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방랑
마음방랑(Mind-wandering)은 당면 과제와 무관한 생각들을 말한다. 여기에는 해야 할 일과 상관없이 자극이 없어도 떠오르는 사고들이 있다.[1][2] 이는 정적이고 건설적인 백일몽(positive constructive daydreaming), 죄책감이 들 정도로 느끼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주의력 통제 빈약과 같은 세 하위 유형에 속한다.[3]
마음방랑은 장시간 한 가지 주제, 특히 집중력을 요구하는 과업을 수행할 때에, 그것에 오래 머물지 못하는 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흔히 이해된다.[4]
일례로 운전하는 상태에서도 마음방랑이 발생한다. 이는 최적의 조건에서 운전하는 것은, 사람이 집중력을 요구하는 과업을 수행할 때에 활성화되는 뇌망(brain network)인 과업 정적 뇌망(Task-positive network)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자동적 활동(automatic activity)이기 때문이다.[5] 경계(vigilance)가 낮은 상황에서 사람은 자신의 생각에 몰입하기에 주변 환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를 기억하지 못한다. 이를 디커플링 가설(decoupling hypothesis)이라 한다.[6]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를 이용한 연구들에서 마음방랑은 뇌의 외부 정보 처리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사고가 당면 과제와 무관할 경우, 뇌는 과업과 유관하거든 무관하든 상관없이 모든 감각 정보를 처리하지만, 그 디테일은 떨어진다.[7][8][9]
마음방랑은 사람의 안정적인 특질(trait)이자 일시적인 상태인 것처럼 보인다. 연구들은 연구실 내에서의 수행 문제[10]와 일상에서의 수행 문제를 연결하였다.[11] 마음방랑은 발생 가능성 있는 차 사고와 관련되어 왔다.[12] 또한 마음방랑은 정동(affect) 상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연구에서는 과업과 무관한 생각은 기분이 저하되거나 우울한 사람에게 흔하다고 지적한다.[13][14] 또한 마음방랑은 알코올 중독자에게도 발생한다.[15]
연구들에서는 마음방랑 상태에서는 과거와 관련된 사고보다는 미래에 관련된 사고에 개입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마음방랑은 자발적인 사고에 해당한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였다.[16] 기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는 마음방랑과 내부 지향 사고(internally directed thought)에 관여한다고 보지만,[17] 최근 연구는 이러한 가정을 반박한다.[18]
같이 보기
[편집]- 과집중 (반의어)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각주
[편집]- ↑ Smallwood, Jonathan; Schooler, Jonathan W. (2015년 1월 3일). “The science of mind wandering: empirically navigating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6: 487–518. doi:10.1146/annurev-psych-010814-015331. ISSN 1545-2085. PMID 25293689.
- ↑ Mrazek, Michael; Phillips, Dawa; Franklin, Michael; Broadway, James; Schooler, Jonathan (2013). “Young and restless: validation of the Mind-Wandering Questionnaire (MWQ) reveals disruptive impact of mind-wandering for youth”. 《Frontiers in Psychology》 4: 560. doi:10.3389/fpsyg.2013.00560. ISSN 1664-1078. PMC 3753539. PMID 23986739.
- ↑ McMillan, Rebecca; Kaufman, Scott; Singer, Jerome (2013). “Ode to positive constructive daydreaming”. 《Frontiers in Psychology》 4: 626. doi:10.3389/fpsyg.2013.00626. ISSN 1664-1078. PMC 3779797. PMID 24065936.
- ↑ McVay, Jennifer C.; Kane, Michael J. (January 2009). “Conducting the train of thought: Working memory capacity, goal neglect, and mind wandering in an executive-control tas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5 (1): 196–204. doi:10.1037/a0014104. PMC 2750806. PMID 19210090.
- ↑ Lin, Chin-Teng; Chuang, Chun-Hsiang; Kerick, Scott; Mullen, Tim; Jung, Tzyy-Ping; Ko, Li-Wei; Chen, Shi-An; King, Jung-Tai; McDowell, Kaleb (2016년 2월 17일). “Mind-Wandering Tends to Occur under Low Perceptual Demands during Driving” (영어). 《Scientific Reports》 6 (1): 21353. Bibcode:2016NatSR...621353L. doi:10.1038/srep21353. ISSN 2045-2322. PMC 4808905. PMID 26882993.
- ↑ Smallwood, J.; Obonsawin, M.C.; Heim, D. (June 2003). “Task Unrelated Thought: the role of distributed processing”.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2 (2): 169–189. doi:10.1016/s1053-8100(02)00003-x. PMID 12763003. S2CID 7646836.
- ↑ Smallwood, J.; Beech, E.M.; Schooler, J.W.; Handy, T.C. (March 2008). “Going AWOL in the brain – mind wandering reduces cortical analysis of the task environment”.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0 (3): 458–469. doi:10.1162/jocn.2008.20037. PMID 18004943. S2CID 16925264.
- ↑ Kam, J.W.Y.; Dao, E.; Farley, J.; Fitzpatrick, K.; Smallwood, J.; Schooler, J.W.; Handy, T.C. (February 2011). “Slow fluctuations in attentional control of sensory cortex”.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3 (2): 460–470. doi:10.1162/jocn.2010.21443. hdl:2429/27539. PMID 20146593. S2CID 7709940.
- ↑ Braboszcz, C.; Delorme, A. (2011). “Lost in thoughts: neural markers of low alertness during mind wandering”. 《NeuroImage》 54 (4): 3040–7. doi:10.1016/j.neuroimage.2010.10.008. PMID 20946963. S2CID 12903932.
- ↑ Smallwood, J.; Davies, J. B.; Heim, D.; Finnigan, F.; Sudberry, M.V.; O'Connor, R.C.; Obonsawain, M.C. (December 2004). “Subjective experience and the attentional lapse. Task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during sustained attention”.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3 (4): 657–690. doi:10.1016/j.concog.2004.06.003. PMID 15522626. S2CID 2514220.
- ↑ McVay, J.C.; Kane, M.J.; Kwapil, T.R. (October 2009). “Tracking the train of thought from the laboratory into everyday life: an experience-sampling study of mind wandering across controlled and ecological context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6 (5): 857–63. doi:10.3758/PBR.16.5.857. PMC 2760023. PMID 19815789.
- ↑ Galéra, C; Orriols, L; M'Bailara, K; Laborey, M; Contrand, B; Ribéreau-Gayon, R; Masson, F; Bakiri, S; Gabaude, C; Fort, A; Maury, B; Lemercier, C; Cours, M; Bouvard, MP; Lagarde, E (2012년 12월 13일). “Mind wandering and driving: responsibility case-control study”. 《BMJ》 345: e8105. doi:10.1136/bmj.e8105. PMC 3521876. PMID 23241270.
- ↑ Smallwood, J.; Fitzgerald, A.; Miles, L.; Phillips, L. (April 2009). “Shifting moods, wandering minds: negative moods lead the mind to wander”. 《Emotion》 9 (2): 271–276. doi:10.1037/a0014855. PMID 19348539.
- ↑ Smallwood, J.; O'Connor, R.C.; Sudberry, M.V.; Obonsawin, M.C. (2007). “Mind wandering & Dysphoria”. 《Cognition & Emotion》 21 (4): 816–842. doi:10.1080/02699930600911531. S2CID 17662623.
- ↑ Finnigan, F.; Schulze, D.; Smallwood, J. (2007). “Alcohol and the wandering mind – a new direction in the study of attentional laps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and Human Development》 6 (2): 189–199. doi:10.1515/ijdhd.2007.6.2.189. S2CID 25689644.
- ↑ Smallwood, J.; Nind, L.; O'Connor, R.C. (March 2009). “When is your head at?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emporal focus of the wandering mind”.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8 (1): 118–125. doi:10.1016/j.concog.2008.11.004. PMID 19121953. S2CID 7498624.
- ↑ Buckner, Randy L.; Andrews-Hanna, Jessica R.; Schacter, Daniel L. (2008년 3월 1일). “The Brain's Default Network”.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24 (1): 1–38. CiteSeerX 10.1.1.689.6903. doi:10.1196/annals.1440.011. ISSN 1749-6632. PMID 18400922. S2CID 3167595.
- ↑ Sormaz, Mladen; Murphy, Charlotte; Wang, Hao-ting; Hymers, Mark; Karapanagiotidis, Theodoros; Poerio, Giulia; Margulies, Daniel S.; Jefferies, Elizabeth; Smallwood, Jonathan (2018년 8월 24일). “Default mode network can support the level of detail in experience during active task states” (영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5 (37): 9318–9323. Bibcode:2018PNAS..115.9318S. doi:10.1073/pnas.1721259115. ISSN 0027-8424. PMC 6140531. PMID 30150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