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테오 팔미에리

마테오 디 마르코 팔미에리(이탈리아어: Matteo di Marco Palmieri, 1406년~1475년)는 피렌체 출신의 인문주의자이자 역사가로, 시민적 인문주의를 옹호한 저서 《델라 비타 치빌레》(Della vita civile, “시민 생활에 대하여”; 1528년 인쇄)와 라틴어와 동등한 수준으로 토스카나 방언을 다듬는 데 기여한 업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그는 나폴리의 알폰소 1세 궁정에 피렌체 대사로 파견되었으며, 베스파시아노 다 비스티치가 쓴 《15세기의 위대한 인물들의 생애》(Vite di uomini illustri del secolo XV)[2]에서 당대의 뛰어난 인물로 언급되어 전기 한 편을 할애받았다.
생애
[편집]팔미에리는 도시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피렌체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수익성 있는 약국을 운영했다. 아버지처럼 공직 생활을 추구하여 1432년부터 1475년까지 여러 직책과 관직을 맡으며 잘 알려진 존경받는 공직자로 활동했다.[3]
생애 말년에 그는 피렌체 화가 프란체스코 보티치니(1446~1498)에게 피렌체의 베네딕토회 수녀원 산 피에르 마조레 교회의 팔미에리 가문 경당을 위해 대작 《성모 승천》[4]을 의뢰했다. 그 그림에는 무릎 꿇고 있는 기부자인 마테오와 그의 아내 니콜로사 데 세랄리의 초상화가 함께 그려져 있다.[5]

저작
[편집]팔미에리는 배움과 정치적 실천을 결합한 인문주의적 이상인 ‘비르투’(virtù)를 굳게 믿었으며, 정치적 삶과 조화를 이루어 저술 활동도 했다.[6] 그는 라틴어와 이탈리아어로 글을 남겼다. 라틴어 저작으로는 《리베르 데 템포리부스》(Liber de temporibus, 시대의 책)라는 창세부터 자신의 시대까지를 다룬 세계 연대기, 《데 카프티비타테 리베르》(De captivitate liber, 피사의 함락)라는 1406년 피렌체의 피사 점령 기록, 그리고 니콜로 아차이올리의 전기가 있으며, 이는 학자 도나토 아차이올리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었다.
이탈리아어로는 1465년에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을 모방한 3권짜리 시 《치타 디 비타》(Città di vita, 삶의 도시)를 썼다. 이 시는 그의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았고, 인쇄되어 출판된 뒤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규탄되었다. 이 때문에 팔미에리가 죽은 후 그의 시신은 산 피에르 마조레 교회에서 이장되었고 그의 초상이 불태워졌다.[7]
팔미에리의 인문주의자로서 가장 잘 알려진 저작은 《델라 비타 치빌레》(Della vita civile, “시민 생활에 대하여”)로, 1429년에 집필하여 1435년에서 1440년 사이에 유통되었으며 1528년에 인쇄되었다.[8] 이 책은 이상적인 시민의 자질을 다룬 논문으로, 1430년 역병 시기 무젤로의 한 시골 저택을 배경으로 네 권에 걸친 대화 형식으로 쓰였다. 주요 화자는 부유한 피렌체 상인 아뇰로 판돌피니였다. 첫 번째 대화는 퀸틸리아누스의 《웅변가 교육론》(Institutio oratoria)을, 나머지 세 권은 키케로의 《의무론》(De officiis)을 토대로 하였으며,[9] 어린이의 신체적·지적 발달, 시민의 도덕적 삶, 유용성과 정직성 사이의 대립적 긴장을 다루고 있다. 또한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플루타르코스 같은 고전 저자뿐 아니라 팔미에리 자신의 공직 경험도 반영되었다. 그가 가장 강조한 것은 훌륭한 교육의 필요성과 도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 삶이었다.[8] 그는 어릴 때부터의 교육이 타인과 공동체를 위해 선을 행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각주
[편집]- ↑ Giuseppe Flavo, Paul Grendler (ed.). "Palmieri, Matteo" in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1999, volume 3, pp. 376-377. ISBN 0-684-80514-6
- ↑ Published as Vite di uomini illustri del secolo xv by Ludovico Frati, Bologna, 1892-93; a translation was reprinted as The Vespasiano Memoirs: Lives of Illustrious Men of the XV Century (Renaissance Society of America Reprint Texts) 1997.
- ↑ Giuseppe Flavo, Paul Grendler (ed.). "Palmieri, Matteo" in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1999, volume 3, pp. 376-377. ISBN 0-684-80514-6
- ↑ Now at the National Gallery, London.
- ↑ Rolf Bagemihl, "Francesco Botticini's Palmieri Altar-Piece", The Burlington Magazine 138 No. 1118 (May 1996), pp. 308-314.
- ↑ Giuseppe Flavo, Paul Grendler (ed.). "Palmieri, Matteo" in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1999, volume 3, pp. 376-377. ISBN 0-684-80514-6
- ↑ Giuseppe Flavo, Paul Grendler (ed.). "Palmieri, Matteo" in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1999, volume 3, pp. 376-377. ISBN 0-684-80514-6
- ↑ 가 나 Giuseppe Flavo, Paul Grendler (ed.). "Palmieri, Matteo" in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1999, volume 3, pp. 376-377. ISBN 0-684-80514-6
- ↑ Specifics are discussed in Claudio Finzi, Matteo Palmieri: dalla 'Vita Civile' alla 'Cittàdi Vita' (Rome) 1984.
외부 링크
[편집]- De temporibus by Matteo Palmieri (1459), digitized codex, at Somni
위키미디어 공용에 마테오 팔미에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