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누일 흐리솔로라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누일 흐리솔로라스
1408년 파올로 우첼로가 그린 마누일 흐리솔로라스. 현재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출생1350년경[1]
콘스탄티노폴리스, 동로마 제국[1]
사망1415년 4월 15일
자유제국도시 콘스탄츠
(현대 콘스탄츠, 독일)
성별남성
국적동로마인[1]
경력호메로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저작을 라틴어로 번역
직업외교관, 교육자, 학자, 교수[1]
활동 기간1390–1415

마누일 (또는 임마누엘) 흐리솔로라스(그리스어: Μανουὴλ Χρυσολωρᾶς; c. 1350[1] – 1415년 4월 15일)는 비잔티움 그리스인 고전학자,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철학자, 교수,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 번역가였다.[1][2] 중세 이탈리아에서 동로마 제국 황제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의 대사로 활동했으며, 피렌체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에서 그리스 문학그리스의 역사의 저명한 교사였고, 오늘날에는 중세 후기 동안 고대 그리스 문학서유럽에 소개한 선구자로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1][2]

전기

[편집]
야코포 단젤로프톨레마이오스지리학 라틴어 번역본 (c. 1411–1427); 낭시 도서관에서 스캔한 자료.

마누일 흐리솔로라스는 1350년경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저명한 정교회 가문의 자손으로 태어났다. 1390년, 흐리솔로라스는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가 무슬림오스만 튀르크인의 침략에 맞서 서방 유럽의 기독교 제후들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베네치아 공화국에 파견한 사절단을 이끌었다. 피렌체 공화국로베르토 데 로시는 베네치아에서 흐리솔로라스를 만났고, 1395년 로시의 지인인 야코포 단젤로는 흐리솔로라스와 그리스어를 공부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떠났다. 1396년, 피렌체콜루초 살루타티에게 피렌체로 초빙된 흐리솔로라스는 그리스어 문법문학을 가르쳤다.[3]

흐리솔로라스는 1397년 겨울에 도착했는데, 가장 유명한 제자 중 한 명인 이탈리아 인문주의 학자 레오나르도 브루니[1]는 이를 새롭고 위대한 기회로 기억했다. 당시 법률 교사는 많았지만, 이탈리아 북부에서 그리스어를 공부한 사람은 700년 동안 아무도 없었다. 흐리솔로라스의 다른 유명한 제자는 카말돌레세 수도회의 총장이 된 암브로지오 트라베르사리였다. 흐리솔로라스는 1397년부터 1400년까지 불과 몇 년 동안 피렌체에 머물며 그리스어의 기초부터 가르쳤다. 이후 볼로냐로 옮겨 가르쳤고, 나중에 베네치아와 로마에서 가르쳤다. 흐리솔로라스는 많은 이들을 가르쳤지만, 선택된 소수 학생들은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 중 처음으로 긴밀한 그룹을 유지했다. 흐리솔로라스의 제자들 중에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에서 그리스 연구를 부활시켰던 인물들도 있었다.[1] 브루니, 단젤로, 암브로세 카말돌레스 외에도 구아리노 다 베로나, 콜루초 살루타티, 로베르토 로시, 니콜로 데 니콜리, 카를로 마르수피니, 피에르 파올로 베르제리오, 우베르토 데쳄브리오, 팔라 스트로치 등이 있었다.[1]

흐로솔로라스는 밀라노파비아를 방문하고 베네치아에서 몇 년을 거주한 후, 당시 교황 그레고리오 12세의 비서였던 브루니의 초청으로 로마로 갔다. 1408년, 마누일 흐리솔로라스는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의 중요한 임무를 띠고 파리 (프랑스)로 파견되었다. 1413년,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에게 사절로 독일로 갔는데, 그 목적은 나중에 콘스탄츠에서 소집될 공의회의 장소를 정하는 것이었다. 흐리솔로라스는 정교회를 대표하여 콘스탄츠로 가던 중 갑자기 사망했다. 흐리솔로라스의 죽음에 대한 추모 논문이 나왔고, 구아리노 다 베로나는 이를 크리솔로리나에 수록했다.

흐리솔로라스는 호메로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국가의 작품들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생전에 필사본으로 유통되었던 저작들에는 성령의 발출에 관한 짧은 작품들과 자신의 형제, 브루니, 구아리노, 트라베르사리, 스트로치에게 보낸 편지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훗날 인쇄된 두 가지 작품도 있다. 그 중 하나는 서유럽에서 사용된 최초의 기본 그리스어 문법서였던 에로테마타 (질문)로, 1484년에 처음 출판되어 널리 재인쇄되었고, 피렌체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후대의 주요 인문주의자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옥스퍼드토머스 리나커케임브리지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가 곧장 연구했다. 다른 하나는 옛 로마와 새 로마의 비교에 관한 세 통의 편지(라틴어: Epistolæ tres de comparatione veteris et novæ Romæ), 즉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비교였다. 흐리솔로라스의 도덕윤리학 및 기타 철학적 주제에 관한 많은 논문들은 고고학적 관심 때문에 17세기와 18세기에 인쇄되었다. 흐리솔로라스는 주로 레오나르도 브루니, 콜루초 살루타티, 야코포 단젤로, 로베르토 데 로시, 카를로 마르수피니, 피에트로 칸디도 데쳄브리오, 구아리노 다 베로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서양 철학고대 그리스 문학의 걸작들을 알리는 데 교육을 통해 큰 영향을 미쳤다.[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rabatzis, George (2011). 〈Manuel Chrysoloras〉. Lagerlund, Henrik (편집). 《Encyclopedia of Medieval Philosophy: Philosophy between 500 and 1500》. 도르드레흐트: Springer Verlag. 709–711쪽. doi:10.1007/978-1-4020-9729-4. ISBN 978-1-4020-9729-4. Manuel Chrysoloras (c. 1350–1415) was a Byzantine writer and scholar better known as professor of Greek language in Florence after 1397, the first one to hold public teaching office of Greek in Italy. His audience included famous Italian humanists like Guarino da Verona (his most loyal pupil), Jacopo Angeli da Scarperia, Coluccio Salutati, Roberto Rossi, Niccolò Niccoli, Leonardo Bruni, Carlo Marsuppini, Pier Paolo Vergerio, Uberto Decembrio, and others. After 1400, Chrysoloras left his teaching position and carried out mainly diplomatic missions in the service of the Byzantine emperor Manuel II Palaiologos. 
  2. “Manuel Chrysoloras | Greek scholar” (영어).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3. Salutati, Coluccio; Novati, Francesco (1891). 《Epistolario di Coluccio Salutati》. PIMS – University of Toronto. Roma : Forzani E.C. Tipografidel Senato. vol. 3, p. 119 ff쪽. 

추가 자료

[편집]
  • Chrysoloras's Erotemata are edited by A. Rollo, Gli Erotemata tra Crisolora e Guarino (Percorsi dei classici 21), Messina 2012.
  • Chrysoloras's letters can be found in Patrologia Graeca, ed. J.-P. Migne, vol, 156, Paris 1866.
  • M. Baxandall, 'Guarino, Pisanello and Manuel Chrysoloras', Journal of the Warburg and Courtauld Institutes 28 (1965), 183–204.
  • 에밀 르그랑: Notice biographique sur Manuel Chrysoloras, Paris 1894.
  • Jonathan Harris, Greek Émigrés in the West, 1400–1520, Camberley UK: Porphyrogenitus, 1995. ISBN 1-871328-11-X
  • S. Mergiali-Sahas, S., 'Manuel Chrysoloras: an ideal model of a scholar ambassador', Byzantine Studies/Etudes Byzantines, 3 (1998), 1–12
  • I. Thompson, 'Manuel Chrysoloras and the early Italian Renaissance',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7 (1966), 63–82
  • Lydia Thorn-Wikkert, Manuel Chrysoloras (ca. 1350–1415): Eine Biographie des byzantinischen Intellektuellen vor dem Hintergrund der hellenistischen Studien in der italienischen Renaissance, Frankfurt am Main, 2006.
  • N.G. Wilson, From Byzantium to Italy. Greek Studies in the Italian Renaissance, London, 1992. ISBN 0-7156-2418-0

외부 링크

[편집]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