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바운드 효과
리바운드 효과(rebound effect) 또는 리바운드 현상(rebound phenomenon), 반동 효과, 반동 현상은 약물 복용 중에는 없거나 억제되었던 증상이 약물 중단 또는 복용량 감소 시 다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증상이 다시 나타나는 경우, 치료 전보다 더 심한 경우가 많다.
정의
[편집]리바운드 효과 또는 약리학적 리바운드 현상은 약물 복용 중에는 없거나 억제되었던 증상이 해당 약물 중단 또는 용량 감소 시 나타나거나 재발하는 것이다. 재발하는 경우, 증상의 심각성은 종종 치료 전 수준보다 더 심하다.
예시
[편집]진정 수면제
[편집]리바운드 불면증은 원발성 불면증을 완화하기 위해 복용했던 진정제 물질을 중단한 후 발생하는 불면증이다. 이러한 물질을 규칙적으로 사용하면 잠들기 위해 그 효과에 신체의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복용을 중단하고 그 효과에서 '리바운드'될 때, 금단 증상의 증상으로 불면증을 경험할 수 있다. 때때로 이 불면증은 약물이 치료하려 했던 불면증보다 더 심할 수 있다.[1] 이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약물로는 에스조피클론, 졸피뎀, 그리고 잠들기 어렵거나 잠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처방되는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항불안제가 있다.
리바운드 우울증은 이전에 그러한 질병이 없었던 환자들에게 나타날 수 있다.[2]
불안, 금속 맛, 지각 장애와 같은 전형적인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의 낮 시간 리바운드 효과는 단기 작용 벤조디아제핀 수면제의 효과가 사라진 다음 날 발생할 수 있다. 리바운드 현상은 반드시 처방된 용량을 중단할 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는 빠르게 배설되는 수면제의 효과가 사라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이른 아침 리바운드 불면증으로, 이는 사람이 충분한 밤잠을 자기 전에 완전히 깨어나게 한다. 이러한 문제와 흔히 관련되는 약물 중 하나는 트리아졸람인데, 이는 높은 효능과 초단 반감기 때문이지만, 이러한 효과는 다른 단기 작용 수면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4][5] 콰제팜은 1형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과 긴 반감기 때문에 치료 중 낮 시간 불안 리바운드 효과를 일으키지 않으며, 이는 야간 수면제가 다음 날 리바운드 금단 효과를 일으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반감기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6] 낮 시간 리바운드 효과는 반드시 경미한 것은 아니며 때로는 상당히 뚜렷한 정신과적 및 심리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7]
각성제
[편집]메틸페니데이트 또는 덱스트로암페타민과 같은 각성제의 리바운드 효과에는 각성제 정신병, 우울증 및 일시적으로 과장된 형태의 ADHD 증상 재발이 포함된다.[8][9][10] ADHD 아동의 3분의 1에 달하는 수가 메틸페니데이트를 중단할 때 리바운드 효과를 경험한다.[11]
항우울제
[편집]SSRI를 포함한 많은 항우울제는 중단 시 리바운드 우울증, 공황 발작, 불안,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12]
항정신병제
[편집]항정신병제가 너무 급하게 교체되거나 중단될 경우 갑작스럽고 심각한 정신병의 출현[13] 또는 재발[14]이 나타날 수 있다.
알파-2 아드레날린 효능제
[편집]클로니딘[15]과 구안파신[16] 중단 후 치료 전 수준을 초과하는 리바운드 고혈압이 관찰되었다.
국소 비강 충혈 제거제(비강 스프레이)의 지속적인 사용은 약물성 비염으로 알려진 지속적인 코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인간화 항체
[편집]데노수맙은 파골세포 재활용을 억제하여 전골세포와 골유세포의 축적을 유발한다. 데노수맙 치료를 중단하면 유도된 세포들이 상당히 빠르고 풍부하게 파골세포로 분화하여 골흡수(리바운드 효과)를 유발하고 골절 위험을 증가시킨다. 데노수맙 중단 후 골밀도 개선 및 골절 예방을 위해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가 권장된다.[17]
기타 약물
[편집]또 다른 약리학적 리바운드의 예는 진통제 용량을 낮추거나, 약효가 사라지거나, 약물을 갑자기 중단할 때 발생하는 리바운드 두통이다.[18]
2022년, 팍스로비드로 치료받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에게서 바이러스 RNA 및 증상 리바운드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5월에는 CDC가 "팍스로비드 리바운드"에 대해 의사들에게 알리는 건강 경보를 발령했으며, 이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리바운드를 경험했을 때 주목받았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약 3분의 1이 치료 여부와 관계없이 증상 리바운드를 경험하기 때문에 리바운드의 원인은 불분명하다.[19]
건선 치료를 위한 클로베타솔과 같은 매우 강력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갑작스러운 중단은 훨씬 더 심각한 건선 사례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약물 적용량이 매우 적어질 때까지 점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Reber, Arthur S.; Reber, Emily S. (2001). 《Dictionary of Psychology》. Penguin Reference. ISBN 0-14-051451-1.
- ↑ Lader, Malcolm (January 1994). 《Anxiety or depression during withdrawal of hypnotic treatm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8. 113–123쪽. doi:10.1016/0022-3999(94)90142-2. PMID 7799243.
- ↑ Kales A, Soldatos CR, Bixler EO, Kales JD (April 1983). 《Early morning insomnia with rapidly eliminated benzodiazepines》. 《Science》 220. 95–7쪽. Bibcode:1983Sci...220...95K. doi:10.1126/science.6131538. PMID 6131538.
- ↑ Lee A, Lader M (January 1988). 《Tolerance and rebound during and after short-term administration of quazepam, triazolam and placebo to healthy human volunteers》. 《Int Clin Psychopharmacol》 3. 31–47쪽. doi:10.1097/00004850-198801000-00002. PMID 2895786.
- ↑ Kales A (1990). 《Quazepam: hypnotic efficacy and side effects》. 《Pharmacotherapy》 10. 1–10; discussion 10–2쪽. doi:10.1002/j.1875-9114.1990.tb02545.x. PMID 1969151. S2CID 33505418.
- ↑ Hilbert JM, Battista D (September 1991). 《Quazepam and flurazepam: differential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characteristics》. 《J Clin Psychiatry》. 52 Suppl. 21–6쪽. PMID 1680120.
- ↑ Adam K; Oswald I (May 1989). 《Can a rapidly-eliminated hypnotic cause daytime anxiety?》. 《Pharmacopsychiatry》 22. 115–9쪽. doi:10.1055/s-2007-1014592. PMID 2748714. S2CID 32045254.
- ↑ Garland EJ (1998). 《Pharmacotherapy of adolescen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allenges, choices and caveats》. 《J. Psychopharmacol. (Oxford)》 12. 385–95쪽. doi:10.1177/026988119801200410. PMID 10065914. S2CID 38304694.
- ↑ Rosenfeld AA (February 1979). 《Depression and psychotic regression following prolonged methylphenidate use and withdrawal: case report》. 《Am J Psychiatry》 136. 226–8쪽. doi:10.1176/ajp.136.2.226. PMID 760559.
- ↑ Smucker WD, Hedayat M (September 2001).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DHD》. 《Am Fam Physician》 64. 817–29쪽. PMID 11563573. 2008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Riccio CA, Waldrop JJ, Reynolds CR, Lowe P (2001). 《Effects of stimulants on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implications for CPT use and interpretation》.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3. 326–35쪽. doi:10.1176/appi.neuropsych.13.3.326. PMID 11514638. 2012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hanji NH, Chouinard G, Kolivakis T, Margolese HC (2006). 《Persistent tardive rebound panic disorder, rebound anxiety and insomnia following paroxetine withdrawal: a review of rebound-withdrawal phenomena》 (PDF). 《Can J Clin Pharmacol》 13. e69–74쪽. PMID 16456219. 2006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Fernandez, Hubert H.; Martha E. Trieschmann; Michael S. Okun (2004년 8월 3일). 《Rebound psychosis: Effect of discontinuation of antipsychotics in Parkinson's disease》. 《Movement Disorders》 20. 104–105쪽. doi:10.1002/mds.20260. PMID 15390047. S2CID 11574536.
- ↑ Moncrieff, Joanna (2006년 3월 23일). 《Does antipsychotic withdrawal provoke psychosis?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apid onset psychosis (supersensitivity psychosis) and withdrawal-related relaps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14 (John Wiley & Sons A/S). 3–13쪽. doi:10.1111/j.1600-0447.2006.00787.x. ISSN 1600-0447. PMID 16774655. S2CID 6267180. 2013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3일에 확인함.
- ↑ Metz, Stewart; Catherine Klein; Nancy Morton (January 1987). 《Rebound hypertension after discontinuation of transdermal clonidine therapy》.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82. 17–19쪽. doi:10.1016/0002-9343(87)90371-8. PMID 3026180. 2012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Vitiello B (April 2008). 《Understanding the risk of using medication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respect to physical growth and cardiovascular function》.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17. 459–74, xi쪽. doi:10.1016/j.chc.2007.11.010. PMC 2408826. PMID 18295156.
- ↑ [1] Velts NY, Velts OV, Alyautdin RN. 《Denosumab and the Rebound Effect: Current Aspects of Osteoporosis Therapy (Review).》. 《Safety and Risk of Pharmacotherapy》 12. 190–200쪽. doi:10.30895/2312-7821-2024-12-2-190-200.
- ↑ Maizels M (December 2004). 《The patient with daily headaches》. 《Am Fam Physician》 70. 2299–306쪽. PMID 15617293.
- ↑ Reynolds Lewis (2022년 8월 2일). “Covid rebound can happen even in people who haven't taken Paxlovid” (영어). 2022년 8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