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월사기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베트남어: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 大越史記全書 다이비엣스키또안트)는 베트남 후 레 왕조(後黎朝) 시기에 편찬된 베트남의 공식 편년체 역사서이다. 후 레 왕조의 군주 성종(聖宗)의 어명 하에 홍득 연간(洪德, 1470년 - 1497년)에 사관 응오씨리엔(베트남어: Ngô Sĩ Liên / 吳士連 오사련)을 중심으로 하여 편찬하였다. 이 책은 기본적인 사료인 대월사기(베트남어: Đại Việt sử ký / 大越史記)를 보완하여 편찬한 것으로, 홍방(베트남어: Hồng Bàng / 鴻龐) 이래의 전설과 사실을 기록하였다. 1797년, 떠이선 왕조(西山朝)의 사관 응오 티 념(베트남어: Ngô Thì Nhậm 또는 Ngô Thời Nhiệm(응오 터이 니엠) / 吳時任 오시임)에 의하여 후 레 왕조 민제(愍帝) 찌에우통(紹統) 3년(1789년) 시기 역사까지 새로 증보되었다.

편찬

[편집]

제1차 편찬

[편집]

대월사기전서가 언제 만들기 시작하였는지는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대월사기전서 본기13 성종순황제 본기에 따르면 홍득(洪德) 2년(1471년)에 응오씨리엔(吳士連)을 사관수찬(史官修撰)으로 임명한 기사가 존재한다. 기록으로 볼 때, 최소한 사관수찬 임명 때 이후로 대월사기전서를 편찬하기 시작하였다고 본다. 대월사기전서 이전에 쩐 왕조성종 시기에 국사원감수(國史院監脩) 레반흐우(黎文休) 등이 만든《대월사기(大越史記)》와 저자 미상의《월사략(越史略)》등이 존재하였다. 대월사기와 월사략은 공통적으로 남비엣(南越) 때부터 리 왕조(李朝) 때 까지 기록한 사서였으며, 월사략이 편찬 된 이래로 쩐 왕조 건국 이후가 기록된 역사서가 부재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경 등을 바탕으로 후 레 왕조의 군주 이 나라의 기틀을 잡고자 한 정책 중 하나가 역사서 편찬이다. 대월사기전서를 편찬 할 때 전 왕조에서 만든 대월사기를 기본 틀을 삼아, 기타 역사서 및 야사 등을 모아 편찬하였다. 홍득 10년 정월 26일(율리우스력 1479년 2월 17일)에 외기전서 5권과 본기전서 10권을 포함하여 총 15권을 완성하였다. 역사서에 기록 된 시기는 홍방 시기(기원전 21세기경)부터 후 레 왕조 개창 전(1427년)까지이다. 이 책의 의의는 기존의 남비엣을 기점으로 시작 하는 기존의 역사서에서 홍방 시기와 어우락 시기를 포함시켜 베트남의 역사를 앞당겼으며, 베트남사를 연구하는 사료로서 1차 사료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제2차 편찬

[편집]

성종(聖宗) 사후에 후 레 왕조의 여러 혼란기가 찾아왔으며, 후 레 왕조막 왕조가 공존하는 남북조 시대 그리고 찐-응우옌 분쟁 등으로 후속 역사서 편찬이 미뤄졌다. 대월사기전서 본기 기사에는 안나오나, 대월사기전서 권수(卷首)의 한 부분이자 서책의 편찬자인 팜꽁쭈(베트남어: Phạm Công Trứ / 范公著 범공저)가 작성한 대월사기속편서(大越史記續編書)에서 본기실록과 본기속편을 편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속편서의 작성 시기는 까인찌(景治) 3년(1665년) 중추절(仲秋節, 음력 8월 15일) 때이므로, 최소한 후속 역사서가 그 해 음력 8월 이전에는 편찬이 완료된 걸로 보인다. 편찬된 서책의 구성으로는 본기실록 6권에 본기속편 3권으로 구성되어있다. 역사서에 기록 된 시기는 후 레 왕조 개창 전 람선 봉기 시작(1417년)에서 신종(神宗)의 재위기(1662년)까지이다. 역사서의 주요 특징으로는 본기실록 제1권은 본기속편 제10권을 개수한 후, 태조(太祖) 재위기를 합쳐서 본기실록 1권으로 재편찬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본기실록 부분의 기록은 어느정도 이상 작성되어있지만, 본기속편 부분의 기록은 외기전서 만큼이나 부실하다. 막당중(莫登庸)의 황위 찬탈 전후에는 기록이 어느정도 존재하나, 후 레 왕조 중흥 이후에 길어진 혼란기에 의하여 그 시기의 기록이 역사학적으로도 적다는 게 특징이다.

제3차 편찬

[편집]

대월사기전서 속편1 희종 본기와 대월사기전서 권수의 한 부분이자 형부상서(刑部尙書) 레히(베트남어: Lê Hy / 黎僖 여희)가 작성한 대월사기속편서(大越史記續編序)를 참고하자면, 찐호아(正和) 18년(1697년) 11월에 본기속편추가 1권이 완성한 기록이 전해진다. 총괄 편찬자 형부상서 레히 외에도 20여 명의 대신이 편찬에 동참하였다. 역사서에 기록 된 시기는 현종(玄宗)의 재위 원년부터(1663년)부터 희종(熙宗)의 즉위년(1675년)까지이다.

제4차 편찬

[편집]
부제 편찬연도 총괄 편찬자 기타
《외기전서》
(外記全書)
4 1 1479년
<홍득(洪德) 10년>
응오씨리엔
(Ngô Sĩ Liên/吳士連/오사련)
《본기전서》
(本紀全書)
9(10) 3
《본기실록》
(本紀實錄)
6(5) 3 1665년
<까인찌(景治) 3년>
팜꽁쭈
(Phạm Công Trứ/范公著/범공저)
[1]
《본기속편》
(本紀續編)
3 1
《본기속편추가》
(本紀續編追加)
1 1 1697년
<찐호아(正和) 18년>
레히
(Lê Hy/黎僖/여희)
《속편》
(續編)
또는
《월사속편》
(越史續編)
5 1797년
<까인틴(景盛) 5년>
응오티념
(Ngô Thì Nhậm/吳時任/오시임)
[2]

목록

[편집]

권수

[편집]
제1책
### 목록 비고
권수
(卷首)
대월사기속편서(大越史記續編序), 대월사기속편서(大越史記續編書), 대월사기외기전서서(大越史記外紀全書序), 의진대월사기전서표(擬進大越史記全書表), 찬수대월사기전서범례(篡修大越史記全書凣例), 월감통효총론(越鑑通孝總論), 대월사기전서서(大越史記全書序)

외기전서

[편집]
제2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외기
1
외기
전서
1
홍방기
(鴻龐紀)
경양왕
(涇陽王)
기원전 21세기
(홍방 경양왕 원년)
기원전 208년
(어우락 안양왕 50년
/ 이세황제 2년)
맥룡군
(貉龍君)
웅왕
(雄王)
촉기
(蜀紀)
안양왕
(安陽王)
외기
2
외기
전서
2
조씨기
(趙氏紀)
무제
(武帝)
기원전 207년
(남비엣 문제 원년
/진 이세황제 3년)
기원전 111년
(남비엣 양왕 원년
/전한 무제 원정(元鼎) 6년)
문왕
(文王)
명왕
(明王)
애왕
(哀王)
술양왕
(術陽王)
외기
3
외기
전서
3
속서한기
(屬西漢紀)
기원전 110년
(전한 무제 원봉(元封) 원년)
226년
(교주 사왕 40년
/촉한 후주 건흥(建興) 4년
/동오 오왕 황무(黃武) 5년)
징여왕기
(徵女王紀)
쯩짝
(徵側)
쯩니
(徵貳)
속동한기
(屬東漢紀)
사왕기
(士王紀)
사섭
(士燮)
외기
4
외기
전서
4
속오진송제양기
(屬吳晉宋齊梁紀)
227년
(촉한 후주 건흥(建興) 5년
/동오 오왕 황무(黃武) 6년)
601년
(전 리 후이남제 32년
/ 문제 인수(仁壽) 원년)
전이기
(前李紀)
전이남제
(前李南帝)
조월기
(趙越紀)
조월왕
(趙越王)
후이기
(後李紀)
후이남제
(後李南帝)
외기
5
외기
전서
5
속수당기
(屬隋唐紀)
602년
(수 문제 인수(仁壽) 2년)
967년
(응오 후오왕 17년
/북송 태조 건덕(乾德) 5년)
남북분쟁기
(南北分爭紀)
오기
(吳紀)
전오왕
(前吳王)
양평왕
(楊平王)
후오왕
(後吳王)
오사군
(吳使君)

본기전서

[편집]
  • 본기전서 1
제3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1
본기
전서
1
정기
(丁紀)
선황제
(先皇帝)
968년
(딘 선제 원년
/북송 태조 개보(開寶) 원년)
1009년
(전 레 까인투이(景瑞) 2년
/북송 진종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
폐제
(廢帝)
여기
(黎紀)
대행황제
(大行皇帝)
중종황제
(中宗皇帝)
와조황제
(臥朝皇帝)
본기
2
본기
전서
2
이기
(李紀)
1
태조황제
(太祖皇帝)
1010년
(리 태조 투언티엔(順天) 원년
/북송 진종 대중상부(大中祥符) 3년)
1054년
(리 성종 롱투이타이빈(龍瑞太平) 원년
/북송 인종 지화(至和) 원년)
태종황제
(太宗皇帝)
본기
3
본기
전서
3
이기
(李紀)
2
성종황제
(聖宗皇帝)
1055년
(리 성종 롱투이타이빈(龍瑞太平) 2년
/북송 인종 지화(至和) 2년)
1138년
(리 영종 티에우민(紹明) 원년
/남송 고종 소흥(紹興) 8년)
인종황제
(仁宗皇帝)
신종황제
(神宗皇帝)
본기
4
본기
전서
4
이기
(李紀)
3
영종황제
(英宗皇帝)
1139년
(리 영종 티에우민(紹明) 2년
/남송 고종 소흥(紹興) 9년)
1225년
( 태종 끼엔쭝(建中) 원년
/남송 이종 보경(寶慶) 원년)
고종황제
(高宗皇帝)
혜종황제
(惠宗皇帝)
소황
(昭皇)
  • 본기전서 2
제4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5
본기
전서
5
진기
(陳紀)
1
태종황제
(太宗皇帝)
1226년
(쩐 태종 끼엔쭝(建中) 2년
/남송 이종 보경(寶慶) 2년)
1293년
(쩐 영종 흥롱(興隆) 원년
/ 세조 지원(至元) 30년)
성종황제
(聖宗皇帝)
인종황제
(仁宗皇帝)
본기
6
본기
전서
6
진기
(陳紀)
2
영종황제
(英宗皇帝)
1294년
(쩐 영종 흥롱(興隆) 2년
/원 세조 지원(至元) 31년)
1329년
(쩐 헌종 카이흐우(開佑) 원년
/원 문종 천력(天曆) 2년)
명종황제
(明宗皇帝)
제5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7
본기
전서
7
진기
(陳紀)
3
헌종황제
(憲宗皇帝)
1330년
(쩐 헌종 카이흐우(開佑) 2년
/원 문종 지순(至順) 원년)
1377년
(쩐 폐제 쓰엉푸(昌符) 원년
/ 태조 홍무(洪武) 10년)
[3]
유종황제
(裕宗皇帝)
예종황제
(藝宗皇帝)
예종황제
(睿宗皇帝)
본기
8
본기
전서
8
진기
(陳紀)
4
폐제
(廢帝)
1378년
(쩐 폐제 쓰엉푸(昌符) 2년
/명 태조 홍무(洪武) 11년)
1406년
( 호한트엉 카이다이(開大) 4년
/명 성조 영락(永樂) 4년)
[4]
순종
(順宗)
소제
(少帝)
〈부록〉
호 왕조
본기
9
본기
전서
9
후진기
(後陳紀)
간정제
(簡定帝)
1407년
(후 쩐 흥카인(興慶) 원년
/명 성조 영락(永樂) 5년)
1417년
(명 성조 영락(永樂) 15년)
중광제
(重光帝)
속명기
(屬明紀)

본기실록

[편집]
제6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10
본기
실록
1
여황조기
(黎皇朝紀)
1
태조고황제
(太祖高皇帝)
1418년
(람선 평정왕 원년
/ 성조 영락(永樂) 16년)
1433년
(레 태조 투언티엔(順天) 6년
/명 선종 선덕(宣德) 8년)
본기
11
본기
실록
2
여황조기
(黎皇朝紀)
2
태종문황제
(太宗文皇帝)
1434년
(레 태종 티에우빈(紹平) 원년
/명 선종 선덕(宣德) 9년)
1459년
(레 여덕후 티엔흥(天興) 원년
/명 영종 복위 천순(天順) 4년)
[5]
인종선황제
(仁宗宣皇帝)
제7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12
본기
실록
3
여황조기
(黎皇朝紀)
3
성종순황제
(聖宗淳皇帝)
1460년
(레 성종 꽝투언(光順) 원년
/명 영종 복위 천순(天順) 5년)
1472년
(레 성종 홍득(洪德) 3년
/명 헌종 성화(成化) 8년)
[6]
본기
13
본기
실록
4
여황조기
(黎皇朝紀)
4
성종순황제
(聖宗淳皇帝)
1473년
(레 성종 홍득(洪德) 4년
/명 헌종 성화(成化) 9년)
1497년
(레 성종 홍득(洪德) 28년
/명 효종 홍치(弘治) 10년)
제8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14
본기
실록
5
여황조기
(黎皇朝紀)
5
헌종예황제
(憲宗睿皇帝)
1498년
(레 헌종 까인통(景統) 원년
/명 효종 홍치(弘治) 11년)
1509년
(레 양익제 홍투언(洪順) 원년
/명 무종 정덕(正德) 4년)
숙종흠황제
(肅宗欽皇帝)
위목제
(威穆帝)
본기
15
본기
실록
6
여황조기
(黎皇朝紀)
6
양익제
(襄翼帝)
1510년
(레 양익제 홍투언(洪順) 2년
/명 무종 정덕(正德) 5년)
1532년
( 태종 다이찐(大正) 3년
/명 세종 가정(嘉靖) 11년)
[7]
소종
(昭宗)
공황
(恭皇)
〈부록〉
막 왕조

본기속편

[편집]
제9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16
본기
속편
1
여황조기
(黎皇朝紀)
7
장종유황제
(莊宗裕皇帝)
1533년
(레 장종 응우옌호아(元和) 원년
/ 태종 다이찐(大正) 4년
/ 세종 가정(嘉靖) 12년)
1572년
(레 영종 홍푹(洪福) 원년
/막 막머우헙 숭캉(崇康) 5년
/명 목종 융경(隆慶) 6년)
[8]
중종무황제
(中宗武皇帝)
영종준황제
(英宗峻皇帝)
〈부록〉
막 왕조
본기
17
본기
속편
2
여황조기
(黎皇朝紀)
8
세종의황제
(世宗毅皇帝)
1573년
(레 세종 자타이(嘉泰) 원년
/막 막머우헙 숭캉(崇康) 6년
/명 신종 만력(萬曆) 원년)
1599년
(레 세종 꽝흥(光興) 22년
/막 막낀꿍 끼엔통(乾統) 7년
/명 신종 만력(萬曆) 27년)
[8]
〈부록〉
막 왕조
본기
18
본기
속편
3
여황조기
(黎皇朝紀)
9
경종혜황제
(敬宗惠皇帝)
1600년
(레 경종 턴득(愼德) 원년
/막 막낀꿍 끼엔통(乾統) 8년
/명 신종 만력(萬曆) 28년)
1662년
(레 신종 복위 반카인(萬慶) 원년
/ 성조 강희(康熙) 원년
/동녕국 영력(永曆) 16년)
[8]
신종연황제
(神宗淵皇帝)
진종순황제
(眞宗順皇帝)
신종연황제
(神宗淵皇帝)
제10책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본기
19
본기
속편
추가
여황조기
(黎皇朝紀)
10
현종목황제
(玄宗穆皇帝)
1663년
(레 현종 까인찌(景治) 원년
/청 성조 강희(康熙) 2년
/동녕국 영력(永曆) 17년)
1675년
(레 가종 득응우옌(德元) 2년
/청 성조 강희(康熙) 14년
/동녕국 영력(永曆) 29년)
가종미황제
(嘉宗美皇帝)

속편

[편집]
### 부제 목록
(군주)
시작 시기
(음력)
최종 시기
(음력)
비고
속편
1
여기
(黎紀)
1
희종장황제
(熙宗章皇帝)
1676년
(레 희종 빈찌(永治) 원년
/ 성조 강희(康熙) 15년
/동녕국 영력(永曆) 30년)
1705년
(레 유종 빈틴(永盛) 원년
/청 성조 강희(康熙) 44년)
속편
2
여기
(黎紀)
2
유종화황제
(裕宗和皇帝)
1706년
(레 유종 빈틴(永盛) 2년
/청 성조 강희(康熙) 45년)
1732년
(레 순종 롱득(龍德) 원년
/청 세종 옹정(雍正) 10년)
혼덕공
(昏德公)
속편
3
여기
(黎紀)
3
순종간황제
(純宗簡皇帝)
1733년
(레 순종 롱득(龍德) 2년
/청 세종 옹정(雍正) 11년)
1740년
(레 현종 까인흥(景興) 원년
/청 고종 건륭(乾隆) 5년)
의종휘황제
(懿宗徽皇帝)
속편
4
여기
(黎紀)
4
현종영황제
(顯宗永皇帝)
1741년
(레 현종 까인흥(景興) 2년
/청 고종 건륭(乾隆) 6년)
1763년
(레 현종 까인흥(景興) 24년
/청 고종 건륭(乾隆) 28년)
속편
5
여기
(黎紀)
5
현종영황제
(顯宗永皇帝)
1764년
(레 현종 까인흥(景興) 25년
/청 고종 건륭(乾隆) 29년)
1789년
(레 민제 찌에우통(昭統) 3년
/청 고종 건륭(乾隆) 54년)
민제
(愍帝)

베트남 신화 ( 락롱꾸언 신화 )

[편집]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신농씨의 3세손 데 밍(vi:Đế Minh, 帝明)이 데 응이를 낳고 나서 남방을 순방하던 중 응우 링(Ngu Linh, 현재의 오령산맥)에 이르렀다. 그는 이 곳에서 무선녀(무선이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록 뚝(Lộc Tục, 祿續)을 낳았다. 록 뚝이 총명하기 그지없어 데 밍은 몹시 사랑하여 왕위를 물려주고 싶었다. 그러나, 록 뚝이 한사코 사양하며 그의 형에게 양보하기를 고집하니, 데 밍은 그렇기에 장남인 데 응이 에게 북방을 다스리게 하고, 차남 록 뚝을 낀 즈엉 브엉(Kinh Duong Vuong, 經陽王)에 봉하여 씩 꾸이(Xich Quy)라고 하는 남방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록 똑은 동 딩 꾸언(Dong Dinh Quan)의 딸 턴 롱(Than Long, 神龍)과 혼인하여 숭 람(Sùng Lãm, 崇纜) 즉, 락 롱 꾸언(Lac Long Quan, 貉龍君)을 낳았다. 숭 람은 데 라이(데 응이의 아들이다)의 아내(개세상 홍왕, 예악미저이 라는 부분이 이 뒤에 나오는데, 이는 세상이 넓고 황량하여 예와 악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혼이 가능함을 서술하는 것이다. 따라서 데 라이의 딸 보다 아내로 해석하는 것이 더 옳다.) 어우 꺼(Au Co)와 결혼하여 100명의 남자를 낳았고,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100여개의 을 낳았다고 한다. 그 알에서 100여명의 아들이 나왔는데 이들이 백월족(白越族)의 선조로 알려진다. (오늘 날 베트남인들은 숭 람과 어우 꺼를 자신들의 시조로 여기고 있으며, 자기네를 백월족의 자손이라 생각하고있다.) 어느 날 숭 람이 어우 꺼에게 말하기를 나는 의 자손이요, 당신은 의 자손이라 은 서로 다른 까닭에 합하는 게 실로 어렵지 않겠소라고 하였다. 이들은 즉시 헤어졌는데 어우 꺼는 50여명의 아들을 데리고 산으로 돌아갔고, 숭 람도 나머지 50여명의 아들을 데리고 남쪽에 거주하였는데, 응오 씨 리엔의 주석에 의하면, '남쪽에 거주함은 곧 남해로 돌아간 것이다.' 이 때 이들은 장남을 훙 브엉(Hung Vuong, 雄王)으로 봉하여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다. 이 후의 들은 훙 브엉이라 불리었다.

각주

[편집]
  1. 본기전서 10권에서 레 태조 치세 기록을 합하여 본기실록 1권에 포함시킴.
  2. 후 레 왕조 멸망 후 떠이선 왕조 때 편찬됨.
  3. 유종 본기 유종 사후에서 예종 본기 예종 즉위 전 사이에 혼덕공(昏德公)의 재위 시기 기록을 포함함.
  4. 호 왕조 군주 호꾸이리(胡季犛)와 호한트엉(胡漢蒼)의 재위 시기를 부록으로 기록함.
  5. 인종 사후 폐제 여덕후(厲德侯) 재위 전반기 기록을 포함함.
  6. 성종 즉위 전 폐제 여덕후(厲德侯) 재위 후반기 기록을 포함함.
  7. 막왕조 군주 막당중(莫登庸)과 막당조아인(莫登瀛)의 재위 시기를 부록으로 기록함.
  8. 막 왕조의 군주 막당조아인(莫登瀛), 막푹하이(莫福海), 막푹응우옌(莫福源), 막머우헙(莫茂洽), 까오방 정권 군주 등의 기록을 따로 부록으로 두지 않고, 후 레 왕조 군주 기록에 같이 기록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