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로마니아 제국 영토 분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마니아 제국 영토 분할
제4차 십자군 이후의 동로마 제국의 실제 분할
서명일1204년 (1204)
서명장소라틴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서명국

로마니아 제국 영토 분할(라틴어: Partitio terrarum imperii Romaniae[a], 또는 그리스 왕국 영토 분할(라틴어: Partitio regni Graeci)[2]은 1204년 제4차 십자군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약탈한 후 십자군들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었다. 이 조약은 라틴 제국을 세웠고 십자군 참가자들 사이에 동로마 제국의 영토를 명목상 분할하는 것을 주선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이 가장 큰 수혜자였다. 그러나 십자군이 실제로 제국의 대부분을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리스 귀족들은 여러 후계 왕국(즉 니케아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 이피로스 전제공국)을 세웠다. 그 결과, 십자군이 선언한 제국 분할의 상당 부분은 결코 이행될 수 없었다. 이 조약으로 세워진 라틴 제국은 1261년 니케아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재정복하여 동로마 제국을 재건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남부 그리스에게해 제도의 여러 십자군 공국들은 14세기와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정복할 때까지 훨씬 더 오래 지속되었다.

배경

[편집]

1204년 3월 예비 합의

[편집]

1204년 3월, 4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 직전, 십자군들은 비잔티움 영토를 자신들끼리 분할하는 예비 협정을 맺었다.[3][4] 이 문서는 십자군의 주요 지도자들, 즉 베네치아 도제 엔리코 단돌로, 몽페라 후작 보니파초 1세,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9세, 블루아 백작 루이 1세 사이에 체결되었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서한 중에 보존되어 있다.[5]

그 조항에 따르면, 베네치아인들은 비잔티움 황제들이 부여한 이전 특권을 유지하며, 6명의 베네치아인과 6명의 십자군으로 동등하게 구성된 공동 위원회가 도시 정복 후 수립될 라틴 제국의 황제를 선출하게 된다. 새로운 라틴 황제는 베네치아인이든 '프랑크인'(즉 십자군 남작 중 한 명)이든 전체 영토의 4분의 1, 그리고 블라헤르네 궁전부콜레온 궁전을 포함한 황궁과 도시의 4분의 1을 받게 된다. 패배한 쪽은 아야 소피아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를 지명할 권리를 받게 된다. 도시와 나머지 비잔티움 영토의 4분의 3은 베네치아와 다른 십자군 사이에 동등하게 분할된다.[3][6]

플랑드르의 보두앵 선출

[편집]

5월 9일, 이전 십자군 지도자였던 몽페라의 보니파초 대신 플랑드르의 보두앵이 라틴 황제로 선출되었다. 십자군이자 연대기 작가인 조프루아 드 빌하르두앵에 따르면, 이전 합의에 따라 보니파초는 보스포루스 해협마르마라해 너머 "튀르키예 쪽" 영토와 "그리스 섬"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보니파초를 달래기 위해 보두앵은 그에게 테살로니키 왕국을 대신 할당하기로 동의했다.[7]

조약

[편집]

이 합의는 아마도 1204년 9월 말 또는 10월 초에 공포되었을 것이며[b] 12명의 베네치아인과 12명의 다른 십자군 지도자 대표로 구성된 24인 위원회에 의해 작성되었다.[10] 베네치아인들은 이 지역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최종 텍스트의 많은 조항은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1198년 베네치아에 부여한 제국 크리소불에서 기원한 것으로 볼 수 있다.[11] 이 조약은 라틴 황제에게 이전 비잔티움 영토의 4분의 1을 직접 통제하게 했고, 베네치아에게 8분의 3을 주었으며, 나머지 8분의 3은 다른 십자군 지도자들에게 배분되었다.[12] 콘스탄티노폴리스 자체에 관해서는 십자군이 차지한 도시 부분이 황제의 영토로 흡수되었다.[12] 역사가 데이비드 자코비에 따르면, 이 분할은 남아 있지 않은 다른 합의에서 공식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약탈 자체 이전에 발생했을 수도 있다.[13]

이 조약은 여러 필사본으로 남아 있는데, 모두 베네치아 출신이다. 리베르 알부스(fol. 34ff.), 리베르 파크토룸(Vol. I, fol. 246ff. 및 Vol. II, fol. 261ff.), 코덱스 상티 마르치 284, folio 3, 무라토리우스 코디케스 암브로시아니 I, II.[2][14] 이 조약의 첫 번째 비판적 판본은 고틀리에프 타펠과 게오르크 토마스가 빈 제국 과학 아카데미를 위해 1856년에 편찬한 베네치아 외교 문서집에 실렸으며,[15] 1965년에는 A. 카릴레가 완전한 주석을 달아 최신판을 발행했다.[11]

영토 조항

[편집]

조약의 조항에 따르면, 영토는 "베네치아 공작 및 코무네의 영토"(pars domini Ducis et communis Venetiae), 라틴 황제의 영토(pars domini Imperatoris), 그리고 나머지 십자군, 즉 "순례자"의 영토(pars Peregrinorum)로 나뉘었다.

라틴어 원문 번역 영토 지역 비고
Civitas[c] Archadiopoli. Missini. Bulgarofigo. (Pertinentia[d] Archadiopoli).[18] 아르카디오폴리스,[19] 미세네,[20] 불가로피곤,[21] 아르카디오폴리스의 에피스켑시스의 일부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동일한 지역들이 1198년의 크리소불에서 메세네, 아르카디오폴리스, 불가로피곤의 에피스켑시스 일부로 언급된다.[22]
Pertinentia Putis/Pucis et Nicodimi[23] 푸트자[24]와 "니코디미"의 에피스켑시스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니코디미"는 아직 미확인; 카릴레는 하브사니케와 동일시를 제안했다.[25]
Civitas Heraclee/Yraclee.[26] 헤라클레아 페린투스 도시[27]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Pertinentia Chalkidos, cum civitate Rodosto et Panido, cum omnibus, que sub ipsis. 칼키스 (트라키아)[28]의 에피스켑시스와 라이데스토스[29]파니도스 도시, 그리고 그 모든 종속지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Civitas Adrianopoli cum omnibus, que sub ipsa.[30] 아드리아노폴리스 도시[31][32]와 그 종속지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Pertinentia Gani.[33] 가노스의 에피스켑시스[34]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Casale[e] Chortocop[l]i. Casalia Chotriki, Kerasea, Miriofitum.[36] 코르토코페이온, 코르트리키, 케라시아,[37] 미리오피톤 정착지[38]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코르토코페이온(Χορτοκόπειον)은 11세기 중반 아토스산 문서에 언급되어 있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도 아프로스 동쪽에 위치하며, 갈리폴리에서 아드리아노폴리스로, 킵셀라 (트라키아)에서 라이데스토스로 이어지는 도로의 교차점에 있었을 것이다.[39][40] 코르트리키(Χοτρικί)는 다른 곳에서는 기록되지 않았으며, 아마도 코라와 동일할 것이다.[41]
Pertinentia Peristasi.[42] 페리스타시스의 에피스켑시스[43]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Pertinentia Brachioli.[42] 브란키알리온의 에피스켑시스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위치는 확실하지 않으나 현대 인제부룬 등대와 가깝다. 1198년 크리소불,  1200c.년 카탈루냐 포르톨란, 그리고 후대 비잔티움 자료에 언급된다.[44]
Casalia de Raulatis et Examilii. Emporium Sagudai.[42] 라울라톤, 헥사밀리온,[45] 사구다오스의 정착지 베네치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라울라톤(χωρίον τῶν Ῥαουλάτων)의 위치는 확실하지 않으나, 아마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갈리폴리 반도) 기슭의 헥사밀리온 근처였을 것이다. 이름은 아마도 라울 가문을 나타낸다.[46] 사구다오스(Σαγουδάους) 또는 사구데(Σαγούδη) 정착지(엠포리온)의 위치는 1152년에 항구 및 창고로 기록되어 있다. 위치는 명확하지 않으나 갈리폴리 반도 북부 또는 아이노스 근처에 있었을 것이다.[47][48]
Pertinentia Gallipoli[49] 칼리폴리스의 에피스켑시스[50] 베네치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Lazu et Lactu[51] 라주와 락투 베네치아 동트라키아 라주(Λάζου)와 락투(Λάκτου)는 다른 곳에서는 기록되지 않았다. 본문에서의 위치로 보아 칼리폴리스 근처에 있었을 것이다.[52]
Pertinentia de Muntimanis et Sigopotamo, cum omnibus, que sub ipsis.[51] 문티마노이의 에피스켑시스와 시고스 강 및 그 종속지 베네치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ἐπίσκεψις τῶν Μουντιμάνων은 다른 곳에서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아마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남부에 위치했을 것이다.[53] 시고스 강은 현대 카바칼티 데레 또는, 가능성은 낮지만, 챗메 데레와 동일시될 수 있으며, 갈리폴리 반도 남부에 있다.[54]
Provintia Lakedemonie, micra et megali episkepsis, i.e. parva et magna providentia. Kalabrita.[51] 라코니아의 지방, 그 안에 있는 소규모 및 대규모 에피스켑세이스, 그리고 칼라브리타 마을 베네치아 펠로폰네소스반도 라케데몬 지방은 다른 곳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분명히 라코니아 지역과 동일하다.[55]
Ostrovos.[51] 오스트로보스 마을 베네치아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아마도 마케도니아 (지역)동명 마을일 가능성이 높지만, 펠로폰네소스에 있는 동일한 이름의 미지의 장소일 수도 있다.[56][57]
Oreos. Caristos.[58] 오레오스카리스토스 마을 베네치아 에비아섬 카리스토스는 1198년 크리소불에서 이미 언급되었지만, 오레오스는 주교의 좌석이라는 점 외에는 당시에는 두드러지지 않았다.[59]
Andrus.[58] 안드로스섬 (그리스) 베네치아 키클라데스 제도
Egina et Culuris.[58] 에기나살라미나섬 베네치아 사로니코스만 에기나와 살라미나섬은 크게 황폐해졌고 해적들의 피난처였다.[60]
Zachintos et Kefalinia.[58] 자킨토스케팔로니아섬 베네치아 이오니아 제도 케팔로니아와 자킨토스는 이미 1185년 마지막 노르만 침공 때 점령되었으며, 그 이후로 팔라틴 백작령을 형성하여 처음에는 브린디시의 마르가리투스의 통치를 받았고, 1204년에는 마테오 오르시니가 통치했다고 일반적으로 여겨진다.[61][62] 그러나 오르시니의 통치는 문서 증거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카를 호프의 추측에 기반하며, A. 키에제베터는 마이오 디 모노폴리(별칭 마테오 오르시니)가 1294년 마르가리투스 사망 이후 비잔티움 제국이 회복한 섬들을 1206년에 장악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63]
Provintia Colonie Conchilari. Canisia.[58] 콜로네이아 지방, 키아리 또는 클레레논, 그리고 코니차 또는 카니나 베네치아 알바니아, 이피로스 지역 타펠과 토마스는 "Colonie cum Cycladibus. Nisia."에 대한 일련의 수정과 식별을 제안했다. "Colonie"는 수니온 곶의 포세이돈 신전을 지칭할 수 있고(그 후 수니온 곶은 카포 콜론으로 알려짐), "Cycladibus"는 키클라데스 제도를, "Nisia"는 낙소스섬으로 식별되었다.[64] 이는 Th. 멘케와 장 롱뇽에 의해 거부되었고, 그들은 텍스트를 "Provintia Colonie cum Chilari, Canisia."로 수정하여 이피로스 지역콜로네이아, 키아리, 코니차로 읽었으며, 디오니시오스 자키티노스는 "Chilari"를 클레레논과, "Canisia"를 카니나와 동일시할 것을 제안했다.[65]
Pertinentia Lopadi.[58] "로파디"의 에피스켑시스 베네치아 에게해 제도 또는 북부 소아시아 (?) 타펠과 토마스는 로파디를 레비타 섬으로 동일시할 것을 제안했지만,[66] 자키티노스에 따르면, 1198년 크리소불에 에피스켑시스로 기록된 미시아로파디온을 지칭할 가능성도 높다. 이는 텍스트의 일부가 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원래 배열과 더 이상 일치하지 않도록 이동되었기 때문이다.[67] 그러나 카릴레는 로파디온과의 동일시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68]
Orium Patron et Methonis, cum omnibus suis, scilicet pertinentiis de Brana. Pertinentia de Cantacuzino, et cum villis Kyreherinis, filie Imperatoris Kyrialexii, cum villis de Molineti, de Pantocratora, et de ceteris monasteriorum, sive quibusdam villis, que sunt in ipsis, scilicet de micra et megali episkepsi, i.e. parva et magna pertinentia.[69] 파트라의 호리온[f]메토니와 그 종속지, 즉 브라나스가칸타쿠지노스가의 소유지, 알렉시오스 3세 황제의 딸 키라 이레네의 소유지, "몰리네티", "판토크라토르" 및 기타 수도원들의 소유지 베네치아 펠로폰네소스반도 파트라와 메토니의 호리온은 아마도 펠로폰네소스 서부 전체를 차지했을 것이다.[72] "몰리네티"라는 이름은 분명히 풍차와 관련이 있다. 두 개의 중세 위치가 이에 해당하며, 둘 다 현대 필리아에 있다.[73] "판토크라토르"의 위치나 정체는 알려져 있지 않다.[74]
Nicopolla, cum pertinentia de Arta, de Achello, de Anatolico, de Lesianis, et de ceteris archondorum et monasteriorum.[75] 니코폴리스아르타 (그리스)아켈로스, 아나톨리코, 레시아나의 에피스켑세이스, "그리고 다른 아르콘과 수도원들의"[76] 베네치아 이피로스 지역 "다른 아르콘들"은 아마도 1198년 크리소불에 언급된 황실 가문의 일원들, 즉 "가장 행복한" 세바스토크라토르카이사르 (칭호), 황제의 딸들과 아우구스타 (칭호)(알렉시오스 3세의 아내 에우프로시네 두카이나 카마테라)를 지칭할 것이다.[76]
Provintia Dirachii et Arbani, cum chartolaratis de Glavinitza, de Bagenetia.[77] 뒤라키움 지방[78]아르바논,[79] 글라비니차[g]바게네티아[80]의 차르툴라라타[81] 베네치아 알바니아 뒤라키움은 1205년 베네치아에 점령되어 단명한 "두라초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Provintia de Gianina. Provintia Drinopoli.[82] 이오안니나 지방과 드리노폴리스 지방 베네치아 이피로스 지역
Provintia Achridi.[83] 오흐리드 지방 베네치아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Leukas et Coripho.[83] 레프카다케르키라섬 베네치아 이오니아 제도
A Porta aurea et Blachernali et occidentali Steno usque ad Midiam et Agathopoli. Similiter et ab ipsa civitate Vizoi usque ad Zurlo et Theodoropoli[84] 황금문블라헤르네, 그리고 보스포루스 해협 서쪽 해안에서 미데아 (트라키아)흑해 연안의 아가토폴리스까지. 마찬가지로 비지에 도시에서 추룰론마르마라해의 테오도로폴리스까지 황제 동트라키아 초기에 언급된 지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둘레를 정의하는데, 육상 성벽 남서부의 주요 의례 문에서 금각만 해안의 블라헤르네 북서부 지역, 그리고 보스포루스 해협의 "협곡"(스테논)까지이다.[85]
Provintia Optimati.[86] 옵티마토이 지방 황제 북부 소아시아 옵티마토이 테마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가장 가까운 소아시아 지역을 포함했으며, 니코메디아가 수도였다. 1204년에 니코메디아와는 별도로 언급된 것은 라틴어 작가들의 혼동의 결과일 수 있지만, 분할의 나머지 부분과 1198년 크리소불은 12세기 어느 시점에 지방이 더 작은 지역으로 분할되었음을 나타낸다. 1198년에는 "니코메디아 지방"과 함께 별도의 "메소티니아 지방"이 언급되지만, 1204년에는 없다.[87][88]
Provintia Nicomidie.[86] 니코메디아 지방 황제 북부 소아시아
Provintia Tharsie, Plusiade, et Metavolis cum Servochoriis, et cum omnibus, que sub ipsis.[89] 타르시아 (비티니아), 플로우시아스, 그리고 메타볼레 지방, 세르보코리아와 그 모든 종속지 황제 북부 소아시아 상가리오스강 동쪽 제방의 타르시아와 아마도 사판자 호수 남쪽의 메타볼레는 역사적으로 옵티마토이 테마에 속했으며, 플로우시아스는 부첼라리안 테마에 속했다. "세르보코리아"(Σερβοχώρια)는 요안니스 2세 황제가 1129/30년에 세르브인을 정착시킨 지역이다.[90]
Provintia Paflagonie et Vucellarii.[91] 파플라고니아 지방과 부첼라리아 황제 북부 소아시아 부첼라리안 테마 768c.년에 설립되었으며, 파플라고니아는 9세기 초에 별개의 테마로 분리되었다. 부첼라리아와 파플라고니아의 테마가 방어 목적으로 행정적으로 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비잔티움 역사에서 반복되는 관행이다.[92]
Provintia Oenoei et Sinopii et Pabrei.[91] 오이노에시노프, 파브라이 황제 북부 소아시아 이전에는 아르메니아콘 테마의 일부였던 이 세 중요한 해안 도시는 12세기 튀르크의 침략과 함께 자주 언급된다.[93]
Mitilini.[91] 레스보스섬 황제 에게해 제도
Limni cum Skiro, et que sunt infra Avidum insule, scilicet Priconiso et cetera, cum Strovilo.[94] 림노스섬스키로스섬, 그리고 아비도스 (헬레스폰투스) 이쪽의 섬들 (즉, 마르마라해), 즉 프로콘네소스 및 기타 섬들, 그리고 스트로빌로스 황제 에게해 제도마르마라해
Samos et Tinos cum Samandrakio.[95] 사모스섬티노스섬사모트라키섬 황제 에게해 제도
Provintia de Pilon, de Pithion, de Keramon.[96] 필레, 피티아, 케라마 지방 황제 소아시아 1198년 크리소불에는 옵티마토이 테마의 일부였던 필레와 피티아의 에피스켑시스가 언급된다. 케라마의 정체와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미시아 지역의 지명으로 기록된 게르미아의 오타가 아니라면.[87][97]
Provintia Malagini.[96] 말라기나 지방 황제 북부 소아시아 말라기나는 소아시아의 제국 원정대의 첫 군대 집결지이자 진지(아플렉톤)였으며, 주요 제국 마구간의 위치였다. 그 중요성과 튀르크의 침략에 대한 노출로 인해 콤니노스 황제 치하에서 별도의 행정 단위로 승격되었다.[98]
Provintia Achirai.[96] 아키라우스 지방 황제 서부 소아시아 이 지방은 1198년 크리소불과 분할 조약에서만 언급되며, 아마도 트라케시아 테마의 북부를 포함했을 것이다.[99]
Provintia Adramitii, de Chilariis et de Pergamis. [100] 아드라미티움, 클리아라, 페르가몬 지방 황제 서부 소아시아 니키타스 호니아테스에 따르면, 네오카스트라 테마는 원래 마누일 1세 콤니노스가 재요새화한 후 아드라미티움, 클리아라, 페르가몬 도시를 포함했다. 그러나 이 도시들은 1198년 크리소불과 분할 조약 모두에서 지방과는 별도로 언급된다.[101] 헬렌 아르바일러는 네오카스트라가 원래 세 도시를 포함했지만, 1198년에는 아드라미티온이 별도의 지역을 형성했을 수 있으며, 분할 조약에서 도시와 지방 사이에 증명된 분리는 필사자의 오류 결과라고 해석했다.[102]
Provintia Neocastron.[103] 네오카스트라 지방 황제 서부 소아시아
Provintia Milasi et Melanudi.[103] 밀라사 앤 멜라누디온 지방 황제 서부 소아시아
Provintia Laodikie et Meandri, cum pertinentia Sampson et Samakii, cum Contostephanatis, cum Camizatis et ceteris atque Chio.[103] 라오디케아마이안드로스 지방, 삼손과 사마키온 지역, 콘토스테파노스 가문카미체스 가문의 소유지 및 기타 장소, 그리고 히오스섬 황제 서부 소아시아에게해 제도 카릴레[104]를 포함한 일부 학자들은 "사마키"를 "타 말라키"로 수정하여 미칼레 근처의 비잔티움 마을 말라키우(아마도 현대의 아트부르가지)로 동일시하지만, 피터 토네만(Peter Thonemann)이 지적했듯이, 사마키온이라는 지명은 성 갈레시온의 라자로스의 생애에 언급된다.[105]
Provintia micra et megali Brissi.[106] 소브리시스와 대브리시스 지방 십자군 동트라키아
Pertinentia Gehenna.[106] 게헨나의 에피스켑시스[107] 십자군 동트라키아
Civitas Panfili, cum omnibus, que sub ipsa.[106] 팜필로스 도시[108][109]와 그 모든 종속지 십자군 동트라키아
Pertinentia Culi.[106] 쿨레 (트라키아)의 에피스켑시스[110] 십자군 동트라키아 쿨레(Κούλη) 정착지는 안나 콤니니에 의해 팜필로스 동쪽에 위치한다고 언급된다.[111]
Civitas Apri, cum omnibus, que sub ipsa.[112] 아프로스 도시[113][114]와 그 모든 종속지 십자군 동트라키아
Didimochium, cum omnibus, que sub ipsa.[112] 디디모테이콘 도시[115][32]와 그 모든 종속지 십자군 동트라키아
Pertinentia de Kipsali/Cypsellam.[112] 킵셀라 (트라키아)의 에피스켑시스[116][117] 십자군 동트라키아
Pertinentia de Garelli.[112] 가렐라의 에피스켑시스[118][119] 십자군 동트라키아
Pertinentia de Lebuecho/Lebucto.[112] 케두크토스의 에피스켑시스[120] 십자군 동트라키아 타펠과 토마스는 "Ceducto"로 수정하여 케두크토스 평야를 의미한다고 제안했다.[121]
Pertinentia de Bira.[112] 베라의 에피스켑시스[122] 십자군 동트라키아 베라는 주로 세바스토크라토르 이삭 콤니노스가 설립한 코스모소테이라 테오토코스 수도원으로 유명했다. 1150년대에도 여전히 사람이나 주거지가 없다고 묘사되었다.[123]
Pertinentia Macri et Traianopoli, cum casali de Brachon.[124] 마크리트라야노폴리스 (트라키아)의 에피스켑시스[125], 브라콘 정착지 포함 십자군 동트라키아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마케도니아 테마에 속했으며, 마크리는 서쪽의 볼레론 테마와의 경계에 위치했다.[126] 브라콘은 다른 곳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블라콘"의 오독이라면, 아이노스 근처의 "블라콘의 구세주 수도원"을 지칭할 수 있다.[127][128]
Pertinentia Scifis et Pagadi, cum omnibus, que sub ipsa.[124] "스키피스"와 "파가디"의 에피스켑시스와 그 종속지 십자군 동트라키아 스키피스와 파가디(아마도 πηγάδι, "우물"에서 유래)의 식별은 논란이 있다. 타펠과 다른 학자들은 스키피스를 침페와 동일시하여 파가디를 침페와 마디토스 사이에 위치시켰고,[129] 다른 학자들은 마리차강 하류 동쪽 제방의 아이노스 근처에 두 위치 모두를 제안한다.[130] 자키티노스는 스키피스를 코스모소테이라 테오토코스 수도원티피콘에 기록된 "소포스의 마을"과 동일시할 것을 제안했다.[131]
Pertinentia Maditi, cum omnibus, que sub ipsa.[132] 마디토스 (트라키아)의 에피스켑시스[133]와 그 종속지 십자군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Icalotichas, cum omnibus, que sub ipsa, i.e. Anafartus, Tinsaccos, Iplagia, Potamia et Aacros/Aatios, cum omnibus, que sub ipsa.[132] 코일라 테이코스와 그 종속지: 아나파르토스,[134] 틴삭코스, 플라기아,[135] 포타미아, 그리고 아아티오스 또는 아아크로스 십자군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코일라 테이코스는 아고라 (트라키아)의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기슭에 있는 장성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과 동일시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자키티노스는 아나스타시우스 성벽과 동일시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는 지리적 위치와 맞지 않는다.[136] 틴삭코스,[137] 포타미아,[138] 그리고 아아크로스/아아티오스[139]의 정확한 정체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른 위치들과 마찬가지로 케르소네소스에 있었다.
Pertinentia de Phitoto/Plit[h]oto.[140] "플리토토"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동트라키아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아마도 현대 케샨 근처의 폴리보톤과 동일할 것이다.[141]
Pertinentia de Galanatom.[140] 갈라타리아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아마도 칼리폴리스 근처의 주교구이자 도시였을 것이다.[142]
Molinoto/Moliboton.[140] 몰리노토/몰리보톤 마을 십자군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아마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에 있었을 것이다. 이전 제안들은 폴리보톤 또는 황금문 근처의 작은 성 니콜라스 수도원과 동일시했지만, 문맥에 맞지 않는다.[143]
Pertinentia de Jalocastelli/Hyalo Castelli.[140] 히엘로카스텔리온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 이름 Ὑελοκαστέλλιον은 "유리성"을 의미한다.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183년 안드로니코스 라파르다스의 반란 당시 해안 지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마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에 있었을 것이다.[144]
Pertinentia Sirolefki/Sitoleuchi.[140] "시롤레프키"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동트라키아 타펠과 토마스는 셀림브리아 근처의 실타와 동일시할 것을 제안했지만,[145] 이는 지리적 문맥과 맞지 않으며, 아이노스 (트라키아)와의 근접성을 시사한다.[146]
Catepanikium de Eno, cum apothikis.[140] 아이노스 (트라키아)카테파니키온,[147] 창고 포함 십자군 동트라키아 창고는 재무부에 의해 관리되는 공공 창고(고대 로마의 호레움과 유사)를 의미했다.[148]
Catepanikium de Russa, cum omnibus, que sub ipsa.[140] 루시온의 카테파니키온,[149][150] 그 종속지 포함 십자군 동트라키아
Pertinentia de Ag[r]iovivario.[140] 하기오스 비바리오스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동트라키아 이름은 아마도 '농업 비바리온'(agrion bibarion, "야생 물고기 호수")에서 유래했을 것이며, 현대 갈라호 국립공원에 있거나 근처에 있음을 나타낸다.[150][151]
Provintia Vardarii.[152] 바르다르강 지방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이 지방은 다른 곳에서는 기록되지 않았다. 자키티노스에 따르면, 이는 이전 세기에 이 지역에 정착한 튀르크인들, 주로 마자르족으로 구성된 바르다리오테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53]
Provintia Verye, cum cartularatis tam Dobrochubisti, quam et Sthlanitza.[152] 베로이아 지방과 도브로후비스타스틀라니차의 차르툴라라타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타펠과 토마스는 도브로후비스타를 드로고비티아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고,[154] 일부 다른 학자들도 따랐지만, 이 지역은 1198년 크리소불을 포함하여 다른 곳에서도 잘 기록되어 있다.[155] 스틀라니차도 안나 콤니니오흐리드의 테오필락트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156]
Pertinentia Girocomion.[152] 노인 요양원의 유지보수를 위해 할당된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Pertinentia Platamonos.[157] 플라타몬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테살리아
Pertinentia Moliscu et Moglenon.[157] 몰리스코스모글레나의 에피스켑시스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Pertinentia Prilapi et Pelagonie cum Stano.[157] 프릴라포스펠라고니아 지방 및 스타노스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지명으로서의 스타노스는 잘 기록되어 있으며 펠라고니아, 프릴라포스, 소스코스, 몰리스코스와 함께 자주 언급된다.[158][156]
Presepe et Dodecanisos.[157] 프레스페스 지방과 키클라데스 제도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에게해 제도 "도데카네소스"("열두 섬")라는 용어는 비잔티움 자료에서 8세기에 처음 등장하며 남부 에게해를 포함하는 해군 지휘부를 의미했다. 이 용어는 중세 내내 키클라데스 제도에 사용되었고, 19세기/20세기에 들어서야 현대 도데카니사 제도로 옮겨졌다.[159] 본문에서의 위치는 특이하며, 대륙 그리스 지역 사이에 있다. 아마도 필사자의 오류이거나, 장 롱뇽에 따르면, 원래 십자군이 주장했던 오스트로보스와 베네치아가 주장했던 키클라데스 제도 (안드로스와 티노스 제외)가 교환된 결과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약 본문에서 두 항목의 예기치 않은 위치가 설명된다.[160]
Orion Larisse.[157] 라리사의 호리온 십자군 테살리아
Provintia Blachie cum personalibus et monasterialibus in eis existentibus.[161] 블라키아 지방과 그 안에 있는 사유 재산 및 수도원 재산[162] 십자군 테살리아
Provintia Servion.[163] 세르비아 (그리스) 지방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Provintia Castorie et provintia Deavoleos.[163] 카스토리아 지방과 데아볼리스 지방 십자군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Pertinentia Imperatricis, scilicet Vesna, Fersala, Domocos, Revenica, duo Almiri, cum Demetriadi.[163] 황후의 에피스켑시스, 즉 베사이아,[164] 파르살라,[165] 도모코스,[166] 그레베니카 또는 레베니카, 두 개의 할미로이, 데메트리아스 포함[167] 십자군 테살리아 황후는 아마도 알렉시오스 3세의 아내인 에우프로시네 두카이나 카마테라일 것이다.[168] 그레베니카 또는 레베니카는 아마도 북부 테살리아키노스케팔라이 언덕에서 발원하는 레베니코스강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는 위치일 것이다.[169])
Pertinentia Neopatron.[170] 네오파트라스의 에피스켑시스[171] 십자군 테살리아 이전에는 행정 단위로 언급되지 않았다.[172]
Provintia Velechative/Velicati.[173] 벨레차티바 지방 십자군 테살리아 1198년 크리소불에 언급되었으며, 데메트리아스프티오티스 테베스 근처에 벨레게지테스족의 정착지와 잠정적으로 동일시된다. 자키티노스는 1289년 할미로스 근처에 기록된 "레바차타"라는 지명과의 추가적인 동일시를 제안한다.[174][175] 그리스 학자 알크미니 스타브리두-자프라카는 이 동일시를 거부하고 아이톨리아블라크족 거주 지역인 '작은 블라키아'와 동일시할 것을 제안한다.[176][177]
Pertinentia Petritoniclis/Petrion Vietts/videlicet. Dipotamon. Cala[n]con/Talantum.[173] 페트라이의 에피스켑시스, 즉 디포타몬과 아탈란티? 십자군 테살리아 타펠과 토마스는 시작 부분을 "페트리온. 켈리아에."로 수정하여, 전자는 네아 페트라 수도원과 동일시하고 후자는 안나 콤니니가 언급한 오사산 (그리스) 지역과 동일시했다.[178] 자키티노스는 암브로시아누스 I 필사본의 비델리케트("즉")를 선호하여 이 독해를 거부했다.[179][180] 페트라이(복수형)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179] "디포타몬"(Διπόταμον, "두 강")은 북부 테살리아의 피네이오스강과 라베니코스강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알렉시오스 1세 시대부터 알려진 리보타니온의 클레이수라(협곡)와 동일시될 수 있다.[181][182] 타펠과 토마스는 칼라콘을 네오파트라스 대교구부주교구인 갈라자(Galaza)의 소유격으로 식별하며,[183] 자키티노스는 칼라모스(Kalamos) 또는 코덱스 상티 마르키의 변형인 "탈란툼"에서 아탈란티를 제안한다.[179][184]
Pazi/Pazima et Radovisidon, et orium Athenarum, cum pertinentia Megarum.[173] 파지/파지마와 라도비스디온,[185] 아테네의 호리온, 메가라의 에피스켑시스 포함[186] 십자군 테살리아아티키 파지/파지마의 정체와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179] 타펠과 토마스는 테살리아스타고이 마을과 주교구를 제안하며,[187] 카릴레는 라리사 대교구의 부주교구로만 알려진 파초우나(Patzouna) 주교구를 제안한다.[188]

관찰

[편집]

이름의 형태를 기반으로 볼 때, 조약 편집을 위한 원본 자료는 그리스어였으며, 에피스켑시스(episkepsis)와 같은 재정 용어의 사용은 중앙 비잔티움 행정부의 지적 및 세금 등록부를 사용했음을 나타낸다.[14][189]

영토 분할 협정에는 여러 지역이 누락되어 있다. 유럽에서는 마리차강바르다르강 사이의 마케도니아 (지역)서트라키아 지역과 북동부 펠로폰네소스반도, 보이오티아현, 중앙 에비아섬이 빠져 있다. 이들은 몽페라의 보니파초 1세에게 할당된 땅이었으므로 일반 분할에서 분명히 제외되었다. 이 사실은 또한 조약의 테르미누스 포스트 켐을 지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즉 테살로니키 왕국을 설립한 1204년 5월 16일 보니파초와 플랑드르의 보두앵 사이의 합의이다.[190]

자키티노스가 지적했듯이, 분할 협정과 소아시아에 대한 1198년 크리소불에 나타난 영토 분할은 유럽 지방보다 훨씬 더 보수적이며 "전통적인" 테마 구조를 훨씬 더 밀접하게 반영한다.[191] 반면 두 문서는 언급하는 영토 범위에서 상당히 다르다. 1198년 크리소불에는 서부 소아시아의 중앙 및 북부 지역뿐만 아니라 아탈레이아, 킬리키아, 심지어 안티오키아가 있는 남부 해안도 포함되어 있는 반면, 분할 협정에는 파플라고니아에서 파브라이까지의 흑해 연안이 포함되어 있다.[192]

역사적 자료로서의 중요성

[편집]

분할은 현재 유실된 문서와 비잔티움 제국 재무부의 세금 장부, 그리고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의 1198년 크리소불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로마니아 분할 조약은 동로마 제국의 행정 구역 및  1203c.년 당시 다양한 비잔티움 귀족 가문의 영지, 그리고 당시 비잔티움 중앙 정부가 여전히 통제하던 지역에 대한 중요한 문서이다.[193]

내용주

[편집]
  1. 로마니아(그리스어: Ῥωμανία)는 "로마인의 땅"을 의미한다.[1]동로마 제국의 영토 분할을 의미하는 것이다.
  2. 니콜라스 오이코노미데스[8]는 1204년 4월~5월 약탈 직후로 날짜를 제안했지만, 이는 비판을 받고 일반적으로 거부되었다.[9]
  3. 해당하는 비잔티움 행정 용어는 폴리스("도시") 또는 카스트론("요새")이다.[16]
  4. 라틴어 'pertinentia'는 비잔티움 재정 구역인 에피스켑시스와 동등하며, 보통 황실, 수도원 또는 사유지에 해당한다.[16][17]
  5. 카살레라는 용어는 초리온("마을") 또는 프로아스테이온("토지 소유지")과 동일시될 수 있다.[35]
  6. 12세기 말 남부 그리스에서만 나타나는 테마의 하위 구분 유형.[70][71]
  7. 차르툴라라톤은 차르툴라리오스가 관리하는 특별한 유형의 재정 및 행정 구역으로, 슬라브 정착 지역에 해당한다.[70]

각주

[편집]
  1. Kaldellis, Anthony. (2019). 《Romanland: Ethnicity and Empire in Byzantium》. 《Harvard University Press》. 84쪽. 
  2. Tafel & Thomas 1856, 452쪽.
  3. Nicol1988, 141쪽.
  4. Zakythinos 1951, 179–180쪽.
  5. Tafel & Thomas 1856, 444–452쪽.
  6. Zakythinos 1951, 180쪽.
  7. Zakythinos 1951, 181쪽.
  8. Oikonomidès 1992.
  9. Jacoby 2006, 40 (esp. note 101)쪽.
  10. Brand 1991, 1591–1592쪽.
  11. Nicol 1988, 149쪽.
  12. Jacoby 2006, 19–20쪽.
  13. Jacoby 2006, 38–39쪽.
  14. Zakythinos 1951, 182쪽.
  15. Tafel & Thomas 1856, 452–501쪽.
  16. Maksimović 1988, 35쪽.
  17. Zakythinos 1941, 241–243쪽.
  18. Tafel & Thomas 1856, 464쪽.
  19. Külzer 2008, 264–267쪽.
  20. Külzer 2008, 530–532쪽.
  21. Soustal 1991, 223–224쪽.
  22. Zakythinos 1948, 54쪽.
  23. Tafel & Thomas 1856, 464, 465 (note 5)쪽.
  24. Soustal 1991, 418쪽.
  25. Carile 1965, 218, 248쪽.
  26. Tafel & Thomas 1856, 465쪽.
  27. Külzer 2008, 408쪽.
  28. Külzer 2008, 307쪽.
  29. Külzer 2008, 609쪽.
  30. Tafel & Thomas 1856, 465–466쪽.
  31. Soustal 1991, 164쪽.
  32. Zakythinos 1952, 164쪽.
  33. Tafel & Thomas 1856, 466쪽.
  34. Külzer 2008, 370–373쪽.
  35. Maksimović 1988, 35, 37–38쪽.
  36. Tafel & Thomas 1856, 466, 467 (notes 4–6)쪽.
  37. Külzer 2008, 450쪽.
  38. Külzer 2008, 540쪽.
  39. Külzer 2008, 316쪽.
  40. Zakythinos 1952, 169쪽.
  41. Külzer 2008, 314–315, 316쪽.
  42. Tafel & Thomas 1856, 467쪽.
  43. Külzer 2008, 578–579쪽.
  44. Külzer 2008, 298–299, 379쪽.
  45. Külzer 2008, 401–411쪽.
  46. Külzer 2008, 613쪽.
  47. Külzer 2008, 623쪽.
  48. Zakythinos 1952, 163–164쪽.
  49. Tafel & Thomas 1856, 467–468쪽.
  50. Külzer 2008, 426쪽.
  51. Tafel & Thomas 1856, 468쪽.
  52. Külzer 2008, 489, 490쪽.
  53. Külzer 2008, 539쪽.
  54. Külzer 2008, 650쪽.
  55. Zakythinos 1951, 186–188쪽.
  56. Tafel & Thomas 1856, 468 (note 10)쪽.
  57. Zakythinos 1951, 206 (note 1)쪽.
  58. Tafel & Thomas 1856, 469쪽.
  59. Zakythinos 1951, 190–191쪽.
  60. Zakythinos 1951, 189–190쪽.
  61. Nicol 1988, 156쪽.
  62. Zakythinos 1951, 188쪽.
  63. Kiesewetter, Andreas (2006). 〈Preludio alla Quarta Crociata? Megareites di Brindisi, Maio di Cefalonia e la signoria sulle isole ionie (1185-1250)〉 (이탈리아어). Gherardo Ortalli; Giorgio Ravegnani; Pater Schreiner (편집). 《Quarta Crociata. Venezia - Bisanzio - Impero latino. Atti delle giornate di studio. Venezia, 4-8 maggio 2004》. Venice: Istituto veneto di scienze, lettere ed arti. 343쪽. ISBN 978-8888143743. 
  64. Tafel & Thomas 1856, 469–470 (notes 8–10)쪽.
  65. Zakythinos 1951, 196–197쪽.
  66. Tafel & Thomas 1856, 470 (note 11)쪽.
  67. Zakythinos 1951, 197쪽.
  68. Carile 1965, 258–259쪽.
  69. Tafel & Thomas 1856, 469–470쪽.
  70. Koder & Hild 1976, 67쪽.
  71. Zakythinos 1941, 248쪽.
  72. Zakythinos 1941, 248–249쪽.
  73. Zakythinos 1951, 185–186쪽.
  74. Zakythinos 1951, 186쪽.
  75. Tafel & Thomas 1856, 470–472쪽.
  76. Zakythinos 1951, 194쪽.
  77. Tafel & Thomas 1856, 472쪽.
  78. Zakythinos 1951, 198–199쪽.
  79. Zakythinos 1951, 199–200쪽.
  80. Zakythinos 1951, 201–205쪽.
  81. Zakythinos 1951, 200–201쪽.
  82. Tafel & Thomas 1856, 472–473쪽.
  83. Tafel & Thomas 1856, 473쪽.
  84. Tafel & Thomas 1856, 473–474쪽.
  85. Carile 1965, 231쪽.
  86. Tafel & Thomas 1856, 475쪽.
  87. Zakythinos 1949, 3–4쪽.
  88. Zakythinos 1955, 130–132쪽.
  89. Tafel & Thomas 1856, 475–476쪽.
  90. Zakythinos 1955, 132–134쪽.
  91. Tafel & Thomas 1856, 476쪽.
  92. Zakythinos 1955, 134–137쪽.
  93. Zakythinos 1955, 137–139쪽.
  94. Tafel & Thomas 1856, 476–477쪽.
  95. Tafel & Thomas 1856, 477–478쪽.
  96. Tafel & Thomas 1856, 478쪽.
  97. Zakythinos 1955, 139–140쪽.
  98. Zakythinos 1955, 140–141쪽.
  99. Zakythinos 1949, 6–8쪽.
  100. Tafel & Thomas 1856, 478–479쪽.
  101. Kazhdan, Alexander (1991). 〈Neokastra〉. 카즈단, 알렉산더 (편집). 《옥스퍼드 비잔티움 사전》. 옥스퍼드 및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428쪽. ISBN 0-19-504652-8. 
  102. Ahrweiler, Hélène (1965). 〈L'Histoire et la Géographie de la région de Smyrne entre les deux occupations turques (1081–1317)〉 (프랑스어). 《Travaux et mémoires 1》. Paris: Centre de recherche d'histoire et civilisation de Byzance. 134–135쪽. 
  103. Tafel & Thomas 1856, 479쪽.
  104. Carile 1965, 218쪽.
  105. Thonemann 2011, 275 note 95쪽.
  106. Tafel & Thomas 1856, 480쪽.
  107. Soustal 1991, 265쪽.
  108. Soustal 1991, 560쪽.
  109. Zakythinos 1952, 168쪽.
  110. Soustal 1991, 328쪽.
  111. Zakythinos 1952, 168–169쪽.
  112. Tafel & Thomas 1856, 481쪽.
  113. Soustal 1991, 257쪽.
  114. Zakythinos 1952, 167–168쪽.
  115. Soustal 1991, 241쪽.
  116. Soustal 1991, 330–331쪽.
  117. Zakythinos 1952, 166쪽.
  118. Külzer 2008, 577쪽.
  119. Zakythinos 1952, 167쪽.
  120. Külzer 2008, 446쪽.
  121. Tafel & Thomas 1856, 482 (note 5)쪽.
  122. Soustal 1991, 200–201쪽.
  123. Zakythinos 1952, 162–163쪽.
  124. Tafel & Thomas 1856, 482쪽.
  125. Soustal 1991, 483쪽.
  126. Zakythinos 1952, 161–162쪽.
  127. Zakythinos 1952, 162쪽.
  128. Soustal 1991, 217쪽.
  129. Külzer 2008, 555쪽.
  130. Soustal 1991, 384, 437쪽.
  131. Zakythinos 1952, 163쪽.
  132. Tafel & Thomas 1856, 483쪽.
  133. Külzer 2008, 501쪽.
  134. Külzer 2008, 247–248쪽.
  135. Külzer 2008, 595–596쪽.
  136. Külzer 2008, 459–460쪽.
  137. Külzer 2008, 677쪽.
  138. Külzer 2008, 600쪽.
  139. Külzer 2008, 235쪽.
  140. Tafel & Thomas 1856, 484쪽.
  141. Külzer 2008, 598, 599쪽.
  142. Külzer 2008, 369쪽.
  143. Külzer 2008, 536–537쪽.
  144. Külzer 2008, 414쪽.
  145. Tafel & Thomas 1856, 484 (note 5)쪽.
  146. Külzer 2008, 652쪽.
  147. Soustal 1991, 170쪽.
  148. Zakythinos 1952, 164–166쪽.
  149. Külzer 2008, 621쪽.
  150. Zakythinos 1952, 166–167쪽.
  151. Külzer 2008, 287쪽.
  152. Tafel & Thomas 1856, 485쪽.
  153. Zakythinos 1951, 206–208쪽.
  154. Tafel & Thomas 1856, 485–486 (note 5)쪽.
  155. Zakythinos 1951, 208–209쪽.
  156. Zakythinos 1951, 209쪽.
  157. Tafel & Thomas 1856, 486쪽.
  158. Tafel & Thomas 1856, 486 (note 3)쪽.
  159. Zakythinos 1941, 254–256쪽.
  160. Zakythinos 1951, 189쪽.
  161. Tafel & Thomas 1856, 486–487쪽.
  162. Zakythinos 1951, 191쪽.
  163. Tafel & Thomas 1856, 487쪽.
  164. Koder & Hild 1976, 134쪽.
  165. Koder & Hild 1976, 238–239쪽.
  166. Koder & Hild 1976, 148쪽.
  167. Koder & Hild 1976, 145쪽.
  168. Koder & Hild 1976, 67 (note 194)쪽.
  169. Koder & Hild 1976, 251쪽.
  170. Tafel & Thomas 1856, 487–488쪽.
  171. Koder & Hild 1976, 223쪽.
  172. Zakythinos 1951, 192쪽.
  173. Tafel & Thomas 1856, 488쪽.
  174. Zakythinos 1941, 273–274쪽.
  175. Koder & Hild 1976, 133쪽.
  176. Stavridou-Zafraka, Alkmini (1995). 《Provintia Velechative》. 《Ελληνικά》 45. 134–140쪽. 
  177. Stavridou-Zafraka, Alkmini (2000). 《Μεγάλη και Μικρή Βλαχία》. 《Τρικαλινά》 20. 171–179쪽. 
  178. Tafel & Thomas 1856, 488 (notes 3 & 4)쪽.
  179. Zakythinos 1951, 193쪽.
  180. Carile 1965, 286쪽.
  181. Tafel & Thomas 1856, 488 (note5)쪽.
  182. Koder & Hild 1976, 285쪽.
  183. Tafel & Thomas 1856, 489 (note 6)쪽.
  184. Koder & Hild 1976, 126쪽.
  185. Koder & Hild 1976, 249–250쪽.
  186. Koder & Hild 1976, 215쪽.
  187. Tafel & Thomas 1856, 489 (note 7)쪽.
  188. Koder & Hild 1976, 232쪽.
  189. Zakythinos 1952, 161쪽.
  190. Zakythinos 1951, 180–182쪽.
  191. Zakythinos 1955, 127쪽.
  192. Zakythinos 1955, 127–129쪽.
  193. Zakythinos 1951, 179쪽.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