. 2012년 7월 23일에 확인함. 
  12. Grasso, John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Tennis》. Lanham, Md.: Scarecrow Press. 225쪽. ISBN 978-0810872370. 
  13. Radonić, Aleksandar (2025년 9월 23일). “Ljubav Nikole Pilića sa Srpkinjom bila je jača od rata i svih podela: Zavoleli su se u Novom Sadu i čak tri puta venčavali!” (세르비아어). Kurir. 202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9월 23일에 확인함. 
  14. Četiri decenije sa Nikolom; Blic, 25 September 2010
  15. “Svečana ceremonija dodele ordenja povodom Sretenja VIDEO” (세르비아어). 《B92.net》. 2020년 2월 15일. 2020년 2월 15일에 확인함. 
  16. Preminuo Nikola Pilić, legenda hrvatskog i svjetskog tenisa (크로아티아어)
  17. “Novak Djokovic's tennis father Nikola Pilic passes away at 87”. 《tennisupdate》. 2025년 9월 23일에 확인함. 
  18. “Niki Pilic, dashing tennis player who went on to coach five Davis Cup-winning teams”. The Telegraph. 2025년 9월 30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