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론에서 리 대수 근기(Lie代數根基, 영어: Lie algebra radical)는 리 대수의 최대 가해 아이디얼이다.
가환환
위의 리 대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그 아이디얼(영어: ideal)은 부분 리 대수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h}}]\subseteq {\mathfrak {h}}}](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bffcd74852fcdb769d21829fa36626739219e82)
만약
의 아이디얼 가운데, 가해 리 대수를 이루는 것들의 (부분 집합 관계에 대한) 부분 순서 집합이 최대 원소를 갖는다면, 이를
의 근기라고 하며,[1]:32, §I.2

로 표기한다.
정의에 따라, 리 대수의 근기는 만약 존재한다면 유일하다.
만약
가
-뇌터 가군일 경우,
의 근기가 존재한다.
증명:
다음 두 조건을 증명하면, 모든 가해 아이디얼들의 합이 근기가 되므로, 근기가 (자명하게) 존재하게 된다.
- ㈎
의 두 가해 아이디얼의 합은 가해 아이디얼이다.
- ㈏
의 임의의 부분 가군들의 족
에 대하여,
가 되는 유한 집합
가 존재한다.
㈎의 증명:
의 두 가해 아이디얼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역시
의 아이디얼이다.
또한, 가해 리 대수의 몫과, 가해 리 대수의 가해 리 대수에 대한 확대는 역시 가해 리 대수이다.
짧은 완전열

에 의하여,
는 가해 리 대수
의 몫
의, 가해 리 대수
에 대한 확대이므로, 역시 가해 리 대수이다.
㈏의 증명:
의
-부분 가군들의 족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귀류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유한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선택 공리를 사용하여,
의 원소들의 열
을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고르자.
- 임의의
에 대하여, 귀류법 가정에 따라
이므로,
이다. 선택 공리를 사용하여,
를 임의로 고른다.
그렇다면, 구성에 따라

이다. 이는
가 뇌터 가군이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특히, 체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는 항상 근기를 갖는다.[1]:32, Proposition 1.12
체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의 근기가 0이다.
는 반단순 리 대수이다.
체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에 대하여, 만약

라면,
를 가약 리 대수(可約Lie代數, 영어: reductive Lie algebra)라고 한다.
가환환
위의 가해 리 대수
의 근기는 (항상 존재하며)
전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