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벨 테크놀로지
![]() | |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1995년 |
창립자 | Sehat Sutardja, Co-founder Weili Dai, Co-founder Pantas Sutardja, Co-founder Clyde Hossein, CFO |
시장 정보 | 나스닥: MRVL |
ISIN | BMG5876H1051 |
산업 분야 | 반도체 |
본사 소재지 | 미국 캘리포니아 신타클라라 |
매출액 | ![]() |
![]() | |
자산총액 | ![]() |
종업원 수 | 5200+ (2019) |
자본금 | ![]() |
웹사이트 | http://www.marvell.com/ |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는 샌타클래라,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둔 미국의 회사로, 반도체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생산한다. 1995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2024년 기준으로 6,5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0,0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2024년 회계 연도 매출은 55억 달러에 달한다.[1][2]
역사
[편집]마벨은 1995년 세핫 수타르자 박사, 그의 아내 웨이리 다이, 그리고 그의 형제 판타스 수타르자에 의해 설립되었다.[3][2] 그들은 첫 제품으로 CMOS 기반 디스크 드라이브용 읽기 채널 설계를 진행했다. 씨게이트 테크놀로지가 그들의 첫 고객이 되었다.[3] 2000년 6월 27일 (닷컴 버블 말기) 나스닥에서 티커 심볼 MRVL로 6백만 주를 기업공개하며 1주당 15달러의 가격으로 9천만 달러를 모금했다.[4]
2016년 4월, 행동주의 투자자인 스타보드 밸류 펀드가 회사 지분 약 7%를 확보한 후, 최고경영자 세핫 수타르자와 사장 웨이리 다이가 해임되었다.[5]
2016년 7월, 마벨은 매트 머피를 새로운 사장 겸 최고경영자로 임명했다.[6]

2018년 7월 6일, 마벨은 카비움 인수의 절차를 마쳤다. 같은 날, 카비움의 공동 설립자이자 전 사장 겸 최고경영자였던 시드 알리, 카비움 이사 브래드 버스, 카비움 이사 에드워드 프랭크를 마벨 이사회에 임명한다고 발표했다.[7]
2019년 9월, 마벨은 아콴티아 인수를 완료했다.
2021년 4월, 마벨은 인파이 코퍼레이션 인수를 완료했다. 인수 과정에서 마벨은 통합 회사가 윌밍턴, 델라웨어주에 본사를 두도록 재편되었다.[8]
2023년 9월, 마벨 테크놀로지는 인도 푸네에서 확장 계약을 체결했다.[9]
인수 합병
[편집]수년간 마벨은 새로운 시장 진출을 위해 소규모 기업들을 인수했다.
날짜 | 인수 회사 | 전문 분야 | 비용 |
---|---|---|---|
2000년 10월 | 갈릴레오 테크놀로지 | 이더넷 스위치, 시스템 컨트롤러 | 주식으로 27억 달러[10] |
2002년 6월 | 시스커넥트 | PC 네트워킹[11] | |
2003년 2월 | 래들런 | 임베디드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 4,970만 미국 달러[12] |
2005년 8월 | QLogic의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 사업부 | 하드 디스크 및 테이프 드라이브 컨트롤러 | 현금 1억 8천만 달러 + 주식 4천 5백만 달러[13] |
2005년 12월 | UT스타컴의 SOC 사업부 | 무선 통신 (3G) | 현금 2,400만 달러[14] |
2006년 2월 | 아바고 테크놀로지스의 프린터 ASIC 사업 | 프린터 ASIC | 현금 2억 4천만 달러[15][16] |
2006년 7월 | 인텔의 XScale 제품군 | 통신 프로세서 및 SOC | 현금 6억 달러[17] |
2008년 1월 | 피코모바일 네트워크 | IWLAN 및 IMS 통신 소프트웨어[18] | |
2010년 8월 | 디세뇨 데 시스테마스 엔 실리시오 S.A. ("DS2") | 스페인 회사, PLC 통신 IC[19] | |
2012년 1월 | 셀러레이티드 | 네트워크 프로세서[20][21] | |
2018년 7월 6일 | 카비움 | ARM 프로세서 | 현금 및 주식 60억 달러[22] |
2019년 5월 | 아베라 세미 | ASIC | 현금 6억 5천만 달러[23] |
2019년 9월 | 아콴티아 코퍼레이션 | ASIC 멀티기가비트 이더넷 | 현금 4억 5천만 달러 |
2021년 4월 | 인파이 코퍼레이션 | 혼합 신호 집적 회로 | 82억 달러[8] |
2021년 10월 | 이노비움 |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스위치 | 11억 달러[24] |
제품
[편집]
컴퓨팅
[편집]데이터 처리 장치
[편집]마벨 OCTEON 및 ARMADA DPU는 CPU,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가속 엔진을 특수 전자 회로에 통합한다.[25]
맞춤형
[편집]마벨은 또한 고객 가속기 및 인터페이스를 마벨의 옥테온 프로세서에 직접 통합할 수 있는 고객별 표준 제품(CSSP)을 제공했다. 2019년 아베라 반도체(이전 글로벌파운드리스의 맞춤형 ASIC 사업부였으며 그 이전에는 IBM의 사업부였음)를 인수한 후, 마벨은 고객의 특정 설계 목표에 맞춘 맞춤형 ASIC을 제공한다.[23][26] 또한 독립 자회사인 마벨 정부 솔루션(MGS)을 통해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에 ASIC 개발 서비스를 제공한다.[27] 마벨은 TSMC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3nm 제품을 출시했다.[28]
인프라 프로세서
[편집]2019년 11월 12일, 마벨은 자사의 ThunderX2 SoC가 Microsoft Azure에 배포되었다고 발표했다.[29] 2020년 3월 2일, 마벨은 OCTEON Fusion 및 OCTEON TX2 5G 인프라 프로세서를 발표했으며, 화웨이, 노키아, 에릭슨, ZTE, 삼성에 5G 인프라용 프로세서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30] 2020년 3월 16일, 마벨은 ThunderX3 및 2022년 ThunderX4 계획을 발표했다.[31] 2020년 8월 28일, 마벨은 ThunderX 서버 팀을 맞춤형 실리콘 사업으로 재편할 계획을 발표했다.[32]
보안 솔루션
[편집]마벨의 보안 관련 제품에는 LiquidSecurity HSM 어댑터 및 NITROX 암호화 오프로드 엔진이 포함된다.[33]
네트워킹 및 스토리지
[편집]마벨의 네트워킹 제품에는 FastLinQ 이더넷 네트워크 어댑터 및 컨트롤러, 기업용(Prestera) 및 데이터센터용(Teralynx) 이더넷 스위치 칩, 이더넷 PHY 및 자동차 이더넷이 포함된다.[34][35][36][37][38]
마벨의 제품에는 SSD 컨트롤러, HDD 컨트롤러, HDD 프리앰프, 스토리지 가속기, 그리고 QLogic 파이버 채널 어댑터 및 컨트롤러가 포함된다.[39][40][41][42] 2021년 5월 27일, 마벨은 PCI Express 5.0을 지원하는 최초의 NVM 익스프레스 SSD 컨트롤러를 발표했다.[43]
기타 제품
[편집]마벨은 초기 (1세대) 애플 아이폰용 와이파이 칩을 공급했다.[44] 마벨 모바일 핫스팟(MMH)은 차량 내 와이파이 연결 기능이다. 2010년 아우디 A8은 MMH가 공장에서 설치된 최초의 자동차였다.[45]
구글의 크롬캐스트 제품은 마벨 SoC를 기반으로 한다. 크롬캐스트 1세대에는 마벨 ARMADA 1500 미니 SoC(88DE3005)가, 크롬캐스트 2세대 및 크롬캐스트 오디오에는 마벨 ARMADA 1500 미니 플러스 SoC(88DE3006)가 탑재되었다.[46]
시냅틱스는 2017년 6월 12일 마벨 멀티미디어 솔루션을 인수했다.[47] ARMADA 1500 SoC는 이제 다른 이름으로 생산된다.[48]
논란
[편집]스톡옵션
[편집]2006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는 회사의 스톡옵션 부여 관행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49] 조사 결과 "옵션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부여 날짜가 사후 이득을 고려하여 선택되었다"고 판단되었다.[50] 언론은 창립자 부부인 세핫 수타르자와 웨이리 다이가 부여한 옵션으로 7억 6천만 달러의 이득을 얻었다고 추산했다.[51] SEC는 회사 법률 고문인 매튜 글로스(Matthew Gloss)와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마벨은 변호사-의뢰인 비밀유지 특권을 주장했다.[52] 글로스는 2007년 5월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 직전에 해고되었다.[53] 에이브러햄 데이비드 소파에르가 글로스가 조사가 독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한 후 조사를 재조사하기 위해 고용되었다.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SEC는 마벨이 SEC 조사에 협조하거나 시정 노력을 기울인 것에 대해 다른 옵션 스캔들 관련 회사들에게 부여된 만큼의 인정을 해주지 않았다.[54] 발표 당시 SEC 샌프란시스코 지부 공동 국장 대행은 마벨이 보인 비협조와 시정 노력 부족이 마벨에게 관대함을 베풀 만큼 충분한 인정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54] 결과를 발표하면서 SEC는 글로스가 다이와 수타르자의 백데이팅 계획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54] 마벨은 재무 결과를 재조정했으며, 다이가 더 이상 부사장, 최고운영책임자, 이사가 아니지만 비경영 직책으로 회사에 계속 근무할 것이라고 밝혔다.[55] 회사는 2008년에 1천만 달러의 벌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지만, 조사 위원회에서 밝힌 바와 같이 다이를 해고하거나 수타르자를 회장으로 교체하지는 않았다.[50][54]
특허 침해
[편집]2012년 12월, 피츠버그 배심원단은 마벨이 카네기 멜런 대학교가 개발하고 소유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기술을 라이선스 없이 통합하여 두 가지 특허(알렉산다르 캅치치와 호세 모우라가 공동 발명)를 침해했다고 판결했다.[56] 고속에서 하드 디스크 데이터 읽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이 기술은 2003년에서 2012년 사이에 마벨이 판매한 23억 개의 칩에 사용된 것으로 보고되었다.[57] 배심원단은 11억 7천만 달러의 손해배상액을 판결했으며, 이는 당시 특허 소송에서 역대 세 번째로 큰 금액이었다.[58] 배심원단은 또한 침해가 "고의적"이었다고 판단하여, 판사가 원래 손해배상액의 최대 세 배까지 판결할 수 있는 재량권을 부여했다.[57] 2012년 12월, 회사는 이 분쟁에서 재심 요청을 기각당했다.[59] 재판 후 청문회는 2013년 5월로 예정되었고, 마벨은 그동안 항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56] 8월, 미국 지방법원 판사 노라 배리 피셔는 배상금 지급을 확정했다.[60] 2016년 2월 17일, 마벨은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 7억 5천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61]
각주
[편집]- ↑ “Marvell FY 2025 Annual Report (Form 10-K)”.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25년 3월 12일.
- ↑ 가 나 “Marvell Technology | MRVL Stock Price, Company Overview & News”. 《Forbes》 (영어). 2023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Perry, Tekla S. (2010년 10월 29일). “Sehat Sutardja: An Engineering Marvell”. 《IEEE Spectrum》.
- ↑ “Marvell rises 278% in debut”. 《CNN Money》. 2000년 6월 27일.
- ↑ Carey, Pete (2016년 4월 5일). “Marvell ousts Silicon Valley power couple from top posts”. The Mercury News. 2018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Company - Leadership - Matt Murphy - Marvell”. 《www.marvell.com》. 2019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Marvell Technology Completes Acquisition of Cavium”. 《www.marvell.com》 (보도 자료) (영어). 2019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Marvell to Buy Inphi for $8.2 Billion to Grow in Cloud, 5G”. 《Bloomberg.com》. 2020년 10월 29일. 2021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Marvell Tech reveals India expansion plans signaling confidence in the market”. 《DIGITIMES》 (영어). 2023년 9월 4일. 2023년 9월 5일에 확인함.
- ↑ “Marvell to acquire LAN-chip supplier Galileo for $2.7 billion in stock”. eetimes. 2000년 10월 17일.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Acquires SysKonnect GmbH for 10 Gbps Client-side Silicon”. convergedigest.com. 2002년 6월 21일.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Acquires Radlan”. edn.com. 2003년 2월 6일. 2013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to Acquire the Hard Disk Drive Controller Business of QLogic”. Marvell. 2005년 8월 29일. 2016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acquires UTStarcom's SoC Division”. evertiq.com. 2005년 12월 23일.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Acquires Avago's Printer ASICs Business”. insidchips.com. December 2005. 2011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Technology Group acquires Avago for $240 million”. dealipedia.com. 2006년 2월 20일.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buys Intel's handheld processor unit for $600 million”. Eet.com. 2006년 6월 27일.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PicoMobile Networks, Inc.”. businessweek.com. January 2008. 2012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arvell Acquires DS2 Technology”. 《News release》 (Marvell). 2010년 8월 19일.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Nicolas Mokhoff (2012년 1월 4일). “Marvell's buy of Xelerated lines up comms offerings”. 《EE Times》.
- ↑ Ray Le Maistre (2012년 1월 4일). “Marvell Snaps Up Xelerated”. 《Light Reading》.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PALLADINO, Valentina (2017년 11월 20일). “Marvell Technology to buy chipmaker Cavium for about $6 billion”. Ars Technica.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Shilov, Anton. “Marvell to Acquire Avera Semiconductor from GlobalFoundries”. 《www.anandtech.com》. 2019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Nellis, Stephen (2021년 8월 3일). “Marvell Tech to acquire Innovium for $1.1 bln as it courts more cloud customers”. 《로이터》.
- ↑ “Data Processing Units (DPUs) | Empowering Carrier, Enterprise and Cloud Data Services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Frumusanu, Andrei. “Marvell Unveils its Comprehensive Custom ASIC Offering”. 《www.marvell.com》. 2020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Marvell Government Solutions | Delivering CUI, ITAR and Trusted Custom ASIC End-to-End Solutions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New Electronics - Marvell unveils 3nm data infrastructure IP portfolio”. 2022년 10월 21일.
- ↑ “Company - Newsroom - Marvell's ThunderX2 Solution Now Deployed for Microsoft Azure Development - Marvell”. 《www.marvell.com》. 2019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Frumusanu, Andrei. “Marvell Announces OCTEON Fusion and OCTEON TX2 5G Infrastructure Processors”. 《www.anandtech.com》. 2020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Frumusanu, Andrei. “Marvell Announces ThunderX3: 96 Cores & 384 Thread 3rd Gen Arm Server Processor”. 《www.anandtech.com》. 2020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Frumusanu, Andrei. “Marvell Refocuses Thunder Server Platforms Towards Custom Silicon Business”. 《www.anandtech.com》. 2020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Security Solutions | Protecting Cloud and Enterprise Data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Ethernet Network Adapters and Controllers | Boosting Server and Edge Connectivity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Switching technology I Powering the next generation of borderless and secure networks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Ethernet PHY Transceivers | Connecting Infrastructure with Broadest Ethernet PHY Portfolio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Automotive | Advancing the Future of Intelligent Driving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Data Center Switches | Enabling the AI cloud with High-bandwidth, low-latency, multi-terabit network switche”.
- ↑ “SSD Controllers | Unleashing High-Performance Edge to Cloud Data Storage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HDD Solutions | Delivering High-Capacity Cloud and Edge Data Storage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Storage Accelerators | Accelerating Edge to Cloud Workloads with Innovative Controller Solutions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Fibre Channel Adapters and Controllers | Scaling Storage with Trusted High-Performance Connectivity - Marvell”. 《www.marvell.com》.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Tallis, Billy. “Marvell Announces First PCIe 5.0 NVMe SSD Controllers: Up To 14 GB/s”. 《www.anandtech.com》. 2021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iPhone 1st Gen Teardown”. 2007년 6월 29일. 2011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Wilson, Richard (2010년 8월 10일). “Marvell chip turns Audi A8 into Wi-Fi hotspot”. 《ElectronicsWeekly.com》.
- ↑ Google’s Chromecast 2 is Powered By Marvell’s ARMADA 1500 Mini Plus - Dual-Core Cortex-A7. www.anandtech.com. Retrieved on 2016-01-05.
- ↑ “Press Release | Synaptics Accelerates Consumer IoT Strategy with Acquisitions of Conexant Systems, LLC and the Multimedia Solutions Business of Marvell Technology Group | Synaptics”. 《www.synaptics.com》. 2018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Google Chromecast Ultra (NC2-6A5-D)”. 《wikidevi.com》. 201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Marvell Technology Group Limited (2006년 7월 3일). “Form 8-K”.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Marvell Completes Independent Review of Stock Option Practice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07년 5월 7일.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Edward Robinson (2007년 5월 21일). “Billionaires From Jakarta, Shanghai Undermined by U.S. Options”. 《Bloomberg News》.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Justin Scheck. “SEC Stumbles on Privilege Waivers”. 《In-House Counsel》. 2009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Alan Rappeport (2007년 5월 8일). “Marvell Fires General Counsel: Marvell's general counsel was fired before the release of the company's backdating report. The counsel's attorney denies any connection”. 《CFO Magazine》.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Zusha Elinson (2008년 5월 9일). “Marvell Technology to Pay $10 Million Fine Over Backdating”. 《Law.Com》.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Alan Rappeport (2007년 5월 7일). “Marvell CFO Resigns amid Options Probe: Microchip maker discloses a pre-tax charge of as much as $350 million”. 《CFO Magazine》.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Mouawad, Jad (2012년 12월 26일). “Jury Awards $1.17 Billion in Patent Suit”. 《뉴욕 타임스》.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BBC News - Marvell faces huge patent fine over hard disk chips”. 《BBC News》. 2012년 12월 27일.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Clark, Don (2012년 12월 26일). “Jury Finds Marvell Owes $1.17 Billion in Patent Case - WSJ.com”. Online.wsj.com.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Marvell Loses Mistrial Bid In Carnegie Mellon Patent Row”. 2012년 12월 21일. 2013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Vaughan, Bernard (2013년 8월 23일). “Judge upholds $1.17 billion patent verdict against Marvell”. 《Reuters》.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Carnegie Mellon University and Marvell Technology Group Ltd. Reach Settlement”. 《Carnegie Mellon University》 (보도 자료). 2016년 2월 17일. 2016년 2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