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츤 회랑


라츤 회랑[a]은 아제르바이잔에 위치한 산악 도로로,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연결했다.[1]
이 두 지역을 잇는 유일한 도로였기 때문에,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인 인구에게 인도주의 회랑 또는 "생명선"으로 여겨졌다.[2][3][4][5] 이 회랑은 아제르바이잔의 라츤구에 위치하지만,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휴전 협정에 따라 명목상 러시아 평화유지군의 통제하에 있었다. 2022년까지 이 회랑 지역에는 자부흐, 수스 마을과 라츤 시가 포함되었다. 2022년 8월 26일, 이 정착지들은 아제르바이잔의 통제하에 놓였다. 나흘 후, 남쪽으로 새로운 경로가 개통되어 자부흐, 수스, 라츤 정착지를 우회하고 메츠 셴/보유크 갈라다라시와 힌 셴/키치크 갈라다라시 마을을 통과한다.[6]
아제르바이잔은 2022년 12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라츤 회랑을 봉쇄했고, 이는 여러 국가, 국제기구 및 인권 단체의 비판을 받았다.[7][8][9][10][11][12] 이들 중 다수는 이를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을 종식시킨 휴전 협정 위반으로 간주했다. 2023년 4월 23일, 아제르바이잔 관리들은 군수품 및 천연자원의 "불법" 운송을 막기 위함이라고 주장하며 회랑에 검문소를 설치했다.[13][14] 그러나 아르메니아와 아르차흐 공화국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으며,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휴전 협정은 라츤 회랑의 사용을 인도주의적 필요에만 명시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15] 2023년 9월 재공세 이후, 아제르바이잔군은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역을 장악했고,[16] 이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거의 모든 아르메니아 주민들이 라츤 회랑을 통해 아르메니아로 탈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17]
역사
[편집]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동안, 나고르노카라바흐와 인접한 아르메니아는 1989년 8월에 봉쇄되었고,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 그리고 나고르노카라바흐와 아르메니아 간의 교통 및 경제 연결을 끊었다.[18] 1992년 5월,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군은 라츤을 점령하고 아르메니아와 육로를 연결하여 봉쇄를 끝냈다.[19][20][21][2] 전쟁이 끝난 후, 라츤 회랑의 지위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의 평화 협상에서 주요 쟁점 중 하나였다. 회랑의 지위에 대해 다양한 구성이 제안되었다. 1999년의 한 협상에서, 아제르바이잔이 회랑에 대한 아르메니아의 통제를 수락하는 대신, 나흐츠반과의 연결을 위해 남부 아르메니아를 통과하는 육로 회랑을 제안했다.[22] 2005년 9월 18일 유엔에 대한 성명에서, 아제르바이잔 외무부 장관 엘마르 맘마디아로프는 아제르바이잔이 쌍방 사용을 위한 라츤 회랑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초기 단계에서" 다국적 평화유지군 배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23]
러시아가 중재한 휴전으로 끝난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 라츤 회랑은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가 되었다.[2] 휴전 협정은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24]
아르메니아 공화국은 [...] 라츤구를 2020년 12월 1일까지 반환해야 한다. 나고르노카라바흐와 아르메니아를 연결하고 슈샤 영토를 통과하지 않는 라츤 회랑(폭 5km)은 러시아 연방 평화유지군의 통제하에 남아있어야 한다.
당사자들의 합의에 따라, 향후 3년 이내에 나고르노카라바흐와 아르메니아를 연결하는 라츤 회랑을 통한 새로운 경로 건설 계획이 수립될 것이며, 러시아 평화유지군은 이후 해당 경로를 보호하기 위해 재배치될 것이다.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은 라츤 회랑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사람, 차량 및 화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휴전 이후 약 200명의 아르메니아인이 라츤 회랑에 남았는데, 그 중 30명은 수스에, 100~120명은 라츤에, 40명 이상은 자부흐 (아하브노)에 있었다.[25]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라츤 회랑이 라츤 시를 통과하기 때문에 이 지역에 새로운 회랑이 건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6] 8월 26일, 라츤구의 통제권이 아제르바이잔으로 이관되었다. 아르차흐 당국은 회랑을 따라 거주하는 마을 주민들에게 대피를 위해 20일의 유예 기간을 주었다.[27][28] 알리예프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장기 거주 아르메니아인들이 시민으로 대우받을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남아있는 거주민들을 불법 정착자로 낙인찍고 그들의 제거를 요구했다.[29][30]
2021년 3월, 영국방송공사의 한 기자가 이 도로를 방문하여 "전쟁 이후 아르메니아는 누가 이 도로를 사용하고 무엇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통제할 수 없었고", 이제 통제는 러시아에 달려 있다고 보고했다.[31] 아제르바이잔은 라츤 회랑을 따라 영상 감시 카메라를 설치했다고 밝혔다.[32]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아르메니아 공화국과 연결하는 유일한 도로이기 때문에, 종종 나고르노카라바흐 주민들을 위한 "생명선"으로 묘사되어 왔다.[33][34][2]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 상황 (2020)
[편집]2022년 8월, 아제르바이잔은 라츤 주변 도로 건설을 완료했지만, 아르메니아는 그렇지 못했다. 8월 2일, 아르메니아 지방 당국은 아제르바이잔 측이 기존 경로를 우회하여 다른 경로를 통해 아르메니아와 통신을 조직하라는 요구를 전달했다고 보고했다.[35] 라츤 주변 재충돌 이후, 아르메니아 안보리 비서 아르멘 그리고랸은 아르메니아 측이 아직 새로운 도로 건설 계획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제르바이잔의 라츤 회랑 요구는 불법이라고 밝혔다.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가 도로 건설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비난했으며, 아제르바이잔이 담당한 부분은 이미 건설되었다. 8월 4일, 아르메니아 영토행정부 장관 그넬 사노샨은 라츤 대체 도로 건설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2023년 봄에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36] 8월 5일, 아르메니아 지방 당국은 라츤, 자부흐, 수스 주민들에게 8월 25일까지 집을 떠나라고 통보했으며, 그 이후 마을은 아제르바이잔에 넘겨질 예정이었다.[37][38] 일부 아르메니아 주민들은 자신의 집을 불태웠다.[39] 8월 26일 현재, 아제르바이잔은 라츤, 수스, 자부흐를 포함한 라츤 회랑의 마을들을 다시 장악했다.[40] 곧이어, 메츠 셴/보유크 갈라다라시와 힌 셴/키치크 갈라다라시 마을을 지나는 남쪽의 대체 경로가 개통되었다.[6][41]
2022년 12월 12일, "환경 운동가"라고 주장하는 아제르바이잔 시민들이 라츤 회랑을 봉쇄하여[42][43] 270명의 어린이를 포함하여 1,100명이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44][45] 이어서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로의 가스 공급을 중단했고(12월 13일~16일), 이로 인해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 주민 12만 명이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할 위험에 놓였다.[46][47] 이 봉쇄는 프랑스, 그리스, 네덜란드, 러시아, 캐나다 등 여러 국가의 비난을 받았다.[48][49][50][51][52] 이 문제는 유럽 평의회 의원총회에서도 논의되었다.[53][54]
2023년 4월 23일, 아제르바이잔 관리들은 군수품 및 천연자원의 "불법" 운송을 막기 위함이라고 주장하며 회랑에 검문소를 설치했다.[13][14] 이러한 주장은 이전에 아르메니아 당국에 의해 부인되었다.[55]
아르메니아인 구금
[편집]2023년 7월 29일, 아제르바이잔군은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인 거주자 바기프 하차트랸이 치료를 위해 라츤 회랑을 통해 아르메니아로 건너가던 중 그를 구금했다. 하차트랸은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도움으로 아르메니아로 여행하는 대규모 그룹의 일원이었다.[56] 하차트랸은 이후 바쿠로 이송되었다.[57] 아제르바이잔 당국은 하차트랸이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메셜리 마을에서 아제르바이잔인들을 상대로 폭력을 행사한 혐의가 있다고 주장하며, 아제르바이잔 형법에 따라 "집단 학살"과 "인구의 추방 또는 강제 이동" 혐의로 기소했다.[58]
2023년 8월 28일, 나고르노카라바흐 출신의 젊은 아르메니아인 남성 세 명, 알렌 사르키샨, 바헤 호브세피안, 레본 그리고랸이 라츤 회랑을 통해 아르메니아로 이동하던 중 아제르바이잔 보안군에 의해 구금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평화유지군의 호위를 받고 있었다.[59] 아제르바이잔 당국과 언론은 이들이 2021년 소셜 미디어 영상에서 "아제르바이잔 국기에 대한 경시" 혐의로 기소되었다고 밝혔다. 이 세 남성은 이후 "피고인의 나이, 진심 어린 후회, 절차법 요건 준수를 고려하여" 형사 고발이 취하되었다고 전해졌다. APA 통신에 따르면, 이 세 명은 아제르바이잔에서 추방되기 전에 10일간 행정 구금될 예정이다.[60][61]
2023년 9월 공세
[편집]2023년 9월 재공세 이후, 아제르바이잔군은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역을 장악했고,[16] 이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거의 모든 아르메니아 주민들이 라츤 회랑을 통해 아르메니아로 탈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17]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각주
[편집]- ↑ “Azerbaijan enters Nagorno-Karabakh district after peace deal”. 《aljazeera.com》. 알자지라. 2020년 11월 20일. 2020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The Russian peacekeeping force of some 2,000 troops has deployed to the administrative centre of the region, Stepanakert, and set up checkpoints and observation posts along the strategic Lachin corridor connecting Nagorno-Karabakh with Armenia.
- ↑ 가 나 다 라 “Lachin is a ghost-town -- a crowd of burned-out,...”. 《UPI》 (영어). 2022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Potier, Tim (2001). 《Conflict in Nagorno-Karabakh, Abkhazia and South Ossetia: a legal appraisal》. The Hague: Kluwer law international. 194쪽. ISBN 978-90-411-1477-8.
- ↑ German, Tracey (September 2015). 《Negotiating Armenian-Azerbaijani peace: opportunities, obstacles, prospects. By Ohannes Geukjian》. 《International Affairs》 91. 92쪽. doi:10.1111/1468-2346.12424. ISSN 0020-5850. 2023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France calls on Azerbaijan to reopen humanitarian corridor with Armenia”. 《France 24》 (영어). 2023년 4월 28일. 2023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Shahverdyan, Lilit; Kucera, Joshua (2022년 9월 15일). “Armenians warily travel along "the new road" to Karabakh | Eurasianet”. 《Eurasianet》. 2022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Kitachayev, Bashir (2022년 12월 16일). “Azerbaijani roadblock cuts tens of thousands off from food, fuel and medicine”. 《openDemocracy》. 2023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Azerbaijan closes Lachin Corridor to install checkpoint”. 《OC Media》 (미국 영어). 2023년 4월 24일. 2023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일에 확인함.
- ↑ “PACE rapporteur seeks to visit Lachin corridor”. 《OC Media》 (미국 영어). 2023년 4월 25일. 2023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일에 확인함.
- ↑ Ahmedbeyli, Samira (2023년 4월 24일). “Azerbaijan has installs checkpoint at entrance to Lachin road. Information and comments from Baku and Yerevan”. 《English Jamnews》 (미국 영어). 2023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일에 확인함.
- ↑ “PRESS RELEASE : Checkpoint on the Lachin Corridor – UK statement to the OSCE [April 2023] – UKPOL.CO.UK” (미국 영어). 2023년 4월 27일. 2023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일에 확인함.
- ↑ Canada, Global Affairs (2023년 4월 25일). “Canada concerned with latest developments in Lachin Corridor”. 《www.canada.ca》. 2023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Presse, AFP-Agence France. “Azerbaijan Says Set Up Checkpoint On Key Route To Armenia”. 《www.barrons.com》 (미국 영어). 2023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Azerbaijan installs checkpoint on road to Nagorno-Karabakh amid fatal clashes”. 《POLITICO》 (영어). 2023년 4월 23일. 2023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3일에 확인함.
- ↑ Council of Europe: Parliamentary Assembly. “Committee on the Honouring of Obligations and Commitments by Member States of the Council of Europe (Monitoring Committee):The honouring of obligations and commitments by Armenia: Information note following the visit in Armenia from 17 to 19 February 2023”. 2023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4일에 확인함.
The Trilateral Statement contains no provision limiting explicitly the use of this road to humanitarian needs.
- ↑ 가 나 Roth, Andrew (2023년 9월 24일). “First evacuees from Nagorno-Karabakh cross into Armenia”. 《가디언》. 2023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Sauer, Pjotr (2023년 10월 2일). “'It's a ghost town': UN arrives in Nagorno-Karabakh to find ethnic Armenians have fled”.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 ↑ Kambeck, Michael; Ghazaryan, Sargis, 편집. (2013). 《Europe's Next Avoidable War》 (영어). 25쪽. doi:10.1057/9781137030009. ISBN 978-1-349-33644-9. 2023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18일에 확인함.
1989 August: Azerbaijan imposes a railway blockade on Armenia and Nagorno-Karabakh, abrogat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Soviet solidarity.
- ↑ “CASE OF CHIRAGOV AND OTHERS v. ARMENIA”. 《HUDOC -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2023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9일에 확인함.
The capture of these two towns [Lachin and Shusha/Shushi] had been deemed necessary by the “NKR” forces in order to stop Azerbaijani war crimes and open up a humanitarian corridor to Armenia.
- ↑ Green, Anna (2017년 3월 20일). “Spotlight Karabakh”. 《EVN Report》 (미국 영어). 2023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9일에 확인함.
On May 18, [1992] the Karabakh Army entered Lachin (Kashatagh), thus ending the three-year blockade.
- ↑ “Dates and facts around Nagorno-Karabakh's 30-year long conflict”. 《euronews》 (영어). 2016년 4월 5일. 2022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De Waal, Thomas (2003).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New York University Press. 263–264쪽. ISBN 0-8147-1944-9.
- ↑ “UN General Assembly 2005” (PDF). 2020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8일에 확인함.
- ↑ “Statement by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 Prime Minister of the Republic of Armenia and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Kremlin.ru》. 2020년 11월 10일. 2020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 Sara Petrosyan (2021년 2월 22일). “Փոքրաթիվ հայեր դեռևս բնակվում են Քաշաթաղում, բայց դա ռուսների քմահաճույքով է պայմանավորված”. 《hetq.am》. Hetq. 2021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 “İlham Əliyev: "Yeni dəhliz hazır olandan sonra Laçın şəhəri bizə qaytarılacaq"”. 《BBC Azerbaijani Service》 (아제르바이잔어). 2020년 12월 1일. 2020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Karabakh authorities demand villagers quickly evacuate ahead of handover to Azerbaijan | Eurasianet”. 《eurasianet.org》 (영어). 2022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Fears for new Nagorno-Karabakh crisis as Azerbaijan threatens key road link | Eurasianet”. 《eurasianet.org》 (영어). 2022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Illegally settled people should be removed from the city of Lachin, the villages of Zabukh and Sus: Azerbaijan's President”. 《Apa.az》 (영어). 2022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Azerbaijan retakes control of three Karabakh settlements | Eurasianet”. 《eurasianet.org》 (영어). 2022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Who Won the Karabakh War?”. 《bbc.co.uk》. 영국방송공사. 2021년 3월 26일. 2021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ahmedbeyli, samira (2021년 9월 14일). “Customs payments for Iranian trucks: what is happening at the Armenian-Azerbaijani border”. 《English Jamnews》 (미국 영어). 2023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The Lachin Corridor: Russian Peacekeepers Securing Artsakh's Lifeline”. 《CIVILNET》 (미국 영어). 2021년 3월 10일. 2021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Fears for new Nagorno-Karabakh crisis as Azerbaijan threatens key road link | Eurasianet”. 《eurasianet.org》 (영어). 2022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Обострение в Нагорном Карабахе: что происходит и почему это важно”. 《BBC News Русская Служба》. 2022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Новая война в Карабахе? В Баку и Ереване винят друг друга и оглядываются на Москву”. 《BBC News Русская Служба》. 2022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Lachin residents given 20 days to leave homes ahead of Azerbaijan handover”. 《OC Media》 (미국 영어). 2022년 8월 5일. 2022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7일에 확인함.
- ↑ LLC, Helix Consulting. “Айк Ханумян предупредил жителей Ахавно и Бердзора, что до 25 августа они должны покинуть свои дома – главы общин - aysor.am - Горячие новости из Армении”. 《www.aysor.am》. 2022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Узел, Кавказский.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е пожарные прибыли в Лачин после поджогов армянами своих домов”. 《Кавказский Узел》. 2022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5일에 확인함.
- ↑ “Azerbaijani forces are stationed in Lachin, Karabakh: President Aliyev”. 《Daily Sabah》 (미국 영어).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ahmedbeyli, samira (2021년 9월 14일). “Customs payments for Iranian trucks: what is happening at the Armenian-Azerbaijani border”. 《English Jamnews》 (미국 영어). 2023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е "активисты" блокируют дорогу из Карабаха в Армению. Одновременно в Карабахе пропал газ” [Azerbaijani "activists" are blocking the road from Karabakh to Armenia. At the same time, gas disappeared in Karabakh]. 《BBC News Русская Служба》. 202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Armenia, Azerbaijan tensions rise over blocked road”. 《news.yahoo.com》 (미국 영어).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Azerbaijanis again block the road to Karabakh”. 《Eurasianet》. 2022년 12월 12일. 2022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Blockade of Nagorno-Karabakh”. 《Caucasian Knot》. 2022년 12월 19일. 2022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Gray, Sébastien (2022년 12월 13일). “Azerbaijan Cuts off Gas to Artsakh, Blocks Lachin Corridor”. 《Atlas News》. 2023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Азербайджан возобновил подачу газа в Нагорный Карабах”. 《콤메르산트》. 2022년 12월 16일. 2022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Foreign Ministry calls on Azerbaijan to end Lachin corridor blockade | eKathimerini.com”. 《www.ekathimerini.com》. 2022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UN Chief Urges Reopening Of Karabakh-Armenia Corridor”. 《www.azatutyun.am》. 2022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Lachin Corridor: Greece calls on Azerbaijani authorities to ensure security of movement”. 《news.am》. 2023년 6월 23일. 2022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French Foreign Ministry urges to resume traffic via Lachin corridor”. 《tass.com》. 2022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Reports are concerning: Dutch PM comments on situation in Lachin Corridor”. 《armenpress.am》. 2022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PACE decides to discuss Azerbaijan's closure of Lachin corridor”. 《News.am》. 2023년 6월 23일. 2023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PACE's debates on Lachin corridor are scheduled for January 26”. 《News.am》. 2023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Armenia Warns Of 'New Azeri Aggression'”. 《자유유럽방송》. 2023년 3월 8일.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 ↑ “Azerbaijan Detains Artsakh Citizen Travelling to Armenia for Medical Treatment”. 《Hetq》 (영어). 2023년 7월 29일. 202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Sarkisova, Anya; Aleksanyan, Narek (2023년 7월 31일). “Daughter of Vagif Khachatryan, Detained by Azerbaijani Border Guards, Pleads for His Return”. 《Hetq》. 202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Shahverdyan, Lilit; Isayev, Heydar (2023년 7월 31일). “Azerbaijan arrests Nagorno-Karabakh resident during medical evacuation for "war crime"”. 《Eurasianet》. 2023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Stepanian, Ruzanna (2023년 8월 28일). “Three More Karabakh Men Arrested By Azerbaijan (UPDATED)”. 《자유유럽방송》 (아르메니아어). 2023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Three more Armenians detained at Azerbaijan's Lachin checkpoint”. 《Eurasianet》. 2023년 8월 29일. 2023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9일에 확인함.
- ↑ “Ադրբեջանը ձերբակալված հայ երիտասարդներին ազատ կարձակի” [Azerbaijan will release the arrested Armenian youths]. 《CivilNet》 (아르메니아어). 2023년 8월 28일. 2023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