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틴 구츠윌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틴 구츠윌러
출생 1925년 10월 12일(1925-10-12)[1]
스위스 바젤
사망 2014년 3월 3일(2014-03-03)(88세)
뉴멕시코주 리오 랜초
교육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1]
캔자스 대학교
출신 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1]
캔자스 대학교
주요 업적 구츠윌러 근사
구츠윌러 발자취 공식
하다마르-구츠윌러 모델
허바드 모델
수상 대니 하이너먼 수리물리학상 (1993)
막스 플랑크 메달 (2003)
분야 양자 혼돈, 복잡계
소속 IBM, 컬럼비아 대학교, 예일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 막스 드레스덴
기타 지도교수 막스 드레스덴

마틴 찰스 구츠윌러(Martin Charles Gutzwiller, 1925년 10월 12일~2014년 3월 3일[2])는 장이론, 양자 혼돈, 복잡계에 대한 연구로 알려진 스위스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다. 경력의 대부분을 IBM 리서치에서 보냈고, 예일 대학교 물리학과의 겸임 교수였다.

생애

[편집]

1925년 10월 12일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났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졸업 학위를 받았으며 그곳에서 볼프강 파울리 밑에서 양자 물리학을 공부했다. 그 후 캔자스 대학교로 가서 막스 드레스덴 밑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마쳤다. 졸업 후 브라운보베리앤시에서 마이크로파 공학을, 셸 오일에서 지구물리학을, 그리고 1993년 은퇴할 때까지 스위스, 뉴욕시, 요크타운 하이츠의 IBM 리서치에서 일했다. 또한 컬럼비아 대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파리 오르세,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임시 교직을 맡았다. 1987년부터 1993년까지 국제순수 및 응용물리학연맹의 수리물리학 위원회 부의장을 지냈다. 1993년 예일 대학교에 겸임 교수로 합류하여 은퇴할 때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1]

과학적 연구

[편집]

구츠윌러는 강한 국소 상호작용을 가진 전자를 단순한 다중 전자 파동 함수에 상관 연산자("구츠윌러 투영")가 작용하는 구츠윌러 파동 함수로 기술하는 구츠윌러 근사를 공식화했다. 또한 혼돈 시스템에서 고전 역학과 양자 역학 사이의 관계를 처음으로 조사했다. 그 맥락에서 시스템의 주기적 궤도로부터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주기적 궤도 이론의 주요 결과인 구츠빌러 발자취 공식을 개발했다. 이 주제에 대한 고전적인 단행본인 "고전 및 양자 역학에서의 혼돈(Chaos in Classical and Quantum Mechanics, 1990)"의 저자이다.

구츠윌러는 장이론, 파동 전파, 결정물리학, 천체 역학 분야에서 수학적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이론 물리학에 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막스 플랑크 복잡계 물리학 연구소(MPIPKS)는 매년 마틴 구츠윌러 펠로우십(Martin Gutzwiller Fellowship)을 수여하여 이 분야의 뛰어난 연구를 인정하고 장려한다.[3]

책 수집

[편집]

구츠윌러는 과학사에 대한 열렬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천문학과 역학에 대한 귀중한 희귀 서적 컬렉션을 소장하게 되었다. 그가 사망한 직후 그의 컬렉션은 뉴욕시의 스완 갤러리에서 경매에 부쳐졌다. 경매는 2014년 4월 3일에 열렸으며 총 341,788달러를 모금했다.[4]

영예

[편집]

각주

[편집]
  1. “Array of Contemporary American Physicists”. 2014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1일에 확인함. 
  2. Directory entr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3. “Martin Gutzwiller Fellowship”. 2012년 3월 1일에 확인함. 
  4. Auction Report 보관됨 2014-05-19 - 웨이백 머신, Americana Exchange
  5. “1993 Dannie Heineman Prize for Mathematical Physics Recipient”. 2012년 3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