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프네포리아

다프네포리아(고대 그리스어: Δαφνηφορία)는 고대 그리스 보이오티아의 테베에서 아폴로 이스메니오스 또는 갈락시오스를 기리기 위해 9년에 한 번씩 열렸던 축제였다.
역사
[편집]다프네포리아는 행렬을 이루며 진행되었으며, 그 중심 인물은 훌륭한 가문 출신으로 용모가 단정하며 부모가 모두 살아 있는 소년이었다. 젊은 참가자들과 함께한 이 행렬은 중요한 단계나 통과의례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결합할 수 있었다.[1] 다프네포로스(Daphnephoros, ‘월계수를 지닌 자’)라 불린 이 소년 바로 앞에는 가까운 친척 중 한 사람이 걸었는데, 그는 월계수와 꽃이 매달린 올리브 가지를 들고 있었다. 그 가지의 윗부분에는 청동 공이 달려 있었고, 그곳에서 몇 개의 작은 공들이 매달려 있었다. 또 다른 작은 공은 가지나 장대(κώπω라고 불렸다)의 중간에 놓여 있었으며, 장대는 보라색 리본으로 감겨 있었고 아래쪽은 샤프란색 리본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이 공들은 태양, 별, 달을 상징한다고 했으며, 리본은 1년 365일을 가리킨다고 전해졌다.[2] 다프네포로스는 금관이나 월계수 화환을 쓰고 화려한 옷을 입었으며, 부분적으로 그 장대를 잡고 있었다. 그의 뒤에는 탄원자의 가지를 든 처녀들의 합창단이 따라오며 신에게 바치는 찬가를 불렀다.[2]
고대 자료
[편집]다프네포로스는 아폴론의 신전에 청동 삼각대를 봉헌했으며, 파우사니아스(9권 10장 4절)는 헤라클레스가 다프네포로스였을 때 그의 아버지 암피트리온이 그곳에 삼각대를 봉헌한 사실을 언급한다. 이 축제는 프로클로스에 의해 묘사되었으며, 이는 포티오스의 《비블리오테카》(Bibliotheca) 제239권에 인용되어 전해진다.[3]
각주
[편집]- ↑ Langdon, Susan (2008). “Virgin Territory: The Construction of the Maiden” (PDF). 《Art and Identity in Dark Age Greece, 1100-700 B.C.E.》: 182.
- ↑ 가 나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문헌
[편집]- August Mommsen, Feste der Stadt Athen (1898);
- KO Müller, Orchomenos (1844);
- Article in Daremberg and Saglio's Dictionnaire des antiquités;
- 길버트와 설리번의 《Patience》, 프레더릭 레이턴의 축제 그림을 참고한 미학 운동에 관한 코믹 오페라.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다프네포리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More detail on the Daphnephoria and Daphnephor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