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더 펜실베이니아 매거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더 펜실베이니아 매거진》
국가
미국의 기 미국
편집인토머스 페인
출판사로버트 에이킨
첫 발행1775년 1월
마지막 발행1776년 7월
기반필라델피아
언어영어
더 펜실베이니아 매거진
한글 표기: 더 펜실베이니아 매거진
공식 로마자 표기: The Pennsylvania Magazine; or, American Monthly Museum

더 펜실베이니아 매거진(영어: The Pennsylvania Magazine; or, American Monthly Museum)은 1775년 1월부터 1776년 7월까지 필라델피아에서 간행된 월간 잡지이다. 발행·인쇄는 로버트 에이킨이 담당했고, 초기에는 토머스 페인이 편집장을 맡았다.[1][2] 마지막 호(1776년 7월호)의 고정 코너인 “Monthly Intelligence(당시 표기 ‘Monthly Intelligencer’ 병용)”에 미국 독립선언 전문이 실렸다.[3][4]

명칭과 개요

[편집]

잡지의 정식 표제는 The Pennsylvania Magazine; or, American Monthly Museum이다. 1775년권 표제지에는 자유의 모자, “THE CONGRESS”라고 새긴 대포, 항해선 등 상징 도상이 배치되며, 임프린트에 “Front-Street의 London Coffee-House 맞은편” 주소가 명시된다.[1]

연혁

[편집]

창간과 편집 기조(1775)

[편집]

에이킨은 1775년 1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월간 발행을 예고했고, 페인은 첫 호의 서문에서 “잡지는 천재의 요람이며(well-conducted magazine is the nursery of genius), 재치와 유용성의 시장”이라는 이상을 제시했다.[2] 페인은 1년이 되기 전에 급여 인상 거부 문제로 사임했으며, 그 시간적 여유는 곧 《상식》 집필로 이어졌다.[2][5][6]

전쟁기 편집과 종간(1776)

[편집]

1776년 상반기에는 전황 지도·기술 도판과 시사 자료를 지속적으로 싣고,[1] 명목상 “6월호”로 표기된 호는 관례상 다음 달 첫 수요일에 인출되었는데(이 경우 7월 2일), 용지 부족으로 7월 4~5일로 지연되며 의회의 독립 결의(7월 2일)를 ‘Monthly Intelligence’ 말미에 짤막하게 덧붙였다.[7] 7월호는 월말 소식(29일까지)을 수록하고 종간되었다.[3]

제작·서지

[편집]

임프린트와 인쇄소 위치

[편집]

표제지 임프린트는 “PHILADELPHIA: PRINTED AND SOLD BY R. AITKEN, … OPPOSITE THE LONDON COFFEE-HOUSE, FRONT-STREET.”로 찍혔다.[1] 에이킨의 인쇄·서점은 당시 필라델피아 상업·정치 중심지의 배후 인프라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8]

판형·도판·아이코노그래피

[편집]

1775년권에는 A New Electrical Machine을 비롯한 과학·기술 도판과 보스턴 항만도·전황도 등 군사 지도류가 다수 수록된다.[1][9]

구성과 내용

[편집]

잡지는 에세이·시·기술 소품과 더불어, ‘Monthly Intelligence/Intelligencer’ 코너에 전쟁 경과·공문서를 정기적으로 배치했다.[2] 1776년 7월호의 표지·목차·본문 구성은 생활·과학 기사(괴혈병 예방을 위한 해상 식단, 정전기·낙뢰와 복식의 위험 경고)와 공문서 묶음(버지니아·코네티컷·뉴저지 헌법)에 이어 미국 독립선언 전문이 뒤따르는 형식이었다.[2][4]

1776년 6–7월호

[편집]

6월호(명목) — 7월 2일자 독립 결의 소식

[편집]

“6월호”는 전통적으로 다음 달 첫 수요일에 발행되었으며, 1776년에는 용지 부족으로 7월 4~5일로 미뤄지면서 “7월 2일 의회가 연합 식민지를 자유롭고 독립한 주로 선언했다”는 한 줄 공지가 말미에 추가되었다.[7]

7월호 — 독립선언 전문 수록과 실제 인출 시점

[편집]

7월호의 ‘Monthly Intelligence/Intelligencer’ 첫머리에 “In CONGRESS, July 4, 1776”으로 시작하는 선언 전문이 실렸고, 식자 인쇄된 존 핸콕 서명이 뒤를 이었다(쪽수 328–330).[3][4] 실제 인출은 7월 말~8월 초로 추정되며(경매·서지 기술 다수), 이는 월간지의 생산·유통 주기와 일치한다.[4]

유통과 독자층

[편집]

월간 주기 특성상 시사 속보는 신문·브로드사이드가 담당했고, 잡지는 월말 정리·문서 전재·논평을 통해 공중 담론을 정리·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선언 전문의 신문 초간은 1776년 7월 6일자 Pennsylvania Evening Post였고,[10][11] 잡지는 월간 루브릭 속 “정기 매체 경로”로서 선언 문서를 수용했다.[12]

소장·원자료와 디지털화

[편집]

브라운 대학교 캠퍼스의 존 카터 브라운 도서관(JCB)은 완질을 소장하고 있으며, 7월호 실물·이미지 제공 사실이 확인된다.[2][9] 1775년권은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열람 가능하다.[13]

연구사·평가

[편집]

학계에서는 페인의 단기 편집(1775)의 상상력·정치성·대중성 결합을 미국 공중 형성의 사례로 평가한다.[14] 또한 혁명기의 인쇄·유통 인프라가 “전국적 공중”을 얼마나 실질적으로 묶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 재검토가 병행된다.[15] 페인의 사상·행보를 통해 잡지의 정치적 동원 기능을 해석하는 시도도 이어진다.[6]

연표

[편집]
  • 1775년 1월 — 창간호 발행, 페인 편집 개시.[2][1]
  • 1776년 6월호(명목) — 7월 2일 의회 독립 결의 소식을 말미에 기재(실제 인출 7월 4~5일 추정).[7]
  • 1776년 7월호 — ‘Monthly Intelligence/Intelligencer’에 미국 독립선언 전문 수록(쪽수 328–330).[3][4]
  • 1776년 7월 말~8월 초 — 7월호 실제 인출(서지 기술).[4]
  • 종간 — 1776년 7월호를 끝으로 월간 발행 종료.[2]

저서

[편집]
  • 이언 샤피로·제인 캘버트(편), 토머스 페인 선집(Selected Writings of Thomas Paine). 뉴헤이븐: Yale University Press, 2014.
  • 스콧 클리어리·아이비 린턴 스태벨(편), 토머스 페인 연구의 새로운 방향(New Directions in Thomas Paine Studies). 뉴욕: Palgrave Macmillan, 2017.

관련 논문

[편집]
  • 라킨, 에드워드(1998). “미국 공중의 발명: 토머스 페인, 《펜실베이니아 매거진》과 혁명적 정치 담론(“Inventing an American Public: Thomas Paine, the Pennsylvania Magazine, and American Revolutionary Political Discourse”)”. Early American Literature 33(3): 250–276. doi:10.2307/25057128.
  • 맨델, 로라(2007). “무엇이 성(性)과 관련되는가? 결혼 대 유통—《펜실베이니아 매거진》, 1775–1776(“What’s Sex Got to Do with It? Marriage versus Circulation in The Pennsylvania Magazine, 1775–1776”)”. 토머스 A. 포스터(편), Long Before Stonewall. 뉴욕: NYU Press. doi:10.18574/nyu/9780814728147.003.0017.
  • (장별 연구) Thomas Paine and Eighteenth-Century Poetry 중 “Wit Is Naturally a Volunteer: Poetry and Print Culture in the Pennsylvania Magazine”. doi:10.2307/j.ctvmx3jbx.5.

각주

[편집]
  1. “Pennsylvania Magazine or American Monthly Museum” (영어).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 Goldberg, Jeffrey (2025년 10월 8일). “The American Experiment” (영어). The Atlantic.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3.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first magazine printing of the Declaration, in an issue of the Pennsylvania Magazine” (영어). Swann Galleries. 2024년 6월 27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4.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The first printing in magazine form” (영어). Sotheby’s. 2021년 11월 23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5. 존 키인(John Keane), 『톰 페인: 정치적 삶(Tom Paine: A Political Life)』, 런던: Bloomsbury, 1995.
  6. 에릭 포너(Eric Foner), 『톰 페인과 혁명의 미국(Tom Paine and Revolutionary America)』, 뉴욕: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7. “The Pennsylvania Magazine: or, American Monthly Museum for June 1776. Number VI. Volume II” (영어). Old World Auction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8. 아이제이아 토머스(Isaiah Thomas), 『미국 인쇄의 역사(History of Printing in America)』(1874 재판), 올버니: Joel Munsell, 1874.
  9. “A New Electrical Machine — (from The Pennsylvania Magazine)” (영어). John Carter Brown Library, Archive of Early American Image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0. “First Newspaper Printing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영어). Museum of the American Revolution.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1. “Benjamin Towne, 6 July 1776 — First newspaper printing of the Declaration” (영어).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2. “The Pennsylvania Magazine: or, American Monthly Museum (final issue)” (영어). The Grolier Club.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3. “The Pennsylvania Magazine, v.1 (Jan–Dec 1775)” (영어). Internet Archive (University of Pittsburgh Library System).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4. 에드워드 라킨(Edward Larkin), 『토머스 페인과 혁명의 문학(Thomas Paine and the Literature of Revolution)』, 케임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5. 트리시 러프런(Trish Loughran), 『활자문화와 공화국의 형성(The Republic in Print: Print Culture in the Age of U.S. Nation Building, 1770–1870)』, 뉴욕: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