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초대수 이론에서, 단순 리 초대수(單純Lie超代數, 영어: simple Lie superalgebra)는 자명하지 않은 아이디얼을 갖지 않는 리 초대수이다.
가환환
위의 리 초대수
의 아이디얼은
의 부분 리 초대수
가운데

인 것이다.
표수 0의 체 위의 리 초대수
가 정확히 두 개의 리 초대수 아이디얼을 가질 경우, 이를 단순 리 초대수라고 한다. (이 경우, 아이디얼은
과
전체이다.
인 경우는 아이디얼이 1개이므로 해당되지 않으며, 이는 1을 소수로 간주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표수 0의 체 위의 단순 리 초대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고전 리 초대수(古典Lie超代數, 영어: classical Lie superalgebra)라고 한다.
의,
위의 리 대수의 표현이 완전 분해 가능 표현이다.
고전 리 초대수가 아닌 단순 리 초대수를 카르탕형 대수(Cartan型代數, 영어: Cartan-type algebra) 또는 초고전적 대수(超古典的代數, 영어: hyperclassical algebra)라고 하며,
,
,
,
이 있다.
표수 0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단순 리 초대수들은 모두 분류되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1]:45, Theorem 2
이름 |
기호 |
조건 |
보손 부분 대수 |
보손 차원 |
페르미온 표현 |
페르미온 차원
|
특수 선형 |
 |
 |
 |
 |
 |
|
사영 특수 선형 |
 |
 |
 |
 |
 |
|
직교-심플렉틱 |
 |
,  |
 |
 |
 |
|
이상한 |
 |
 |
 |
 |
 |
|
페리플렉틱 |
 |
 |
 |
 |
 |
|
예외 |
 |
 |
 |
9 |
 |
8
|
예외 |
 |
|
 |
24 |
 |
16
|
예외 |
 |
|
 |
17 |
 |
14
|
카르탕형 |
 |
 |
(복잡함) |
 |
(복잡함) |
|
카르탕형 특수 |
 |
 |
(복집함) |
 |
(복잡함) |
|
카르탕형 특수 |
 |
 |
(복잡함) |
 |
(복잡함) |
|
해밀턴형 |
 |
 |
(복잡함) |
 |
(복잡함) |
|
위 표에서
는
의 대칭 성분이고,
는
의 반대칭 성분이다.
이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동형이 존재한다.






이 밖에 단순 리 초대수 사이의 다른 동형은 없다.
실수체 위의 고전 리 초대수 역시 분류되었다.[1]:59, Theorem 9, §3[2]
복소화 |
실수 형태 |
조건 |
보손 부분 대수
|
 |
 |
 |
|
 |
,  |
|
 |
, ,  |
|
 |
 |
|
|
 |
 |
|
 |
 |
|
(이름 없음) |
|
|
 |
 |
 |
|
 |
 |
|
 |
 |
 |
|
 |
 |
 |
|
 |
 |
|
 |
(이름 없음) |
|
|
(이름 없음) |
|
|
 |
 |
 |
|
 |
|
|
 |
 |
 |
|
 |
 |
|
 |
|
|
초행렬은 다음과 같은 꼴의 행렬이다.

여기서
는
이고,
는
이다.
초행렬의 모임을 일반 선형 리 초대수(一般線型Lie超代數, 영어: general linear Lie superalgebra)
이라고 쓰자. 초행렬의 초대각합(超對角合, 영어: supertrace)은 다음과 같다.[3]:§25

특수 선형 리 초대수(特殊線型Lie超代數, 영어: special lienar Lie superalgebra)
는 초대각합이 0인 초행렬들로 구성된 리 초대수이다.[3]:§25

단위 행렬
의 경우
이므로,
일 필요 충분 조건은
이다. 이 경우, 사영 특수 선형 리 초대수(射影特殊線型Lie超代數, 영어: projective special linear Lie superalgebra)
는 다음과 같은, 중심에 대한 몫이다.
![{\displaystyle {\mathfrak {psl}}(m|m)=\left\{[M]_{\sim }\colon M\in {\mathfrak {sl}}(m|m),\;M\sim M+1_{m|m}\right\}}](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0fa3f5ce42a966e0f040498c835f323ff2aac64)
직교-심플렉틱 리 초대수(直交symplectic Lie超代數, 영어: orthosymplectic Lie superalgebra)
는 다음과 같은 초행렬들로 구성된 리 초대수이다.[3]:§25

여기서

이다.
페리플렉틱 리 초대수(periplectic Lie超代數, 영어: periplectic Lie superalgebra)
는 다음과 같다.[3]:§25[4]:9, (1.14)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이 리 초대수는 단위 행렬로 생성되는 중심을 갖는데, 이에 대한 몫을 이상한 리 초대수(異常한Lie超代數, 영어: queer Lie superalgebra)
이라고 한다.[3]:§25
![{\displaystyle {\mathfrak {q}}(n)=\{[M]_{\sim }\colon M\in {\tilde {\mathfrak {q}}}(n),\;M\sim M+1_{n|n}\}}](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a2c7406e4fe5ae37dd6a36d89a3c7ae89205ead)
또는
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3]:§20 이 리 초대수의 보손 리 대수는
이며, 이에 대한 페르미온 표현은
이다. 이에 따라, 지표
(
의 정의 표현의 지표)
(
지표)
(
의 정의 표현의 지표)
를 사용하면, 보손 생성원
및 페르미온 생성원
에 대한 리 초괄호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t_{i}^{a},t_{j}^{b}]=\mathrm {i} \delta ^{ab}\epsilon _{ijk}t_{k}^{a}}](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9a43b726fca47ec692c365d295e3a7747c67ad4)
![{\displaystyle [t_{i}^{a},F_{\alpha _{1}\alpha _{2}\alpha _{3}}]={\frac {1}{2}}\sigma _{\alpha _{a}'\alpha _{a}}^{i}F_{\alpha _{1}\dotso \alpha _{a}'\dotso \alpha _{3}}}](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dd3918fcb4f8c203dda9491f9c81561ed2dd5ad)

이다. 여기서
는 파울리 행렬이며,

는 3차원 스피너의 전하 켤레 행렬이다.
페르미온-페르미온 리 초괄호에 등장하는 세 개의 복소수 계수
는 야코비 항등식에 의하여

을 만족시켜야 하며, 또한

이다. 즉,
은 3차원 복소수 사영 평면
의 동차 좌표를 이루며, 그 속에서 가능한 값은

으로 정의되는 사영 직선의
에 대한 몫 오비폴드이다.
이에 따라,

로 좌표를 잡으면, 그 위의 대칭군
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인 점은
에 해당한다.
실수 계수의 경우, 가능한 보손 리 대수는 다음과 같다.[2]:694–695, §5B
보손 리 대수 |
대칭 |
의 조건 |
의 동치 관계 |
의 표준 영역
|
 |
 |
 |
 |
|
 |
 |
 |
(없음) |
|
 |
 |
 |
 |
|
이 경우, 복소수 계수
의 가능한 값은 실수 조건을 통해 제한되며, 그
대칭 또한 위와 같이 깨지게 된다. 이 경우, 가능한
의 동치 관계는 위 표와 같으며, 이 동치 관계의 동치류들은 위 표준 영역의 원소와 일대일 대응한다.
체
위의 벡터 공간
위의 외대수
위의
-등급 미분들, 즉
-선형 변환

가운데

를 만족시키는 것들의 벡터 공간을
라고 하자.
의 기저
를 잡았을 때,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의
-등급으로부터, 이는
위에
-등급을 정의한다. 그 위의 리 초괄호는 단순히
![{\displaystyle [d,d']=d\circ d'\pm d'\circ d}](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0a8339d288b2a5f80a480ca37e22c63c7f1f046)
이며, 여기서 ± 부호는
등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만약
가 2 이상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라면, 이는 단순 리 초대수를 이룬다. 이를
로 표기한다.
특수 카르탕형 리 초대수(영어: special Cartan-type Lie superalgebra)
과
및 해밀턴형 리 초대수(영어: Hamilton-type Lie superalgebra)
은 모두
의 부분 리 초대수이다.
단순 리 초대수의 분류는 빅토르 카츠가 1975년에 완성하였다.[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