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타 레비몬탈치니
|
리타 레비몬탈치니
Rita Levi-Montalcini | |
2009년 촬영 | |
| 출생 | 1909년 4월 22일 이탈리아 토리노 |
|---|---|
| 사망 | 2012년 12월 30일(103세) 이탈리아 로마 |
| 국적 | 이탈리아 |
| 출신 학교 | 토리노 대학교 |
| 주요 업적 | 신경 성장 인자 발견 |
| 수상 | EMBO 회원(1974년)[1]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1983년)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198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1986년) 미국 국가 과학상(1987년) ForMemRS(1995년)[2] |
| 분야 | 신경학 |
| 소속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
리타 레비몬탈치니(이탈리아어: Rita Levi-Montalcini, 이탈리아어 발음: [ˈriːta ˈlɛːvi montalˈtʃiːni], OMRI OMCA, 1909년 4월 22일 ~ 2012년 12월 30일)는 이탈리아의 신경학자이다. 1986년에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신경 성장 인자를 발견한 공로로 스탠리 코헨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3] 이후 200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이탈리아 상원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있었다.[4]
생애
[편집]이탈리아 토리노의 세파르디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친 아다모 레비(Adamo Levi)는 전기공학자이자 수학자였으며, 모친 아델레 몬탈치니(Adele Montalcini)는 화가였다. 부친은 전통적인 가치관을 지닌 인물로, 여성이 학문을 추구하는 것은 결혼과 가정생활에 불리하다고 여겼으나, 레비 몬탈치니는 이를 설득하여 대학 진학을 허락받았다.
그녀는 1930년 토리노 대학교 의학부에 입학하여, 조직학자 주세페 레비 교수의 지도 아래 의학을 전공하였고, 1936년에 최고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그러나 1938년 무솔리니 정권의 인종법 시행으로 유대인 학자들이 대학과 연구소에서 추방되자, 그녀 역시 공식적인 연구의 기회를 잃게 되었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레비 몬탈치니는 피에몬테 지방의 자택 일부를 실험실로 개조하여 연구를 지속하였다. 병아리 배아(embryo)를 이용하여 신경섬유의 성장 과정을 관찰한 실험은 훗날 NGF 발견의 기초가 되었다. 전쟁이 격화되자 그녀는 벨기에로 피신하였다가, 다시 이탈리아로 귀환하여 은밀히 연구를 이어갔다.
1947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빅터 함부르거 교수의 초청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곳에서 그녀는 신경세포의 분화와 성장 과정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1950년대 초에 신경성장인자(NGF) 를 분리·규명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 발견은 신경계 발달의 생화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결정적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1958년 그녀는 워싱턴 대학교의 정교수로 임명되었고, 1962년에는 로마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이탈리아와 미국을 오가며 연구를 병행하였다. 1961년부터 1969년까지는 로마 소재 CNR 신경생물학연구소를, 1969년부터 1971년까지는 세포생물학연구소를 각각 이끌었다.
198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의 생물학자 스탠리 코언(Stanley Cohen)과 공동으로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 를 발견한 공로가 인정되었다.
이 연구는 신경세포의 성장 및 발달 기전을 생화학적 수준에서 규명한 획기적 성과로 평가되며, 신경계 발달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연 업적으로서 현대 신경과학의 기초를 확립한 발견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아프리카 여성 교육 재단(Fondazione EBRI) 등을 설립하여 개발도상국의 여학생들을 지원하였다.
2001년 이탈리아 대통령 카를로 아제글리오 참피(Carlo Azeglio Ciampi)에 의해 이탈리아 상원의 종신 의원(senatore a vita) 으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100세 생일을 맞은 2009년에도 여전히 강연과 집필을 이어가며, 고령에도 불구하고 왕성한 학문적 활동을 지속하였다. 2012년 12월 30일 로마 자택에서 향년 103세로 생을 마감하였다.[5][6]
리타 레비몬탈치니의 NGF 발견은 세포 성장 인자 연구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으며, 신경퇴행성 질환 및 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녀의 연구는 생명과학에서 분자수준의 신경 발달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고, 현대 신경생물학의 방향을 결정지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그녀는 전통적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으로서 학문적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한 선구적 인물로, 20세기 여성 과학자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수상 경력
[편집]- 1981년 : 로젠스틸상
- 1983년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 1986년 :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 1986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87년 : 미국 국가 과학상
회원
[편집]관련 서적
[편집]- Levi-Montalcini, Rita, In Praise of Imperfection: My Life and Work.(Elogio dell'imperfezione) Basic Books, New York, 1988.
- Yount, Lisa (1996). Twentieth Century Women Scientists. New York: Facts on File. ISBN 0-8160-3173-8.
- Muhm, Myriam : Vage Hoffnung für Parkinson-Kranke – Überlegungen der Medizin-Nobelpreisträgerin Rita Levi-Montalcini, Süddeutsche Zeitung #293, p. 22. December 1986 “L'Archivio "medicina – medicine"”. Larchivio.org. 2011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6일에 확인함.
출판물
[편집]- Origine ed Evoluzione del nucleo accessorio del Nervo abducente nell'embrione di pollo, Roma, Tip. Cuggiani, 1942.
- Il messaggio nervoso, con Pietro Angeletti e Giuseppe Moruzzi, Milano, Rizzoli, 1975.
- New developments in neurobiological research, in "Commentarii", vol. III, n. 15, Pontificia Academia Scientiarum, 1976.
- Elogio dell'imperfezione, Milano, Garzanti, 1987. ISBN 88-11-59390-5. (1999 nuova edizione accresciuta).
- NGF. Apertura di una nuova frontiera nella neurobiologia, Roma-Napoli, Theoria, 1989. ISBN 88-241-0162-3.
- Sclerosi multipla in Italia. Aspetti e problemi, con Mario Alberto Battaglia, Genova, AISM, 1989. ISBN 88-7148-001-5.
- Presentazione di Max Perutz, È necessaria la scienza?, Milano, Garzanti, 1989. ISBN 88-11-59415-4.
- Prefazione a Carlo Levi, Poesie inedite. 1934–1946, Roma, Mancosu, 1990.
- Prefazione a Gianni Bonadonna, Donne in medicina, Milano, Rizzoli, 1991. ISBN 88-17-84077-7.
- Presentazione di Gilberto Salmoni, Memoria: un telaio infinito Dialogo su un mondo tutto da scoprire, Genova, Costa & Nolan, 1993.
- Prefazione a Giacomo Scotti (a cura di), Non si trova cioccolata. Lettere di bambini jugoslavi nell'orrore della guerra, Napoli, Pironti, 1993. ISBN 88-7937-095-2.
- Reti. Scienza, cultura, economia, con Guido Cimino e Lauro Galzigna, Ancona, Transeuropa, 1993. ISBN 88-7828-101-8.
- Vito Volterra. Il suo percorso, in Scienza, tecnologia e istituzioni in Europa. Vito Volterra e l'origine del CNR, Roma-Bari, Laterza, 1993. ISBN 88-420-4147-5.
- Il tuo futuro, Milano, Garzanti, 1993. ISBN 88-11-73837-7.
- Per i settanta anni della Enciclopedia italiana, 1925–1995, in 1925–1995: la Treccani compie 70 anni. Mostra storico-documentaria, Roma, 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1995.
- Prefazione a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L'uso degli animali nella ricerca scientifica. Libro bianco, Bologna, Esculapio, 1995.
- Senz'olio contro vento, Milano, Baldini & Castoldi, 1996. ISBN 88-8089-198-7.
- L'asso nella manica a brandelli, Milano, Baldini & Castoldi, 1998. ISBN 88-8089-429-3.
- La galassia mente, Milano, Baldini & Castoldi, 1999. ISBN 88-8089-636-9.
- Presentazione di Nicola Canal, Angelo Ghezzi e Mauro Zaffaroni, Sclerosi multipla. Attualità e prospettive, Milano, Masson, 1999. ISBN 88-214-2467-7.
- Intervista in Serena Zoli, Storie di ordinaria resurrezione (e non). Fuori dalla depressione e altri mali oscuri, Milano, Rizzoli, 1999. ISBN 88-17-86072-7.
- L'Università delle tre culture. Conferenza della professoressa Rita Levi-Montalcini, Sondrio, Banca Popolare di Sondrio, 1999.
- Cantico di una vita, Milano, Cortina, 2000. ISBN 88-7078-666-8.
- Un universo inquieto. Vita e opere di Paola Levi Montalcini, Milano, Baldini & Castoldi, 2001. ISBN 88-8490-111-1.
- Tempo di mutamenti, Milano, Baldini & Castoldi, 2002. ISBN 88-8490-140-5.
- Tempo di azione, Milano, Baldini Castoldi Dalai, 2004. ISBN 88-8490-429-3.
- Abbi il coraggio di conoscere, Milano, Rizzoli, 2004. ISBN 88-17-00199-6.
- Lungo le vie della conoscenza. Un viaggio per sentieri inesplorati con Rita Levi-Montalcini, con Giuseppina Tripodi, Brescia, Serra Tarantola, 2005. ISBN 88-88507-56-6.
- Eva era africana, Roma, Gallucci, 2005. ISBN 88-88716-35-1.
- I nuovi magellani nell'er@ digitale, con Giuseppina Tripodi, Milano, Rizzoli, 2006. ISBN 88-17-00823-0.
- Tempo di revisione, con Giuseppina Tripodi, Milano, Baldini Castoldi Dalai, 2006. ISBN 88-8490-983-X.
- La vita intellettuale, in La vita intellettuale. Professioni, arti, impresa in Italia e nel pianeta. Atti del forum internazionale, 13 e 14 febbraio 2007, Bologna, Salone del podesta di Palazzo Re Enzo, Piazza del Nettuno, Bologna, Proctor, 2007. ISBN 978-88-95499-00-0.
- Rita Levi-Montalcini racconta la scuola ai ragazzi|Rita Levi-Montalcini con Giuseppina Tripodi racconta la scuola ai ragazzi, Milano, Fabbri, 2007. ISBN 978-88-451-4308-3.
- Le tue antenate. Donne pioniere nella società e nella scienza dall'antichità ai giorni nostri, con Giuseppina Tripodi, Roma, Gallucci, 2008. ISBN 978-88-6145-033-2.
- La clessidra della vita di Rita Levi-Montalcini, con Giuseppina Tripodi, Milano, Baldini Castoldi Dalai, 2008. ISBN 978-88-6073-444-0.
- Ritmi d'arte, Serra Tarantola, 2008 ISBN 88-95839-05-6
- Cronologia di una scoperta, Milano, Baldini Castoldi Dalai, 2009. ISBN 978-88-6073-557-7.
- L'altra parte del mondo, con Giuseppina Tripodi, Milano, Rizzoli, 2009. ISBN 978-88-17-01529-5.
각주
[편집]- ↑ Anon (2012). “Rita Levi-Montalcini EMBO profile”. 《people.embo.org》. Heidelberg: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 ↑ 가 나 Anon (2015).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London: Royal Society. 2015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7일에 확인함.
- ↑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86”. The Nobel Foundation. 2013년 1월 1일에 확인함.
- ↑ Bradshaw RA (January 2013). “Rita Levi-Montalcini (1909-2012)”. 《Nature》 493 (7432): 306. doi:10.1038/493306a. PMID 23325208.
- ↑ 노벨상 수상자 중 가장 오래 산 인물
- ↑ 사상 초유로 노벨 생리학·의학상 최고령 기록을 경신하였다.
참고 문헌
[편집]- Sandrone, Stefano (2013). “Rita Levi-Montalcini (1909–2012)”. 《Journal of Neurology》 260 (3): 940–941. doi:10.1007/s00415-013-6864-8.
- Navis, Adam (2007), “Rita Levi-Montalcini.”, 《Embryo Project Encyclopedia.》, 2011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Aloe, L. (2004). “Rita Levi-Montalcini: The discovery of nerve growth factor and modern neurobiology”. 《Trends in Cell Biology》 14 (7): 395–399. doi:10.1016/j.tcb.2004.05.011. PMID 15246433.
- Shampo, M. A.; Kyle, R. A. (2003). “Stamp vignette on medical science. Rita Levi-Montalcini--Nobel Prize for work in neurology”. 《Mayo Clinic proceedings. Mayo Clinic》 78 (12): 1448. doi:10.4065/78.12.1448. PMID 14661672.
- Aloe, L. (2003). “Rita Levi-Montalcini and the discovery of nerve growth factor: Past and present studies”. 《Archives italiennes de biologie》 141 (2–3): 65–83. PMID 12825318.
- Cowan, W. M. (2001). “Viktor Hamburger Andrita Levi-Montalcini: The Path to the Discovery of Nerve Growth Factor”.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4: 551–600. doi:10.1146/annurev.neuro.24.1.551. PMID 11283321.
- Provine, R. R. (2001). “In the trenches with Viktor Hamburger and Rita Levi-Montalcini (1965-1974): One studen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Neuroscience》 19 (2): 143–149. doi:10.1016/S0736-5748(00)00081-2. PMID 11255028.
- Levi-Montalcini, R. (2000). “From a home-made laboratory to the Nobel Prize: An interview with Rita Levi-Montalcini”.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biology》 44 (6): 563–566. PMID 11061418.
- Raju, T. N. (2000). “The Nobel chronicles. 1986: Stanley Cohen (b 1922); Rita Levi-Montalcini (b 1909)”. 《Lancet》 355 (9202): 506. doi:10.1016/S0140-6736(00)82069-3. PMID 10841166.
- Aloe, L. (1999). “Rita Levi-Montalcini: A brief biographic view of past and present studies on nerve growth factor”. 《Microscopy Research and Technique》 45 (4–5): 207–209. doi:10.1002/(SICI)1097-0029(19990515/01)45:4/5<207::AID-JEMT3>3.0.CO;2-E. PMID 10383112.
- Bendiner, E. (1992). “Rita Levi-Montalcini and the unveiling of growth factors”. 《Hospital practice (Office ed.)》 27 (4A): 135–145. PMID 1560084.
- Pécsi, T. (1987). “Nobel Prize for medicine, 1986 (Rita Levi-Montalcini)”. 《Orvosi hetilap》 128 (20): 1047–1048. PMID 3295669.
- Weltman, J. K. (1987). “The 1986 Nobel Prize for Physiology or Medicine awarded for discovery of growth factors: Rita Levi-Montalcini, M.D., and Stanley Cohen, Ph.D”. 《New England and regional allergy proceedings》 8 (1): 47–48. doi:10.2500/108854187779045385. PMID 3302667.
- Holloway, Marguerite (January 1993). “Finding the Good in the Bad”. 《Scientific American》 268: 32–36.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리타 레비몬탈치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86 - Rita Levi-Montalcini - 노벨 재단
- Abbott, Alison (2009). “Neuroscience: One hundred years of Rita”. 《Nature》 458 (7238): 564–7. doi:10.1038/458564a. PMID 19340056.
| 이전 한스 베테 |
공식적으로 인정된 최고령 생존 노벨상 2005년 3월 6일 ~ 2012년 12월 30일 |
이후 찰스 하드 타운스 |
| 이전 조지 H. 히칭스 |
공식적으로 인정된 최고령 생존 노벨 생리학·의학상 1998년 2월 27일 ~ 2012년 12월 30일 |
이후 에드먼드 헨리 피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