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젠트 다이아몬드

리젠트 다이아몬드(Regent Diamond)는 프랑스 정부가 소유하고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140.64-캐럿 (28.128 g) 다이아몬드로, 2025년 기준 6천만 파운드의 가치를 지닌다. 인도에서 채굴되고 런던에서 세공되었으며, 18세기 초 프랑스 섭정이 구입했다.
역사
[편집]발견
[편집]전설에 따르면, 이 다이아몬드는 인도의 크리슈나강 근처 콜루르 광산에서 노예가 발견했으며, 1687년 무굴 제국의 아우랑제브가 골콘다 포위전을 벌일 때 도주하던 중 입은 다리 상처에 숨겼다고 한다. 노예는 해안에 도착하여 영국인 선장을 만나 다이아몬드 판매 수익의 50%를 인도에서 안전하게 벗어나는 대가로 제안했다. 그러나 선장은 노예를 살해하고 다이아몬드를 저명한 인도 다이아몬드 상인 잠찬드에게 팔았다.[1][2]
피트의 인수
[편집]1701년 11월 6일 런던 대리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토머스 피트, 세인트 조지 요새의 총독은 다음과 같이 썼다.
"... 최근에 본 돌의 모형을 동봉합니다. 무게는 망젤린 303개, 캐럿 426개입니다. 불순물 없이 훌륭한 결정질 물을 지니고 있으며, 한쪽 평평한 부분에만 한두 개의 작은 결함이 있지만, 돌 표면에 있어 자르면 사라질 것입니다. 그들이 요구하는 가격은 터무니없는 20만 파고다이지만, 10만 파고다 미만으로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3]
피트는 같은 해 48,000 파고다[4]에 잠찬드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샀다고 주장하여, 때로는 피트 다이아몬드라고도 알려져 있다.[5][6] 그는 1702년 10월 9일 마드라스를 떠난 동인도 상선 로열 쿡호에 실어 아들 로버트의 신발 뒤축에 숨겨 런던으로 보냈다.[3] 이후 1704년부터 1706년 사이에 런던에서 다이아몬드 세공사 해리스가 세공했다. 세공에는 2년이 걸렸고 약 5,000파운드의 비용이 들었다.[7]
피트가 다이아몬드를 부정한 방법으로 얻었다는 소문이 돌자[8][9], 풍자가 알렉산더 포프는 그의 도덕론에 다음 구절을 썼다.
"벌거벗은 채 잠든 인도인 옆에
정직한 상인이 보석을 훔쳐갔네;
기사에게 담보로 맡겼고, 기사는 재치있게
다이아몬드를 보관하고, 그 도둑은 속임을 당했네."
피트는 다이아몬드를 20,400파운드(1701년 영국 £20,400)[10]에 구입하여 141 캐럿 (28.2 g) 쿠션 브릴리언트 컷으로 세공했다.
프랑스 섭정에게 판매
[편집]루이 14세를 비롯한 유럽 왕실의 여러 구성원에게 판매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실패한 후, 프랑스 섭정, 필리프 2세 도를레앙 공작이 1717년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유명한 회고록 작가인 루이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 공작의 권유로 135,000파운드(1717년 영국 £135,000)[10]에 프랑스 왕실을 위해 구입했다.[11] 이 돌은 1722년 루이 15세 대관식을 위한 왕관에 박혔고, 1775년 루이 16세의 대관식을 위한 새로운 왕관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마리 앙투아네트의 모자를 장식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1791년에는 감정가가 480,000파운드(1791년 영국 £480,000)[10]였다.
1792년 파리 (프랑스) 혁명 열기 속에서 "르 레전" 또는 리젠트 다이아몬드는 다른 프랑스 왕관 보석과 함께 도난당했지만, 나중에 회수되었다. 파리 다락방의 지붕 목재에서 발견되었다. 다이아몬드는 총재정부와 이후 통령정부에 의해 군사 비용을 조달하기 위한 담보로 여러 차례 사용되었다. 1797-1798년에는 베를린 기업가 지그문트 오토 요제프 폰 트레스코우에게, 1798–1801년에는 암스테르담의 네덜란드 은행가 반덴베르크에게 담보로 맡겨졌다. 1801년 이 보석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영구적으로 회수되었다.

나폴레옹은 오디오, 부테트, 마리 에티엔 니토 등의 금세공사가 디자인한 그의 검의 가드에 이 다이아몬드를 사용했다. 1812년에는 황제의 양날 검에 등장했는데, 이것은 니토의 작품이었다. 나폴레옹의 두 번째 아내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루도비카는 나폴레옹이 망명하자 리젠트를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가져갔다. 나중에 그녀의 아버지가 그것을 프랑스 왕관 보석으로 돌려주었다. 이 다이아몬드는 루이 18세, 샤를 10세, 나폴레옹 3세의 왕관에 차례로 장식되었다.
오늘날 외제니 황후를 위해 디자인된 그리스식 티아라에 장착된 채, 루브르 박물관의 프랑스 왕실 보물관에 남아 있다. 1887년부터 그곳에 전시되어 왔다. 21세기 초 전문가들은 리젠트 다이아몬드의 가치를 6천만 파운드가 넘는 것으로 추정했다.[12]
민속
[편집]수많은 스캔들과 이 돌을 소유했던 사람들의 불행 때문에 리젠트 다이아몬드는 저주받았다고 한다.[13][14][15]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 ↑ “Regent Diamond - Largest D Color Diamond in the World”. 2016년 10월 6일.
- ↑ Deccan Heritage, H. K. Gupta, A. Parasher and D. Balasubramanian, Indian National Science Academy, 2000, p. 144, Orient Blackswan, ISBN 81-7371-285-9
- ↑ 가 나 Hedges 1889, cxxvi쪽.
- ↑ Hedges 1889, cxxxviii쪽.
- ↑ Brown p.15
- ↑ Shipley, Robert M. (1946) Diamond Glossary, pp. 315 (PDF page 23) Gem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USA, Vol. 5, No. 5 (Spring 1946)
- ↑ “Regent Diamond”. Internet Stones.COM.
- ↑ Hedges 1889, cxxxv쪽.
- ↑ Nicholson, Colin (1994). 《Writing and the Rise of Finance: Capital Satires of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9쪽. ISBN 978-0-521-45323-3.
- ↑ 가 나 다 UK Retail Price Index inflation figures are based on data from Clark, Gregory (2020). “The Annual RPI and Average Earnings for Britain, 1209 to Present (New Series)”. 《MeasuringWorth》. 2021년 8월 8일에 확인함.
- ↑ Saint-Simon, Louis de Rouvroy duc de (1899년 1월 1일). “Memoirs of the Duc de Saint-Simon on the Times of Louis XIV, and the Regency”. Hardy, Pratt – Google Books 경유.
- ↑ de La Hamaide, Sybille; Stargardter, Gabriel (2025년 10월 19일). “Thieves rob priceless jewels from Paris' Louvre in brazen heist”. Reuter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Matthews, Heather (2008년 10월 22일). “Top 10 Most Notorious Cursed Diamonds”. Top Tenz. 2016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Supposedly Cursed Jewels: The Regent Diamond – K.O. Jewel”. K.O. Jewel.
- ↑ “The world's most notoriously cursed diamonds”. Diamonds and a Little Black Dress. 2016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참고 문헌
- Brown, Peter Douglas. William Pitt, Earl of Chatham: The Great Commoner. Allen & Unwin, 1975
- Hedges, William (1889). Yule, Henry (편집). 《The diary of William Hedges, esq. (afterwards Sir William Hedges), during his agency in Bengal : as well as on his voyage out and return overland (1681–1697)》 3. London: Hakuyt Socie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