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레비토
마레비토(일본어: マレビト)는 시간을 정해서 타계로부터 내방하는 영적 존재, 혹은 신의 본질적 존재로 정의되는[1] 오리구치학의 용어다. 오리구치 노부오의 사상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키 개념이며, 일본인의 신앙, 타계 관념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로서 민속학상 중요시된다. 한자로는 희인(稀人) 또는 객인(客人)이라고 쓴다. 마루우도(まろうど)라고도 한다.[2][3]
외부로부터의 내방자, 즉 이인(일본어:
「마레비토」라는 호칭은 1929년(쇼와 4년)에 민속학자 오리구치 노부오가 개념화했다. 그는 「객인(客人)」을 「마레비토」라고 훈하고, 그것이 본래 신과 동의어이며, 그 신은 상세의 나라로부터 내방해온다는 것을 현존하는 민간전승이나 기기신화의 내용으로부터 추론해냈다. 오리구치의 마레비토론은 「국문학의 발생 〈제3고〉」에서 그 형태가 정리된다. 이 논문에 따르면 오키나와에서의 필드워크가 마레비토 개념을 떠올린 계기가 된 것 같다.
상세(일본어: 常世 토코요[*])란 사령(死霊)들이 사는 나라이며, 그곳에는 사람들을 악령으로부터 수호해 주는 조상귀신들이 산다고 여겨졌다. 그래서 농촌 주민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상세의 나라에서 조상령이 찾아와서 축복을 베풀어 준다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그 강림이 드물어 “손님”, 즉 “마레비토”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불교행사가 된 우란분재도 원래 이 마레비토 신앙과 깊이 관계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마레비토신은 제장(祭場)에서 환대를 받는데, 이윽고 외부에서 내방하는 나그네들도 “마레비토”로서 취급받게 되었다. 『만엽집』이나 『히타치국 풍토기』에는 제삿날(= 마을축젯날) 밤 외부로부터 오는 신으로 분장하는 것은 가면을 쓴 마을의 젊은이 혹은 여행자였음이 기록되어 있다. 시대가 더 지나면 “호카이비토(일본어:
신을 맞이하는 마츠리(제사, 축제)를 할 때 기둥 모양으로 세운 물체(염롱, 산차 등)에 내방신이 강림한다고 여겨졌다. 그들이 오는 곳은 바다 저 편(일본 본토의 상세의 나라, 오키나와의 니라이카나이)이다. 이후 이것이 산악신앙과 결합해서 산 위 = 하늘 너머로부터 내려오는 천손강림으로 이변했다고도 한다.
오스트리아의 민족학자 알렉산더 슬라빅은 친구 오카 마사오를 통해 일본의 마레비토 신앙에 대해 알게 되고, 이것을 게르만족이나 켈트족에게서 나타나는 “신성한 내방자” 전설과 비교연구 했다.[4]
각주
[편집]![]() |
이 글은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