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갈잎고사리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식물계 |
(미분류): | 관다발식물 |
문: | 양치식물문 |
강: | 고사리강 |
목: | 고사리목 |
과: | 고란초과 |
속: | 떡갈잎고사리속 |
종: | 떡갈잎고사리 |
학명 | |
Aglaomorpha fortunei | |
(Kunze ex Mett.) Hovenkamp & S. Linds. | |
학명이명 | |
| |
향명 | |
|
떡갈잎고사리(槲蕨, 곡궐. 학명: Aglaomorpha fortunei 아글라오모르파 포르투네이[*]는 고란초과에 속하는 고사리이다. 중국 동부 등 동아시아 권역이 원산이다.
중의학에서 헛뿌리가 '골쇄보'(骨碎補)라는 이름의 한약재로 쓰인다. 학명이명인 Drynaria fortunei으로 아시아 연구에서 매우 빈번히 인용된다.[2] 그러나, 이는 Drynaria roosii의 오용명이다.
특징
[편집]떡갈잎고사리는 수부착성(epiphytic) 또는 암부착성(epipetric) 식물이다. 떡갈잎고사리속의 다른 종들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형태의 엽상체를 가진다.(포자가 있는 엽상체 잎과 포자가 없는 포엽체)[3][4]
포엽체는 둥글고 얕추 옅게 째진 적갈색 엽상체가 서로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띤다. 포자낭이 없으며 떡갈잎고사리속의 전형적인 '바구니 모양'을 형성한다. 엽상체는 좀 더 크며 열편이 크게 있다. 중앙맥 양 옆으로 1~3개의 포자퇴가 늘어서 있다.[3][4][5]
분류
[편집]1856년 구스타브 쿤제(Gustav Kunze)가 Polypodium fortunei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하였다. 1857년 존 스미스(John Smith)는 떡갈잎고사리를 드리나리아속으로 이동시켜 Drynaria fortunei라는 학명이 쓰이개 되었다. 널리 학명이 쓰이게 되었으나[2], 1855년에 이미 다른 종의 학명으로 게재되었기 때문에 오용명(Nomen illegitimum)이 되었다.[6] 1992년 도시유키 나카이케가 Drynaria roosii라는 신명으로 학명을 게재하였다.[7]
2016년 양치식물 계통 그룹 분류(Pteridophyte Phylogeny Group, PPG I)에 따르면, 떡갈잎고사리속은 고란초과의 드리나리아아과로 분류된다.[8]
쓰임새
[편집]떡갈잎고사리의 뿌리줄기에서 난 추출물은 골절 및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도와주는 전통 본초제로 쓰인다.[3][9]
약리 연구
[편집]떡갈잎고사리에 대한 현대의 연구에 따르면 분리된 골세포에서 시료의 효과가 확인되었다.[10]
플라반-3-ol과 프로펠라고니딘은 뿌리줄기에서 추출되는 성분이다.[11]
각주
[편집]- ↑ Hassler, Michael; Schmitt, Bernd (June 2019). 〈Aglaomorpha fortunei〉. 《Checklist of Ferns and Lycophytes of the World》 8 (2). 2017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Stuart Lindsay; David J. Middleton; Thaweesakdi Boonkerd; Somran Suddee (2009). “Towards a stable nomenclature for Thai ferns” (PDF). 《Thai Forest Bulletin (Botany)》 (37): 64-106. 201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 barefoot doctor's manual: a concise edition of the classic work of eastern herbal medicine》. Running Press. 2002. 367쪽. ISBN 978-0-7624-1250-1.
- ↑ 가 나 《The tropical look: an encyclopedia of dramatic landscape plants》. Timber Press. 1998. 152쪽. ISBN 978-0-88192-422-0.
- ↑ William Jackson Hooker (1864). 《Species filicum》. William Pamplin. 95쪽.
- ↑ “Polypodium fortunei Kunze ex Mett.”.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2019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Drynaria roosii Nakaike”.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2019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PPG I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6): 563–603. doi:10.1111/jse.12229. S2CID 39980610.
- ↑ Eun-Kyung Jung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Drynaria fortunei Against Oral Bacteria” (PDF).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37 (2): 61–68. doi:10.4167/jbv.2007.37.2.61. 2011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Jui-Sheng Sun; Chun-Yu Lin; Guo-Chung Dong; Shiow-Yunn Sheu; Feng-Huei Lin; Li-Ting Chen; Yng-Jiin Wang (2002). “The effect of Gu-Sui-Bu (Drynaria fortunei J.Sm) on bone cell activities” (PDF). 《Biomaterials》 (Elsevier) 23 (2002): 3377–3385. doi:10.1016/s0142-9612(02)00038-8. PMID 12099280. 2011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Proliferative effects of flavan-3-ols and propelargonidins from rhizomes of Drynaria fortunei on MCF-7 and osteoblastic cells. Eun Ju Chang, Won Jung Lee, Sung Hee Cho and Sang Won Choi,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August 2003, Volume 26, Issue 8, pages 620-630, doi:10.1007/BF02976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