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대통령실 민정수석
현직:
봉욱

 2025년 6월 29일 취임
소속대한민국 대통령실
임명자이재명
초대류승원
설치일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실 민정수석대한민국 대통령실 소속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이다.

역사

[편집]

박정희 정부 때인 1968년 3월 설치되었다.[1] 1970년 12월 민정수석비서관실이 폐지되고 정보수석비서관실과 민원수석비서관실로 분리되었다가[2] 1971년 7월 다시 민정수석실로 통합되었다.[3] 최규하 정부인 1980년 민원수석비서관실로 개편되었다가 같은 해 9월 다시 민정수석비서관실로 복귀했다.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1998년 3월 다시 폐지됐다가 다음 해인 1999년 6월 부활했다.[1]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자 폐지되었다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시 여당이었던 국민의힘이 다수당을 얻지 못하는 결과를 얻은 후 민심 청취 기능 강화를 이유로 2024년 5월 다시 설치되었다.[4] 2025년 6월 이재명 정부가 들어선 이후 검찰·사법 개혁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사법제도비서관실이 신설되었다.[5]

역할

[편집]

국내 여론과 민심 동향 수집하며,[4] 또 고위공직자의 인사 검증, 직무 감찰, 대통령 친인척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아울러 검찰, 경찰, 국가정보원, 국세청, 감사원 등 사정기관이 생산하는 정보를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한다.[1]

민정수석 목록

[편집]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류승원(柳承源) 1968년 3월 23일 ~ 1970년 12월 10일

민원수석비서관

[편집]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안광석 ? ~ ?
2대 이원홍(李元洪) 1980년 1월 20일 ~ 1980년 7월 28일

민정수석비서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5공화국 초대 이학봉(李鶴捧) 1980년 9월 9일 ~ 1986년 1월 8일
2대 김용갑 (金容甲) 1986년 1월 14일 ~ 1988년 2월 24일
노태우정부 초대 한영석 (韓永錫) 1988년 3월 7일 ~ 1989년 3월 25일
2대 정구영 (鄭銶永) 1989년 3월 25일 ~ 1990년 12월 6일
3대 김영일(金榮馹) 1990년 12월 6일 ~ 1990년 12월 27일
4대 이상연 (李相淵)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4월 29일
5대 안교덕 (安敎德) 1991년 5월 1일 ~ 1993년 2월 24일
문민정부 초대 김영수 (金榮秀) 1993년 2월 25일 ~ 1995년 12월 20일
2대 문종수 (文鍾洙) 1995년 12월 20일 ~ 1998년 2월 24일
국민의정부 초대 김성재(金聖在) 1999년 6월 24일 ~ 2000년 1월 12일
2대 신광옥(辛光玉) 2000년 1월 12일 ~ 2001년 9월 11일
3대 김학재(金鶴在) 2001년 9월 11일 ~ 2002년 2월 8일
4대 이재신(李載侁) 2002년 2월 8일 ~ 2003년 2월 24일
참여정부 초대 문재인(文在寅) 2003년 2월 25일 ~ 2004년 2월 13일
2대 박정규(朴正圭) 2004년 2월 13일 ~ 2005년 1월 12일
3대 문재인(文在寅) 2005년 1월 20일 ~ 2006년 5월 2일
4대 전해철(全海澈) 2006년 5월 3일 ~ 2007년 12월 21일
5대 이호철(李鎬哲) 2007년 12월 21일 ~ 2008년 2월 24일
이명박정부 초대 이종찬(李鍾燦) 2008년 3월 1일 ~ 2008년 6월 20일
2대 정동기(鄭東基) 2008년 6월 23일 ~ 2009년 9월 1일
3대 권재진(權在珍) 2009년 9월 1일 ~ 2011년 8월 5일
4대 정진영(鄭鎭永) 2011년 8월 20일 ~ 2013년 2월 24일
박근혜정부 초대 곽상도(郭尙道) 2013년 3월 25일 ~ 2013년 8월 5일
2대 홍경식(洪景植) 2013년 8월 5일 ~ 2014년 6월 11일
3대 김영한(金英漢) 2014년 6월 12일 ~ 2015년 1월 10일
4대 우병우(禹柄宇) 2015년 1월 26일 ~ 2016년 10월 30일
5대 최재경(崔在卿) 2016년 10월 31일 ~ 2016년 12월 9일
6대 조대환(曺大煥) 2016년 12월 10일 ~ 2017년 5월 9일
문재인정부 초대 조국(曺國) 2017년 5월 11일 ~ 2019년 7월 26일
2대 김조원(金照源) 2019년 7월 26일 ~ 2020년 8월 11일
3대 김종호(金宗浩) 2020년 8월 11일 ~ 2020년 12월 31일
4대 신현수(申炫秀) 2020년 12월 31일 ~ 2021년 3월 4일
5대 김진국(金晋局) 2021년 3월 4일 ~ 2021년 12월 21일
6대 김영식(金泳植) 2022년 1월 17일 ~ 2022년 5월 9일
윤석열정부 초대 김주현(金周賢) 2024년 5월 7일 ~ 2025년 6월 2일
이재명 정부 초대 오광수(吳桄洙) 2025년 6월 7일 ~ 2025년 6월 13일
2대 봉욱(奉旭) 2025년 6월 29일 ~

사정수석비서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5공화국 초대 허삼수(許三守) 1980년 9월 9일 ~ 1982년 12월 20일
2대 정관용(鄭寬溶) 1982년 12월 20일 ~ 1986년 1월 8일
3대 김종건(金鍾鍵) 1986년 1월 9일 ~ 1987년 5월 26일
4대 이양우(李亮雨) 1987년 5월 30일 ~ 1988년 2월 24일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노태우정부 초대 김영일(金榮馹) 1990년 12월 27일 ~ 1992년 2월 6일
2대 김유후(金有厚) 1992년 2월 6일 ~ 1993년 2월 24일

법무수석비서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5공화국 초대 이종근(李重根) 1985년 3월 11일 ~ 1988년 2월 24일


각주

[편집]
  1. 유창엽 (2022년 3월 15일). “[포켓사전] 또다시 폐지될 운명에 처한 청와대 민정수석실”. 《연합뉴스》.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2. 윤상철 (1970년 12월 10일). “選擧(선거) 改閣(개각)의 前奏(전주)”. 《경향신문.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경유. 
  3. “青瓦臺(청와대) 祕書室(비서실) 개편”. 《동아일보》. 1971년 7월 9일. 
  4. 문상현 (2025년 6월 8일). “민정수석실 부활, 귀 열겠다는 대통령을 향한 의심”. 《시사인. 2024년 5월 21일에 확인함. 
  5. 박훈상 (2025년 6월 7일). “민정수석 산하 사법제도비서관 신설… ‘檢-사법부 개혁’ 드라이브”. 《동아일보. 2025년 6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