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전기통신금융사기
대한민국의 전기통신금융사기는 전화, 문자, 인터넷 메신저, 웹사이트 등 전기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금전을 편취하거나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사기 유형을 말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1]에서 개념과 피해환급 절차를 규정한다.[2][3]
정의와 법적 범위
[편집]- 법적 정의 :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타인을 기망·착오에 빠뜨려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는 행위를 전기통신금융사기로 정의하며, 피해금의 지급정지와 환급 절차를 마련한다.[2][3]
- 관련 범죄와의 구분 : 컴퓨터사용사기죄·전자금융거래법 위반 등과 경합될 수 있으나, 통신수단을 활용한 편취와 피해금 환급은 특별법이 우선 적용된다.[2]
- 최근 개정 동향 : 2024년 개정으로 의심 거래 전체 동결이 아니라 특정 분쟁금액만 신속 동결·환급할 수 있도록 정비되었다(시행일 기준 참조).[3]
개요
[편집]전기통신금융사기는 사회공학과 사이버 범죄 기술, 최근에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모두 이용한다. 유형은 보이스 피싱, 스미싱, 피싱(가짜 사이트), 파밍, 큐싱(QR 코드 악용), 메신저 사칭, 딥페이크 영상·음성 변조, 대면편취(현금수거) 등으로 세분된다. 정부는 112(경찰)·1332(금융감독원)로 신고·피해구제를 일원화하고, ‘보이스피싱 지킴이’ 등 통합 안내 자원을 제공한다.[4][5]
역사와 동향
[편집]- 범죄조직의 산업화 : 해외 콜센터·현금수거·자금세탁을 분업화한 조직범죄 양상이 정착했다. 대한민국 대검찰청 정부합동수사단은 2024년 이후 가상계좌를 매개로 한 대규모 자금세탁 수법과 조직을 적발하며 대대적 수사를 전개하였다.[6]
- 범죄단체 인정 판례 : 대법원은 2017년 전기통신금융사기 조직을 범죄단체조직죄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여 엄벌의 근거를 확립했다.[7]
- 국제 공조 : INTERPOL·EUROPOL 등은 비대면 편취·투자사기·정부기관 사칭을 포함한 사회공학형 금융사기에 대한 국제 공조·예방자료를 상시 제공한다.[8][9]
주요 유형
[편집]로맨스 스캠
[편집]대한민국의 전기통신금융사기 범주에서 로맨스 스캠은 온라인 연애나 결혼을 빌미로 하는 사기 수법을 말한다. 소셜미디어, 메신저, 데이팅 앱 등을 통해 피해자와 정서적 유대를 쌓은 뒤 송금이나 수수료, 세관 비용, 투자금 명목으로 계속해서 돈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범죄자는 군인이나 의사, 해외 파견 전문가처럼 신뢰를 얻기 쉬운 직업을 사칭하며, 운송비나 상속세, 귀국 비용을 핑계로 금전을 요구한다. 나아가 이른바 돼지도살 방식의 투자 사기로 확장되기도 하는데, 이는 가상화폐나 주식 등 투자 플랫폼을 위장해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돼지도살 사기는 범죄조직 내부 은어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돼지를 기른 후 도살한다는 비유에서 따온 것이다. 피해자를 장기간 관리하며 신뢰를 쌓고, 초기에는 소액을 요구해 성공 경험을 심어준 뒤 결국 큰 금액을 빼앗는 구조다. 이 때문에 단기간에 피해가 발생하는 일반 보이스피싱과 달리, 피해자가 오랜 기간 거짓 관계에 얽매여 심리적, 재정적 타격을 동시에 받는 것이 특징이다.[10][11]
개요
[편집]대한민국에서는 로맨스 스캠이 단순히 송금만 요구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투자나 무역, 운송 사기와 결합한 복합형으로 발전하였다. 경찰 수사에서는 가상인물, 딥페이크 기술, 가짜 투자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대규모 조직 범행이 확인되었다. 이는 피해자가 더 쉽게 속아넘어가도록 만들고, 피해 규모도 커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12][13]
표적·접근 경로
[편집]- 접근 채널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오픈채팅 같은 공개 소셜미디어와 데이팅 앱, 메신저의 직접 메시지 등이다.
- 표적은 중장년층이나 1인 가구, 해외 교류 경험자뿐 아니라 20~30대의 투자 관심이 있는 층까지 확대되고 있다.
- 피해자가 주변에 알리지 못하게 하는 것도 특징인데, 가족이나 지인과 상의하지 말라는 ‘보안’이나 ‘극비’라는 말을 강조해 대화를 지속하고 심리적 의존을 강화한다.
전형적 시나리오
[편집]- 군인 사칭형 : 주한 미군을 포함한 군인을 사칭하며 곧 전역해 결혼하자는 이야기로 접근한다. 운송비나 세관비, 항공료 등을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고, 송금이 지연되면 추가 비용을 요구하기도 한다. 서울에서는 2천7백만 원 송금이 은행과 경찰의 개입으로 차단된 사례가 있었다.[14]
- 전문직이나 재력가 사칭형 : 해외 의사나 엔지니어, 사업가를 가장하여 짧은 시간 안에 결혼하거나 동거하자는 계획을 내세운다. 이어 급한 수술비, 통관비, 투자 마감 자금 등을 이유로 송금을 요구한다.[15]
- 투자 유도형 : 돼지도살 방식으로 연애 관계를 기반 삼아 가상자산, 주식 거래 등 가짜 투자 플랫폼으로 유도한다. 결국 피해자는 큰 금액을 투자하게 되고, 울산경찰청 수사에서는 120억 원대 조직이 적발되기도 했다.[16][17]
지급수단·자금흐름
[편집]- 처음에는 운송비나 수수료 명목의 소액 송금을 요구한다.
- 이후 병원비, 귀국비, 통관비 등으로 요구 금액을 늘린다.
- 마지막에는 투자금으로 전환하여 거래소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게 한다.
- 계좌이체, 송금업체, 선불코드, 가상자산 전송 등이 사용된다.
- 은행 창구에서는 직원이 수상함을 인지하고 경찰과 함께 송금을 차단한 사례도 있었다.[18]
기술과 전술
[편집]- 신분 도용 : 실제 군인, 외교관, 의사 등의 사진과 프로필을 훔쳐 계정을 만든다.[19]
- 인공지능과 합성매체 :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합성 영상이나 사진을 만들어 신뢰감을 강화한 뒤 투자로 유도한다.[20]
- 플랫폼 전환 :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대화에서 메신저로 이동시켜 외부 결제와 전자지갑 송금을 유도한다.
주한 미군 ‘여성’ 사칭 빈발
[편집]국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여성 미군이나 군인 사칭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자주 발생한다. 전역 후 한국에 이주하겠다는 이야기를 꺼내며 귀국 비용이나 운송비, 통관비를 요구하는 방식이 흔하다.[21][22]
국내 피해 규모와 단속
[편집]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 사이 부산경찰청과 울산경찰청 합동 수사에서 122억 원과 120억 원 규모의 조직형 로맨스 스캠이 잇달아 검거되었다.[23][24]
탐지 지표
[편집]- 빠른 호칭 사용, 사적인 사진 공유 요구, 즉시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 제안
- 군인이나 의사 등 전문직 신분을 내세우며 세관비나 보험료, 귀국비 등 정상적이지 않은 비용을 지속적으로 청구
- 외부 지갑 주소나 거래 링크, 선불코드를 요구하고 출금 단계에서 세금이나 수수료를 더 내라고 강요
대응과 예방
[편집]- 연락을 끊고 증거를 보존한다. 프로필, 대화 내용, 지불 증빙, 전자지갑 주소, 도메인 기록을 확보해야 한다.
- 즉시 다른 회선을 이용해 가족, 은행, 경찰과 교차 확인한다. 은행 창구에서 직원이 질문할 경우 사실대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 관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와 112에 신고하고, 지급정지가 가능한 경우 즉시 요청한다. 국내 언론에서도 금전 요구 시 즉시 신고해야 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한다.[25]
사례와 보도
[편집]- 여성 미군 사칭으로 결혼을 약속하며 비용을 요구했으나, 은행 창구에서 2천7백만 원 송금이 차단된 사례[26]
- 부산경찰청이 84명, 122억 원 규모의 피해를 발생시킨 한·중 합작 조직을 검거한 사례[27]
- 울산경찰청 수사에서 돼지도살식 투자 결합과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120억 원대 조직이 적발된 사례[28][29]
분석과 해설
[편집]국내 언론은 돼지도살식 대화 시나리오와 출금 지연 전술 등 범행 방식이 표준화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분석은 피해자가 어떻게 심리적으로 조종되는지를 보여주며,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30]
정부·금융기관 사칭(전화/메신저)
[편집]검찰·경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여 수사협조, 안전계좌 이체 등을 강요하거나, 네이버·은행 고객센터를 가장한 번호로 회신을 유도한다. 합법 기관은 전화로 즉시 납부·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기프트카드·암호화폐·선불카드 결제를 지시하지 않는다.[31][32] 발신번호를 실제 기관 대표번호처럼 보이게 만드는 콜러 ID 변작(spoofing)이 결합되는 경우가 많으며, 해외 규제기관은 변작 유형과 차단 정책(예: STIR/SHAKEN 기반 인증)을 안내한다.[33]
보이스 피싱(전화)·콜 백(call-back)
[편집]무작위 또는 표적 발신으로 위기·협박·환급·대출 미끼를 제시한다. 일부 악성앱은 은행·감독당국 콜센터로 거는 전화를 가로채 공범에게 연결한다(통화 가로채기, 콜 포워딩 악용).[34][35] 최근 분기별 피싱 동향에서는 전화 기반 피싱(vishing) 비중 증가가 관찰되며, 통화·문자 결합형 시나리오가 일반화되고 있다.[36]
출장 성매매 위장 사이트
[편집]대한민국에서 출장 마사지 사이트나 성매매 알선 사이트를 위장한 전기통신금융사기는 전기통신금융사기의 한 유형으로, 성매매 목적성을 내세워 피해자를 유인한 뒤 금전을 편취하거나 개인정보를 갈취하는 범죄이다. 이러한 사이트들은 실제 성매매 알선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합법적 예약·결제 서비스처럼 위장하여 운영되며, 피해자가 금전이나 개인정보를 제공한 뒤에는 연락이 두절되거나 협박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범죄 유형의 가장 큰 특징은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이른바 성매매특별법과 연결된 법적 위험을 심리적 압박 도구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피해자는 단순히 금전을 잃은 것이 아니라, 성매매와 관련된 불법 행위에 연루되었다는 두려움 때문에 신고를 꺼리게 되며, 범죄 조직은 이를 이용해 지속적 갈취와 협박을 이어간다. 이 유형은 전기통신금융사기 중에서도 피해자의 심리적 취약성을 가장 노골적으로 악용하는 수법으로 분류되며, 단순 사기와 달리 법적·사회적 낙인에 대한 공포까지 동반시켜 피해 억제력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스미싱(문자)·링크 미끼
[편집]배송·공과금·연체·환급·이벤트 등을 미끼로 악성앱 설치 또는 가짜 로그인 페이지 접속을 유도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신 스미싱 수법을 경보·차단하고 있다.[37] 국제 통계에서는 분기별로 스미싱 증가 추세가 보고되며, QR·단축링크 결합 등 이동형 전술이 주목된다.[38]
피싱 사이트·파밍
[편집]정교한 가짜 은행·관공서·결제 페이지를 만들어 개인 정보·인증정보를 수집한다. DNS 변조(파밍)·브라우저 오버레이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KISA는 피싱대응센터를 통해 신고·차단을 운영한다.[39] 글로벌 동향에서는 분기당 수십만~백만 건 수준의 피싱이 집계되며, 결제·금융 부문을 겨냥한 공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40]
큐싱(QR 코드 악용)
[편집]가짜 QR 스티커로 결제·로그인 페이지를 바꾸거나 악성앱 설치를 유도한다. QR 결제는 현장 안내문·공식 앱에서 직접 스캔·접속하는 방식으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41] 사이버범죄 신고센터는 QR 코드 결제·인증을 악용한 변형 사기에 대한 주의를 상시 촉구한다.[42][43]
메신저 사칭·가족·지인 위장
[편집]메신저 계정 탈취 또는 프로필 도용으로 가족·지인을 사칭해 송금을 요구한다. ‘휴대폰 분실·액정 파손’ 사유로 문자만 가능을 주장하는 패턴이 흔하다. 필요시 상품권 핀코드·암호화폐 등 추적이 어려운 결제수단을 요구하는 시나리오와 결합하기도 한다.
투자유인·리딩방·온라인 카지노/대리베팅
[편집]고수익 보장, 리딩방 초대 등으로 외부 사이트 회원가입·입금·추가입금을 반복 요구한다. EUROPOL·FTC는 투자사기의 전형적 패턴(보증수익·사회적 증거 조작)을 반복적으로 경고한다.[44][45]
딥페이크 피싱(영상·음성 변조)
[편집]실시간 화상회의에서 임원·가족을 딥페이크로 위장해 송금을 지시하는 수법이 나타났다. 2024년 홍콩에서는 다중 참가자 딥페이크 화상회의로 고액 송금이 이루어졌다.[46][47]
성매매 연계 협박형(몸캠피싱·섹스토션)
[편집]성적 이미지·영상의 유포를 빌미로 금전을 요구하거나 추가 노출을 강요하는 섹스토션(sextortion)과, 영상통화·녹화·원격제어앱 유도를 통해 친밀한 장면을 확보한 뒤 협박하는 몸캠피싱이 이에 해당한다. 전형적 절차는 (1) 데이팅앱·SNS·메신저로 접근 → (2) 신뢰 형성·성적 콘텐츠 유도 → (3) 캡처·녹화 또는 탈취 → (4) 지인·직장 유포 협박과 함께 송금·상품권·암호화폐 요구이다.[48][49] 최근에는 금전 목적 섹스토션이 청소년·청년층을 집중 표적화하는 경향이 보고되며, 다국적 범죄조직이 대량의 계정으로 동시다발 접근·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당국은 지급 거부·증거 보존·연락 차단·신고를 핵심 대응으로 권고한다.[50][51] 피해자는 추가 전송·지시 이행을 중단하고, 화면녹화·대화기록·지불증빙을 확보한 뒤, 국가별 전담창구(사이버범죄 신고·콘텐츠 삭제 지원 등)에 신고·요청한다. 이미지 유포가 발생한 경우 플랫폼·호스팅사 신고와 콘텐츠 차단·삭제 절차가 병행될 수 있다.[52][53]
성매매 단속·합의금 사칭
[편집]성매매 단속·고소·형사절차를 빌미로 합의금·벌금·조사비용 등 명목의 송금을 요구하는 변형 수법도 존재한다. 가짜 공문·위조 신분증·대표번호 사칭과 결합되며, 협박 강도·긴급성 부여를 통해 피해자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한다. 당국은 전화 종료→다른 회선으로 기관 대표번호 재확인→현금·코드 결제 요구 거부를 권고한다.[54][55]
대면편취(현금수거)·취업빙자 가담책 모집
[편집]피해자 자산을 직접 수거하거나, 구직자를 속여 현금 수거·전달을 시키는 유형이다. 법원은 인출·전달책에 대해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사기방조 등으로 실형을 선고하는 추세다.[56]
‘안전결제’·공식앱 사칭
[편집]플랫폼 외부 링크로 안전결제를 유도하는 수법이 빈발하나, 공식 결제는 플랫폼 내부에서만 이뤄진다. 네이버페이는 외부 결제링크·앱 설치 요구를 경계하도록 안내한다.[57]
전술(TTP)과 기술적 요소
[편집]- 발신번호 변작 : 국제회선을 경유해 국내 번호처럼 표시하거나 010 등으로 변작한다. 방통위·과기정통부는 변작 차단, 국제전화 표기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58]
- '통화 가로채기 : 악성앱이 착신전환·오버레이·권한 탈취로 콜센터 연결을 가장한다.[59]
- 피싱 인프라 : 짧은 수명 도메인·호스팅 악용·피싱 키트 자동화가 특징이다.[60]
- 정부합동수사단은 2024년 대규모 가상계좌 기반 편취·세탁망을 적발했다. 가상계좌 매개 수법은 피해금의 신속 분산과 추적 회피를 노리는 최신 유형으로 지목된다.[61][62]
보이스피싱 조직 유죄 판결 및 검거 사례
[편집]| 연도 | 조직명칭(가칭) | 법원/사건 | 거점 지역(상세) | 피해액수 | 주요수법·범죄행각 | 형량/처벌 | 비고/출처 |
|---|---|---|---|---|---|---|---|
| 2007–2008 | 대만·중국 인출팀 | 창원지방법원 2008.1.29. 선고 2007고단4209 | 중국 콜센터 연계, 국내 인출조직 | 약 1억 1,936만원 | KT상담원·경찰관 사칭으로 계좌이체 유도, 편취금 인출·전달(수고비 정산) | 피고인 각 징역 1년 | 대만 국적 공범 포함 초기 조직형 보이스피싱 |
| 2007 | 자녀 납치 빙자형 초창기 조직 | 전국법원 주요판결(2007.10.24) | 국내(전화발신), 대포통장 국내 조달 | — | 대포통장 수집 후 ‘자녀 납치’ 빙자 송금 요구 | 실형 선고(사례) | 초창기 ‘오레오레’ 계열 전술의 국내 사례 |
| 2008 | 대포통장 제공 네트워크 | 부산지방법원 2008.8.11. 선고 2008고단2189 | 국내(통장조달)–중국 연계 | — | 보이스피싱 조직에 대포통장 대량 제공(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포함) | 징역형 선고 | 통장공급책 실형 사례 |
| 2009 | 인천 인출·전자금융거래 위반 사건 |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09.12.22. 선고 2009고단1853 | 국내 인출책 | — | 보이스피싱 편취금 인출·전자금융거래법 위반 | 징역 8월 | 원심 파기 후 실형 |
| 2010 | 국내총책 A 일파 | 전국법원 주요판결(2010.2.18) | 중국 콜센터–국내 총책 구조 | — | 조직 국내총책·통장모집책 분업, 대규모 전화금융사기 | 국내총책 징역 7년(모집책 등 실형) | 국내총책 중형 첫 보도 사례 |
| 2010 | 대구 인출·통장양도 알선 | 대구지방법원 2010.4.2. 선고 2010고단324 | 국내 인출·양도 알선 | — | 보이스피싱 사기 인지 후 통장 양도 알선(사기방조) | 징역 1년 6월 | 인출·양도 알선의 가담 책임 인정 |
| 2011 | 대만 국적 인출책 사건 | 전국법원 주요판결(2011.11.9) | 중국/대만–국내 인출 | — | 해외 콜센터 지시로 국내 현금 인출 수행 | 실형 선고(사례) | 외국인 인출책 실형 판결 공지 |
| 2012 | 법무부 사칭 콜센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노2728(항소심) | 중국 콜센터–국내 인출 | 1,081만원 등 | “법무부 직원” 사칭, 예금 ‘보호조치’ 빙자 이체, 현금카드로 인출·전달 | 유죄(사기·전자금융거래법) | 사칭 유형·단계별 공모 인정 |
| 2013 | 서울동부 인출·송금책 | 서울동부지방법원 2013.4.11. 선고 2012고단2539 | 중국 총책–국내 인출·송금 | — | 인출·송금책 공모(사기·전자금융거래법 위반) | 징역 1년 6월(일부 집유) | 인출·송금책 공모 범의 판단 |
| 2013 | 부산 중국거점 조직원 | 부산지방법원 2013고단9474 | 중국 근거지–국내 가담 | — | 중국 거점 조직원 국내 역할 수행(사기) | 징역 2년 | 지방 법원 실형 선고 사례 |
| 2014 | 수원지법 고합 보이스피싱단 | 수원지방법원 2014.6.26. 선고 2014고합(번호 다수) | 중국 거점–국내 가담 | — | 다수 피고인 조직 범행, 수사기관 사칭·대환대출 빙자 | 피고인 7명 징역 7~2년 등 총 30년, 1명 집유 | 다수 피고인에 대한 중형 |
| 2014 | 99명 211회 편취 사건 | 전국법원 주요판결(2014.12.30, 2014고단892) | 국내 실행(해외 콜센터 연계 추정) | 약 2억5천만 원(99명·211회) | 반복적 피해자 기망·이체유도(수사기관·금융기관 사칭) | 유죄(다수 피고인) | 대규모 회차형 편취 |
| 2015 | 서울중앙 길림성 조직 인출책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5.1.9. 선고 2014고단6647 | 중국 길림성 거점–국내 인출책 | — | 중국 총책 지시, 국내 통장모집·인출책 조직적 활동 | 피고인 각 징역 1년 6월(일부 무죄) | 컴퓨터등사용사기·전자금융거래법 병합 |
| 2015 | 울산 다수 피고인 사건 | 울산지방법원 2015.4.1. 선고 2014고단2444, 2015고단66(병합) | 국내 인출·전달·보관 분업 | — | 다수 가담자 인출·보관·전달 역할 분담 | 주도급 징역 4년, 기타 4~6월(일부 집유) | 다중 피고인 양형 구분 |
| 2015 | 부산 보이스피싱 가담자 | 부산지방법원 2015고단2305 | 국내 가담 | — | 조직 가담(사기) | 징역 2년 6월 | 지역 법원 실형 사례 |
| 2014–2015 | 청도 중심 조직 | 서울서부지법 2014고단3048 | 중국 산둥성 청도(靑島) | 약 9.1억 | 수사기관 사칭 및 대환대출 미끼로 피해자 다수에게 계좌이체 유도(339회 편취) | 징역 1년 6개월 | 판결문 요지에 청도 기반 콜센터 언급 |
| 2015 | 청도 기반 조직 | 서울중앙지법 2015고단5887 | 중국 청도 | 수억대 추정 | 통장모집책 및 대포통장 관리로 콜센터 범행 지원 | 징역 3개월 | 청도 콜센터 총책 언급 판결 |
| 2017–2024 | 김군일파 | 대법원 확정판결 및 2024 국내송환 | 중국 항저우→다롄 | 약 1,511억(1,923명) | 검찰·금감원 사칭, 가짜 공문서(영장·공무원증)로 신뢰 조작, 대환대출·계좌동결 명목 송금 유도 | 총책 징역 20년 등 중형 | 항저우 거점, 중국 공안과 공조로 검거 |
| 2022 | 중국 거점 조직 | 서울지법 형사부(보도) | 중국 전역 콜센터 | 약 6억 | 저금리 대출 미끼, 원격제어앱 설치 및 전화 가로채기 수법 | 징역 7년 | 중국 내 본거지 보이스피싱 조직 간부 유죄 |
| 2023 | 청도 기반 조직 | 의정부지법 형사12단독 | 중국 청도 | — | 저금리 대출빙자형, 조직적 분업(관리책·실행책) | 징역 1년 6개월~2년 6개월 | 단독 재판 실형 |
| 2023 | 민준파 | 서울동부지법 형사합의11부 | 필리핀 메트로마닐라 | 약 108억(560명) | 수사기관·금융기관 사칭, 대규모 콜센터 운영, 국내 가담자에 자금세탁 지시 | 총책 징역 35년·추징 20억, 부총책 27년 | 역대 최장기형 판결, 합수단 발표 |
| 2024 | 김군일파(2차) | 대전지법 천안지원 | 중국 거점 | 수백억(조직별 4~5억) | 대환대출 사칭, 수사기관 가명 활용, 가짜 금감원 공문 사용 | 징역 13~15년 | 후속 송환자 재판 |
| 2024 | 하이난성 싼야 조직 | 서울동부지검 합수단 기소 | 중국 하이난성 싼야 및 청도 | 약 46억(106명) | 상담원→팀장→총책 단계적 범행, 수사기관 사칭, 대환대출 빙자 | 6명 구속기소 | 싼야 현지 신설 콜센터 적발 |
| 2024 | 발신번호 변작 중계기 조직 | 서울동부지검 합수단 | 중국 연길 등 해외→국내 중계소 | 54억(170명) | 070→010 변작 중계기 설치로 국내번호 위장, 계좌범죄 연루 시나리오 전송 | 21명 구속기소 | 중계기 1,694대·유심 8,083개 압수 |
| 2024 | 가상계좌 유통조직 | 서울동부지검 합수단 | 국내·중국 연계 | 가상계좌 72,500개, 이체규모 5,900억 | PG·머천트 권한 악용해 가상계좌 대량 생성·판매, 도박·피싱 자금세탁 지원 | 총책 등 4명 입건·3명 구속 | 역대 최대 규모 |
| 2024 | 불법 유심 유통판매조직 | 서울경찰청 수사 | 국내(외국인 명의) | — | 외국인 명의 선불 유심 대량 개통·판매로 대포유심 유통 | 다수 구속 | 연합·헤럴드경제 보도 |
| 2024 | 대출 콜센터 관리자 사건 | 대구지법(보도) | 중국 산둥성 일대 | 7.4억(76회) | 대출사기 콜센터 관리, 피해자 DB 활용, 반복 통화·대면편취 지시 | 징역 7년 | 2013~2014 운영, 2024 유죄 |
| 2024 | 구직사이트 개인정보 제공조직 | 수원지법 형사14단독 | 국내 | 직접 피해액 불산정 | 구인사이트 이력서 열람권 구매, 26명 개인정보(이름·주소·연락처) 판매 | 징역 6개월(50대), 공범 선고유예 | 개인정보 불법 제공 사건 |
| 2024 | 필리핀 콜센터 운영조직 | 대구지검 서부지청 | 필리핀 마닐라·앙헬레스 | — | 해외 콜센터 운영, 국내 인출책·수금책 지시, 인터폴 적색수배 후 송환 | 구속기소 후 재판 중 | 필리핀 거점 운영자 검거 |
수사·단속 및 제도
[편집]- 정부합동수사단 : 대검찰청 주도로 수사기관·금융당국·민간이 공조한다.[63]
- 신고·피해구제 : 112(경찰)·1332(금감원), 온라인 ‘보이스피싱 지킴이’, 경찰 통합신고대응센터로 일원화되어 지급정지→채권소멸절차→환급으로 이어진다.[64][65]
예방
[편집]- 전화·메신저 : (1) 즉시 송금·대출 수수료 요구, (2) 기프트카드·코드 전송 요구, (3) 주변과 공유 금지·비밀유지 강요는 핵심 경고 신호다.[66]
- 확인 절차 : 동일 기기 대신 다른 전화기로 대표번호 재통화 또는 직접 방문 확인이 권장된다.[67]
- 링크·QR 보호 : 문자·메신저의 단축·외부 링크, 부착된 QR은 사용하지 말고 공식 앱·즐겨찾기에서 직접 접속한다.[68]
- 플랫폼 내 결제 : “안전결제”는 플랫폼 내부에서만 진행한다. 외부 링크·앱 설치 요구는 차단한다.[69]
논란과 과제
[편집]- 기술 진화 : 딥페이크·생체복제 음성·대화형 AI가 결합하며 검증 난도가 상승하고 있다.[70]
- 발신번호 변작·우회 : 국제회선 우회, 번호 변작 중계기에 대한 기술·제도 대응이 병행된다.[7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이하 통신사기피해환급법
- ↑ 가 나 다 “Act on Prevention of Damage from and Refund of Financial Damage caused by Telecommunications-based Financial Fraud” (영어).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KLRI)》.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국가법령정보센터》.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보이스피싱, 이제 ‘112’로 신고”. 《금융위원회》. 2023년 9월 26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경찰청》.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보이스피싱 범죄 정부합동수사단 역대 최대 성과” (PDF). 《대검찰청》. 2024년 8월 2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대법원 2017도XXXX 판결 요지”.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Social engineering fraud” (영어). 《INTERPOL》.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Public awareness and prevention guides” (영어). 《EUROPOL》.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자기야”…‘SNS 연애 사기’로 122억 뜯어냈다”. 《SBS 뉴스》. 2024년 11월 27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조선일보》. 2024년 8월 31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오빠, 같이 투자공부해요”… 120억 뜯은 로맨스스캠 일당 검거”. 《서울신문》.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투자해요” 속삭인 그녀 가짜였다…120억 사기 조직 검거”. 《뉴시스》.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결혼하자, 韓 갈래” 미군 유혹에 2700만원 준비한 70대女…은행·경찰이 막았다”. 《서울신문》. 2025년 9월 1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파병 군인·외교관·의사 사칭해 16억을…‘로맨스 스캠’ 여전히 기승”. 《한겨레》. 2021년 11월 9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딥페이크로 30대 여성 만들어 120억원 뜯어낸 로맨스 스캠…경찰 45명 검거”. 《조선일보》.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로맨스스캠' 부부 사기단‥ 120억 원 가로채”. 《울산MBC》.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결혼하자, 韓 갈래” 미군 유혹에 2700만원 준비한 70대女…은행·경찰이 막았다”. 《서울신문》. 2025년 9월 1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파병 군인·외교관·의사 사칭해 16억을…‘로맨스 스캠’ 여전히 기승”. 《한겨레》. 2021년 11월 9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투자해요” 속삭인 그녀 가짜였다…120억 사기 조직 검거”. 《뉴시스》.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자기야, 나 못 믿어?” 70대도 당했다…매혹적인 그녀 정체”. 《SBS 뉴스》. 2024년 11월 26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결혼하자, 韓 갈래” 미군 유혹에 2700만원 준비한 70대女…은행·경찰이 막았다”. 《서울신문》. 2025년 9월 1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자기야”…‘SNS 연애 사기’로 122억 뜯어냈다”. 《SBS 뉴스》. 2024년 11월 27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울산경찰 120억 원대 로맨스 스캠 일당 45명 검거…딥페이크 활용”. 《다음뉴스(경향 등 포털 전재)》.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파병 군인·외교관·의사 사칭해 16억을…‘로맨스 스캠’ 여전히 기승”. 《한겨레》. 2021년 11월 9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결혼하자, 韓 갈래” 미군 유혹에 2700만원 준비한 70대女…은행·경찰이 막았다”. 《서울신문》. 2025년 9월 1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자기야”…‘SNS 연애 사기’로 122억 뜯어냈다”. 《SBS 뉴스》. 2024년 11월 27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투자해요” 속삭인 그녀 가짜였다…120억 사기 조직 검거”. 《뉴시스》.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딥페이크로 30대 여성 만들어 120억원 뜯어낸 로맨스 스캠…경찰 45명 검거”. 《조선일보》.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조선일보》. 2024년 8월 31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Government impersonator scams” (영어). 《U.S. Federal Trade Commission》.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Tax Scams/Consumer Alerts” (영어). 《Internal Revenue Service (IRS)》.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Caller ID Spoofing” (영어).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2024년 11월 13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Banking malware steals money via call-forwarding” (영어). 《Kaspersky》.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거래 연동 악성앱과 통화 가로채기”. 《Boan Security Lab》.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Phishing Activity Trends Report, 1st Quarter 2024” (PDF) (영어). 《APWG》. 2024년 5월 1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최근 유사 수법 재확산(스미싱 등) 주의”. 《한국인터넷진흥원》. 2025년 7월 11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APWG Q3 2024 Report Summary” (영어). 《APWG》. 2024년 12월 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피싱대응센터 안내”. 《KISA 인터넷보호나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Phishing Activity Trends Report, 1st Quarter 2025” (PDF) (영어). 《APWG》. 2025년 7월 2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Suspicious text messages (incl. QR-related scams)” (영어). 《UK National Cyber Security Centre》.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Fraud Schemes Leveraging Cryptocurrency ATMs and QR Codes” (영어). 《FBI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 (IC3)》. 2021년 11월 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Unsolicited Packages Containing QR Codes Used to Initiate Fraud Schemes” (영어). 《FBI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 (IC3)》. 2025년 7월 31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Investment & online fraud red flags” (영어). 《EUROPOL》.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Online investment & romance scams” (영어). 《U.S. FTC》.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Hong Kong deepfake video conference scam” (영어). 《The Guardian》. 2024년 2월 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Police advise on deepfake scam (official)” (영어). 《Hong Kong SAR Government News》. 2024년 2월 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Sextortion” (영어).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FBI)》.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Financially Motivated Sexual Extortion (Sextortion)” (영어). 《UK National Crime Agency》.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National Public Safety Alert on Sextortion Schemes” (영어). 《FBI》. 2023년 1월 19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Dealing with sexual extortion” (영어). 《eSafety Commissioner (Australia)》. 2025년 3월 12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Report image-based abuse” (영어). 《eSafety Commissioner (Australia)》.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Extortion” (영어). 《Canadian Anti-Fraud Centre》. 2024년 10월 2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Financially Motivated Sextortion” (영어). 《FBI》.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NCA campaign to tackle financially motivated sexual extortion” (영어). 《UK National Crime Agency》.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정부합동수사단 수사사례(대면편취 포함)” (PDF). 《대검찰청》. 2024년 8월 2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안전결제 사칭 주의 안내”. 《네이버페이 고객센터》.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국제전화 변작 등 전화사기 차단 강화”. 《방송통신위원회》. 2024년 9월 5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Call-forwarding abuse by banking malware” (영어). 《Kaspersky》.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Social engineering fraud” (영어). 《INTERPOL》.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합수단 보도자료(성과)” (PDF). 《대검찰청》. 2024년 8월 2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Seoul eyes new measures to fight voice phishing scammers” (영어). 《The Korea Herald (영문)》. 2024년 6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정부합동수사단 성과” (PDF). 《대검찰청》. 2024년 8월 2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지급정지 제도”. 《금융위원회》.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통합신고대응센터”. 《경찰청》.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Government impersonator red flags” (영어). 《U.S. FTC》.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IRS Consumer Alerts” (영어). 《IRS》.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Suspicious messages guidance” (영어). 《NCSC》.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안전결제 사칭 스미싱 주의”. 《네이버페이 고객센터》.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Deepfake-enabled multi-person conference scam” (영어). 《The Guardian》. 2024년 2월 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전화사기 차단 강화 대책”. 《방송통신위원회》. 2024년 9월 5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대검찰청 정부합동수사단. 〈보이스피싱 범죄 합동단속 성과〉. 서울: 대검찰청, 2024.
-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Act on Prevention of Damage from and Refund of Financial Damage caused by Telecommunications-based Financial Fraud. Sejong: KLRI, 2024.
- 방송통신위원회. 〈국제전화 변작 등 전화사기 차단 강화 대책〉. 세종: 방통위, 2024.
- 한국인터넷진흥원. 〈최근 유사 수법 재확산(스미싱 등) 주의〉. 나주: KISA, 2025.
- 홍콩특별행정구 정부 보도실. 〈Deepfake Scam Advisory〉. 홍콩: HKSAR, 2024.
- 「대한민국 전기통신금융사기 수법의 개요와 유형별 분석」,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