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원소
을
에 대한 단항식
![{\displaystyle X^{N}=x_{1}^{n_{1}}\cdots x_{|X|}^{n_{|X|}}\in \mathbb {Z} [x_{1},\dots ,x_{|X|}]}](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cfd2e0ed8f776339e13889d27eb047cb5a4bbe4)
으로 표기하자.
위의 임의의 합동 관계
에 대하여,
인
들로 생성된 아이디얼을
라고 하고,

임을 보이자.
는 자명하게
를 함의한다. 이제,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은 유한 개의 서로 합동인 두 단항식의 차들의 합이다. 만약
이라면,
이므로
이다. 만약



인
가 존재한다면,
이다. 이제





인
가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며,
이다. 만약
이거나
라면,
이다. 만약
이거나
라면, 편의상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이며, 따라서
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항상
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임의의 아이디얼
에 대하여,

는 자명하게
위의 합동 관계를 이룬다.
이에 따라,
위의 합동 관계는
의 아이디얼들과 일대일 대응하며, 또한
는
의 아이디얼들의 격자와 순서 동형이다. 특히, 힐베르트 기저 정리에 따라,
는 뇌터 환이므로,
의 아이디얼들은 오름 사슬 조건을 만족시키며, 따라서
역시 오름 사슬 조건을 만족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