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
유형정부기관
목적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스미싱 등) 신고·제보 접수, 피해 예방·차단, 관계기관 연계 및 수사 지원
본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1]
모체대한민국 경찰청
웹 사이트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대한민국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는 보이스피싱을 포함한 전기통신금융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경찰청 산하에 설치된 전담 센터이다. 신고·제보 창구를 일원화하고(전화 1566-1188),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및 금융감독원 1332와 연계해 피해 예방·차단·환급 절차를 통합 처리한다.[2][3][4] 2025년 9월 17일부터 연중무휴 24시간 체제를 운영하며,[5] 같은 해 10월에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으로 확대 개편된다.[6][7][8]

설치 근거

[편집]

센터 설치와 운영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과 그 하위 법령에 근거한다. 특별법은 센터의 설치·업무 범위를 규정하고,[9] 관련 시행령은 센터 업무(신고·제보 접수, 상담,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관계기관 협력 등)를 구체화한다.[10] 2024년 개정 이유서에는 센터 구성·운영의 법적 근거와 관계기관 협력, 정보 공유 체계 확립이 명시되어 있다.[11]

조직과 기능

[편집]

센터는 전기통신금융사기에 관한 신고·제보 접수와 상담, 사기 수법 분석, 피해 확산 차단(예: 발신번호 변작 차단, 악성 URL 차단), 금융회사 지급정지 및 환급 절차 연계, 수사 지원, 대국민 경보·교육을 수행한다.[10][2][3] 센터 대표번호는 1566-1188이며,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및 금융감독원 ‘1332’와 ARS로 상호 연동된다.[4] 정부의 2025년 8월 대책 발표에 따라, 불법 전화번호는 접수 후 긴급 차단을 목표로 하며 통합대응단 출범과 함께 실시간 대응 체계를 강화한다.[6]

운영

[편집]

개소 초기에 평일 주간 위주로 운영되던 센터는 신고 수요 증가에 대응해 2025년 9월 17일부터 연중무휴 24시간 체제로 전환하였다.[5] 인력은 25명에서 54명으로 증원되었고, 응답률 제고를 위해 야간·휴일 대응을 상시화하였다.[5] 청사는 이후 광화문 KT 광화문빌딩 웨스트로 이전하며, 2025년 10월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으로 확대 개편되어 신고·상담을 넘어 범죄분석·수단차단·수사까지 포괄하는 전방위 대응 체계를 갖춘다.[4][6][7]

신고 체계와 절차

[편집]
  • 대표번호 : 1566-1188(통합신고대응센터).[1]
  • 전화 112 : 피해 발생 또는 긴급 상황 시 즉시 신고(원스톱 처리).[12]
  • 118(한국인터넷진흥원) : 발신번호 거짓표시, 스미싱 등 정보통신망 관련 신고·상담(ARS 메뉴에서 경찰청 센터 연동).[13][14]
  • 1332(금융감독원) : 계좌 지급정지·환급 등 금융 피해 구제 연계.[4]
  • 웹 포털 : 보이스피싱 제보, 스미싱 신고, 발신번호 거짓표시 신고, 신고내역 확인, 피싱 전화번호 검색 등 온라인 절차 제공.[2][3][1]

역사

[편집]
  • 2023년 9월 26일 : 범정부 대책과 함께 통합신고·대응센터 개소 및 신고창구 일원화(전화 112, 인터넷 ‘보이스피싱지킴이’)를 발표.[15][12]
  • 2023년 10월 4일 : 센터 정식 운영 시작.[8]
  • 2024년 5월 : 운영 200일 성과 공개(112 일원화 원스톱 처리, 범행 번호 대량 차단 등).[8]
  • 2025년 9월 17일 : 24시간 365일 상시 운영 전환, 상담 인력 증원.[5]
  • 2025년 10월 : 광화문 이전 및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 출범(실시간 추적·분석·차단·수사 기능 강화).[6][7][4]
  • 2023년 9월 말, 관련 법·예산 정비와 함께 통합신고·대응 체계가 단계적으로 구축되었다.[16]

운영 지표와 동향

[편집]

개소 이후 일일 신고·제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개소 초기 평균 약 800건대에서 2024년 1,000건대, 2025년 상반기 1,700건대 수준으로 확대되었고, 특정 일에는 3,600건을 상회하였다. 이에 따라 야간·휴일 공백 해소, 인력 증원, 광화문 이전과 통합대응단 출범으로 이어졌다.[17]

명칭

[편집]

정식 명칭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이며,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으로도 불린다. 설치 주체는 경찰청이다. 영어 표기는 “Integrated Reporting and Response Centre for Telecommunications Financial Fraud”로 통용된다.[9][2][1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찾아오시는 길”.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2.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3. “보이스피싱 신고 및 제보를 한 번에!!”.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4. “South Korea expands voice phishing center to 24/7 as crimes rise” (영어). 《The Chosun Ilbo (English)》. 2025년 9월 18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5. “Even in the middle of the night, it will be possible to notify the damage of voice phishing and immediately receive follow-up support” (영어). 《Maeil Business Newspaper (English)》. 2025년 9월 17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6. “Voice Phishing to Be Blocked 24/7... Government Unveils Measures” (영어). 《Asia Economy (English)》. 2025년 8월 28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7. “Gov't Moving to Make Banks Compensate Voice Phishing Victims” (영어). 《BusinessKorea》. 2025년 8월 29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8. “보이스피싱 '112 통합신고' 200일…범행 번호 1만5천건 차단”. Yonhap News via Daum. 2024년 5월 14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9.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0. “특별법 조문(제2조의7 등)”.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1. “특별법 개정 이유(센터 구성·운영 등)”.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24년 8월 27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2. “인터넷은 ‘보이스피싱 지킴이’로… 불편해소 위해 범정부 통합 대응”.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2023년 9월 27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3. “Reporting on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영어).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4. “118 상담 서비스 안내”.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5. “보이스피싱, 이제 ‘112’로 신고하세요.”.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2023년 9월 26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6. “Voice phishing” (영어). KoreanLII.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7. ““링크 눌렀다, 도와달라” 다급한 목소리 하루 1700통”. 《조선일보》. 2025년 9월 18일.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국가법령정보센터.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세종: 법제처, 2024.
  •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캠페인 자료』. 서울: 경찰청, 2025.
  •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일원화 대책』. 서울: 국무조정실, 202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