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진만
보이기
라진만 | |
---|---|
나진만 | |
![]() | |
위치 | ![]() |
좌표 | 북위 42° 11′ 동경 130° 16′ / 북위 42.183° 동경 130.267° |
유형 | 만 |
어원 | 나진 |
유역 국가 | ![]() |
섬 | 대초도, 소초도 |
라진만(羅津灣, 표준어: 나진만, 영어: Rajin Bay)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시 라진구역의 만이며, 동해에 위치한다.
상세
[편집]나진만의 이름의 유래는 함경북도 나진시에서 왔다.[1] 두음법칙으로 인하여 표준어에서는 나진만, 문화어로는 라진만이라고 한다.[2][3][4][5] 동해의 일부이며, 나진만의 위치는 라선시 라진구역 신수동과 라선시 라진구역 나진동(나진반도)의 사이에 위치한다.[6] 라진만 안에는 대초도, 소초도가 있으며, 나진항 라진만 안에 있다.[7][8] 라선시에 있는 2개의 만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선봉구역의 웅기만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이, 한순. “나진시 (羅津市)”. Academy of Korean Studies.
- ↑ “두음 법칙과 북한 고유 명사의 표기 분석”.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조선일보 (2020년 7월 29일). “[주간조선] 남북 언어통일 최대 쟁점, 두음법칙 폐지 논란”.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영화 로 살펴본 남북한의 언어 차이 - 김미르 기자”. 2021년 9월 27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가까운 듯 먼 남북의 한글, 틀림 아닌 다름으로”. 2023년 10월 8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한국해양조사협회. “종이해도 상세 | 종이해도 | 항해용 간행물 목록 | 자료실 | 한국해양조사협회”.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북한지역정보넷”.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에너지경제연구원. “러, 북한 나진항 통한 석탄 운송 재개…중국에 수출| 주요뉴스 | 에너지 주요소식 | 소통”. 《에너지경제연구원》.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한국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