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 콘퍼런스 (MLS)
| 동부 콘퍼런스 Eastern Conference | |
|---|---|
| 대륙 | CONCACAF |
| 국가 | |
| 참가 구단 수 | 15개 · 미국: 13개 · 캐나다: 2개 |
| 하위 리그 | USL 챔피언십 |
| 국내 대회 | US 오픈컵 캐나다 챔피언십 |
| 웹사이트 | mlssoccer.com |
| 역사 | |
| 설립 | 1996년 |
| 최다 우승 | D.C. 유나이티드 (4회) |
| 최근 우승 | 뉴욕 레드불스 (2024년) |
동부 콘퍼런스(영어: Eastern Conference, 프랑스어: Association de l'Est)는 서부 콘퍼런스와 함께 메이저리그 사커의 양대 콘퍼런스 중 하나이다. 콘퍼런스 구분은 오대호에서 멕시코만으로 이어지는 미시시피강의 경로를 크게 따르며, 동부 콘퍼런스 소속팀은 강의 동쪽에 있다.
2023년부터 동부 콘퍼런스에는 15개 팀이 참가하고 있다. 이 콘퍼런스에서는 메이저리그 사커의 첫 28시즌 동안 17번의 서포터스 실드 챔피언과 11번의 MLS컵 우승팀을 배출했다. 2000년과 2001년에 메이저리그 사커가 잠시 3개 디비전으로 개편되면서 이 컨퍼런스는 동부 디비전(Eastern Division)으로 불렸다.
참가팀
[편집]| 클럽 | 연고지(프랜차이즈) | 홈구장 소재지 | 홈구장 | 수용좌석 | 창단 | 첫시즌 |
|---|---|---|---|---|---|---|
| 동부 콘퍼런스 | ||||||
| 조지아주 애틀랜타 | 조지아주 애틀랜타 | 메르세데스-벤츠 스타디움 | 42,500명 | 2014년 | 2017년 | |
|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 38,000명 | 2019년 | 2022년 | |
| 일리노이주 시카고 | 일리노이주 시카고 | 솔저 필드 | 24,995명 | 1997년 | 1998년 | |
|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TQL 스타디움 | 26,000명 | 2018년 | 2019년 | |
|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 로우어닷컴 필드 | 20,371명 | 1994년 | 1996년 | |
| 워싱턴 D.C. | 워싱턴 D.C. | 아우디 필드 | 20,000명 | 1994년 | 1996년 | |
|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 플로리다주 포트로더데일 | DRV PNK 스타디움 | 21,000명 | 2018년 | 2020년 | |
| 퀘벡주 몬트리올 | 퀘벡주 몬트리올 | 사푸토 스타디움 | 19,691명 | 2010년 | 2012년 | |
| 테네시주 내슈빌 | 테네시주 내슈빌 | 지오디스 파크 | 30,000석 | 2017년 | 2020년 | |
| 그레이터 보스턴 | 매사추세츠주 폭스버러 | 질레트 스타디움 | 20,000명 | 1994년 | 1996년 | |
| 뉴욕주 뉴욕 | 뉴욕주 뉴욕 | 양키 스타디움 | 30,321명 | 2013년 | 2015년 | |
| 뉴욕주 뉴욕 | 뉴저지주 해리슨 | 레드불 아레나 | 25,000명 | 1994년 | 1996년 | |
| 플로리다주 올랜도 | 플로리다주 올랜도 | 인터앤코 스타디움 | 25,500 | 2013년 | 2015년 | |
|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 | 스바루 파크 | 18,500명 | 2008년 | 2010년 | |
| 온타리오주 토론토 | 온타리오주 토론토 | BMO 필드 | 28,351명 | 2005년 | 2007년 | |
역대 동부 콘퍼런스 라인업
[편집]역대 동부 콘퍼런스 우승팀
[편집]정규 시즌 1위팀에게는 서포터스 실드에서 우승하지 않는 한, 정규 시즌이 끝났을 때 트로피가 수여되지 않는다. 콘퍼런스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콘퍼런스 챔피언으로 간주된다. MLS 정규 시즌 종료 시점에서 동부 컨퍼런스 1위를 기록하고, 서포터즈 실드(전체 1위), 동부 컨퍼런스(플레이오프 우승), MLS컵을 모두 차지한 클럽은 단 세 팀뿐이다. D.C. 유나이티드는 두 차례, 콜럼버스 크루, 그리고 토론토 FC가 그 기록을 달성했다. 특히 토론토는 2017년에 캐나다 챔피언십까지 우승하며, 자신들이 참가할 수 있는 모든 대회에서 우승하는 '클린 스윕'의 기록을 세운 유일한 MLS 팀이 되었다
| 서포터스 실드 우승 | |
| 이탤릭체 | 동부 콘퍼런스 플레이오프 우승 |
| 볼드체 | MLS 컵 우승 |
| 시즌 | 우승팀 | 성적 (승–무–패) (득실차) | 플레이오프 최종 성적 |
|---|---|---|---|
| 1996 | 탬파베이 뮤터니 | 20–0^–12 (+15) | 콘퍼런스 준결승 |
| 1997 | D.C. 유나이티드 | 21–0^–11 (+17) | MLS컵 우승 |
| 1998 | D.C. 유나이티드 | 24–0^–8 (+30) | MLS컵 준우승 |
| 1999 | D.C. 유나이티드 | 23–0^–9 (+22) | MLS컵 우승 |
| 2000 | 메트로스타스 | 17–3–12 (+8) | 플레이오프 준결승 |
| 2001 | 마이애미 퓨전† | 16–5–5 (+21) | 플레이오프 준결승 |
| 2002 | 뉴잉글랜드 레벌루션 | 12–2–14 (0) | MLS컵 준우승 |
| 2003 | 시카고 파이어 | 15–8–7 (+10) | 콘퍼런스 준우승 |
| 2004 | 콜럼버스 크루 | 12–13–5 (+8) | 콘퍼런스 준결승 |
| 2005 | 뉴잉글랜드 레벌루션 | 17–8–7 (+18) | MLS컵 준우승 |
| 2006 | D.C. 유나이티드 | 15–10–7 (+14) | 콘퍼런스 준우승 |
| 2007 | D.C. 유나이티드 | 16–7–7 (+22) | 콘퍼런스 준결승 |
| 2008 | 콜럼버스 크루 | 17–6–7 (+14) | MLS컵 우승 |
| 2009 | 콜럼버스 크루 | 13–10–7 (+10) | 콘퍼런스 준결승 |
| 2010 | 뉴욕 레드불스 | 15–6–9 (+9) | 콘퍼런스 준결승 |
| 2011 | 스포팅 캔자스시티 | 13–12–9 (+10) | 콘퍼런스 준우승 |
| 2012 | 스포팅 캔자스시티 | 18–9–7 (+15) | 콘퍼런스 준결승 |
| 2013 | 뉴욕 레드불스 | 17–8–9 (+17) | 콘퍼런스 준결승 |
| 2014 | D.C. 유나이티드 | 17–8–9 (+15) | 콘퍼런스 준결승 |
| 2015 | 뉴욕 레드불스 | 18–6–10 (+19) | 콘퍼런스 준우승 |
| 2016 | 뉴욕 레드불스 | 16–9–9 (+17) | 콘퍼런스 준결승 |
| 2017 | 토론토 FC | 20–9–5 (+37) | MLS컵 |
| 2018 | 뉴욕 레드불스 | 22–5–7 (+29) | 콘퍼런스 준우승 |
| 2019 | 뉴욕 시티 FC | 18–10–6 (+21) | 콘퍼런스 준결승 |
| 2020 | 필라델피아 유니언 | 14–5–4 (+24) | 1라운드 |
| 2021 | 뉴잉글랜드 레벌루션 | 22–7–5 (+24) | 콘퍼런스 준결승 |
| 2022 | 필라델피아 유니언 | 19–10–5 (+46) | MLS컵 준우승 |
| 2023 | FC 신시내티 | 20–9–5 (+18) | 콘퍼런스 준우승 |
| 2024 | 인터 마이애미 CF | 22–8–4 (+30) | 1라운드 |
^ – MLS는 2000년 시즌까지 무승부가 없었다.
† – 마이애미 퓨전은 2001년 시즌이 채 끝나기도 전에 동부 콘퍼런스 우승팀으로 선언되었는데, 이는 2001년 9월 11일 테러 공격으로 인해 남은 정규 시즌이 취소되었기 때문이다. MLS컵 플레이오프는 9월 20일에 시작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