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비갯민달팽이
보이기
|
| |
|---|---|
오스트레일리아의 두꺼비갯민달팽이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 |
| 문: | 연체동물 |
| 강: | 복족강 |
| 아강: | 이새아강 |
| 목: | 병안류 |
| 상과: | 갯민달팽이상과 |
| 과: | 콩갯민숭이과[1] |
| 속: | Paromoionchis[1] |
| 종: | 두꺼비갯민달팽이[2] |
| 학명 | |
| Paromoionchis tumidus | |
| C. Semper, 1880 | |
두꺼비갯민달팽이는 콩갯민숭이과에 속하는 민달팽이의 하나이다.[2] 등에 오돌도돌한 돌기가 많이 돋아나 있어 마치 두꺼비의 등과 닮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3] 갯벌을 비롯한 바닷가에 사는 해양생물이지만 일반적인 해양 연체동물들과 달리 아가미가 아닌 공기호흡을 한다.[4]
두꺼비갯민달팽이는 육상의 민달팽이와 유전적 관련이 깊지만 물 속에서 알을 낳고 유생 역시 물속에서 자라나 성체가 되는 완연한 해양 생물이다.[1] 2005년부터 인도, 동남아시아의 맹그로브와 오스트레일리아 연안의 두꺼비갯민달팽이의 유전체를 연구한 말레이시아대학교 연구팀은 2019년 Paromoionchis 속을 콩갯민숭이과로 편입시켰다.[1]
두꺼비갯민달팽이는 태평양 서부와 인도양에 걸쳐 서식하여 북쪽으로는 일본 연안에서 남쪽으로는 말레이반도와 오스트레일리아 연안까지 분포하고 있다.[5] 열대와 아열대에서는 맹그로브에서 주로 관찰되며 대한민국의 경우 소래습지와 순천만에서 관찰된다.[4] 대한민국은 두꺼비갯민달팽이의 생물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국외반출 승인대상 해양수산생명자원으로 지정 고시하고 있다.[6] 대한민국 해양수산부가 2023년 4월 이 달의 해양 생물로 선정하기도 하였다.[3]
갤러리
[편집]-
맹그로브의 두꺼비갯민달팽이
-
등과 배의 모습
-
소래습지의 두꺼비갯민달팽이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Benoît DAYRAT and etc, A new genus and three new species of mangrove slugs from the Indo-West Pacific (Mollusca: Gastropoda: Euthyneura: Onchidiidae), European Journal of Taxonomy 500: 1–77, 2019
- ↑ 가 나 두꺼비갯민달팽이,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립생물자원관
- ↑ 가 나 이 달의 해양생물 - 두꺼비갯민달팽이, 해양수산부, 2023년 4월
- ↑ 가 나 두꺼비와 닮은 고둥 '두꺼비 갯민달팽이', 뉴시스, 2023년 3월 31일
- ↑ Paromoionchis tumidus (Semper, 1880), SeaLifeBase
- ↑ 해양물수산종-두꺼비갯민달팽이, 해양생물자원통합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