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글러스 A. 스위니
더글러스 A. 스위니(영어: Douglas A. Sweeney, 1965년~)는 미국의 교회사학자이며, 복음주의의 역사와 조너선 에드워즈 연구의 권위자이다. 현재 앨라배마주 버밍엄에 있는 비슨 신학대학(Beeson Divinity School, Samford University) 학장 겸 교수이며, 복음주의 신학과 역사, 미국 개신교의 정체성과 사상적 발전을 다루는 저술로 잘 알려져 있다.
학력및 경력
[편집]- 휘튼 칼리지(Wheaton College) 졸업.
- 밴더빌트 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에서 교회사 전공으로 박사학위 취득.
- 휘튼 칼리지(Wheaton College) 역사신학 교수, 조너선 에드워즈 센터 소장.
-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TEDS,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교회사 교수.
- 2020년부터 비슨 신학대학 학장.
연구 분야
[편집]- 조너선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연구-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의 삶을 성경중심으로 되돌리는 일에 소명을 발견하여 에드워즈의 신학을 연구하는 일
- 18세기 대각성운동의 핵심 인물인 에드워즈의 신학과 목회 사역을 깊이 연구.
《Jonathan Edwards and the Ministry of the Word》(2009) 등 주요 저서에서 에드워즈를 단순한 신학자가 아니라 목회적 신학자(pastor-theologian)로 조명.
- 복음주의 미역사
《The American Evangelical Story: A History of the Movement》(2005) → 교파, 인종, 성별을 초월한 미국 복음주의의 생생한 역사를 담고 있다. 미국 복음주의의 뿌리와 발전을 간결하고 균형 있게 정리한 대표 저작이다. 미국 복음주의를 초교파적이고 네트워크적인 운동으로 설명하며, 강점과 약점을 동시에 제시.
- 세계 복음주의
복음주의의 세계적 확산과 다양한 문화권에서의 수용에도 관심. 《Evangelicals: Theology and Spirituality Among the People of God》(2021, 공저).
1. 신학과 영성의 통합 책은 전통적 복음주의가 흔히 직면하는 지성 위주의 신학과 체험적 영성 간의 분리를 넘어서려 합니다. 즉, 정확한 신학적 이해(머리)와 신앙의 실제적 생활과 헌신(몸)이 함께 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2. 신학적 기초 위에 세워진 영성 복음주의의 영성은 감정이나 단순한 체험이 아니라 성경적 진리를 기반으로 한 성실한 훈련과 적용에 뿌리를 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느낌 좋은’ 영성이나 유행 중심의 영성을 비판한 본문에서도 드러난다.
3. 삼위일체적 삶으로서의 영성 책은 개인의 내면적 경건뿐 아니라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훈련, 순종, 은혜, 사랑, 그리고 실천 중심의 영성을 제시합니다. 이는 우주의 주인이신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살아가는 영적 삶을 의미한다.
4. 삶 전체를 포괄하는 영성 형성 영성은 교회건축이나 예배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임재를 체득하고, 일상적 삶 속에서 지속적인 영적 성숙을 이루려는 전인적 노력을 포함한다.
학문적 특징
[편집]복음주의를 단순히 교리적 범주로 보지 않고, 역사적·문화적 맥락 속의 운동으로 이해. 조너선 에드워즈 연구를 통해 복음주의 전통의 신학적 뿌리를 재발견. 복음주의가 가진 성경적 열정과 세계선교적 에너지를 긍정하면서도, 분열, 반지성주의, 정치적 남용 같은 약점도 지적.
역사철학 방법론
[편집]1. 기본 전제 역사는 단순한 사건의 연속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전개되는 복음의 이야기라고 이해. 따라서 역사를 해석할 때, 신학적 의미와 영적 체험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2. 주요 특징
(1) 복음 중심 해석 (Christocentric / Evangelical Lens)
역사를 해석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는 복음(Evangel, Good News). 교회사의 패턴, 복음주의 운동, 부흥, 선교 등은 복음의 확산과 변용을 추적하는 과정으로 읽힘. 따라서 역사 해석의 기준은 복음이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2) 사람들 중심의 역사 (People’s History)
스위니는 엘리트 신학자들의 사상만 연구하지 않고, 평범한 신자들, 부흥운동 참가자들, 교회의 공동체적 삶을 중시. 역사철학적으로는 "위대한 사상"보다 하나님의 백성(the people of God) 속에서 신앙이 어떻게 살아 움직였는가를 해석하는 방식. 따라서 그의 접근은 사회사적 요소 + 영성사(Spirituality)를 강조.
(3) 신학과 역사의 통합
역사를 단순히 사회적·정치적 사건으로 보지 않고, 반드시 신학적 의미와 영적 실재와 연결. 예: 조너선 에드워즈 연구에서, 에드워즈를 단순한 철학자나 사회사상가가 아니라, 부흥과 교회의 삶을 이해하는 신학자로 재해석.
(4) 비판적 복음주의 역사관
복음주의 역사를 지나치게 낭만화하거나, 반대로 단순히 사회·정치적 산물로 환원하는 해석을 모두 거부. 대신 비판적이고 균형 잡힌 역사 해석을 추구. 예: 미국 복음주의는 부흥과 선교에서 큰 성과가 있었지만, 동시에 인종 문제, 정치적 보수주의와의 결합, 반지성주의 등 한계도 지녔다고 진단.
(5) 섭리와 인간 행위의 긴장
스위니는 하나님의 섭리적 역사 인도를 강조하면서도, 인간의 선택과 문화적 맥락이 역사 전개에 실질적 역할을 한다고 인정. 즉, 역사는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 + 인간의 응답과 실패의 긴장 속에서 해석이다.
수상
[편집]George N. Mayhew Fellowship, Vanderbilt University, 1990-91; visiting fellowship,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1994; Award for Exceptional Professional Growth,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1999; Jonathan Edwards Research Fellowship, Beinecke Rare Book and Manuscript Library, Yale University, 2003-04.
대표 저서
[편집]- The American Evangelical Story: A History of the Movement (2005)
- Jonathan Edwards and the Ministry of the Word (2009)
- Evangelicals: Theology and Spirituality Among the People of God (2021, 공저)
- The Oxford Handbook of Jonathan Edwards (2018, 공동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