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즈기르트
말라즈기르트(언어 오류(ku-latn): Melezgir;[1] 아르메니아어: Մանազկերտ 마나즈케르트; 언어 오류(grc-x-medieval): Ματζιέρτη 마치에르테[2]), 역사적으로 만지케르트(언어 오류(grc-x-medieval): Μαντζικέρτ)로 알려진 이곳은 튀르키예 무시주에 있는 도시이다. 이곳은 말라즈기르트구의 중심지이다.[3] 인구는 18,873명(2022년)이다.[4] 주로 쿠르드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수의 이슬람화된 아르메니아인이 거주한다.[5]
이곳은 1071년 동로마 제국과 셀주크 튀르크 간의 만지케르트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도시에는 말라즈기르트성이 있으며, 동로마 제국과 셀주크 국가가 수십 차례 전투를 벌였다.
역사
[편집]
건립
[편집]이 정착지는 철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타데보스 하코뱐에 따르면, 이곳은 우라르투의 왕 메누아스 (재위 기원전 810–785년)의 통치 기간에 세워졌다.[6] 아르메니아어 이름 마나즈케르트는 마나바즈케르트 (아르메니아어: Մանավազկերտ)에서 줄여진 것으로 추정된다.[6] 그리스어로는 Μαντζικέρτ 또는 Ματζιέρτη로 채택되었다. 접미사 -케르트는 아르메니아 지명에서 "에 의해 건설된"이라는 의미로 자주 발견된다. 모브세스 호레나치에 따르면, 만지케르트는 아르메니아인의 전설적인 조상이자 시조인 하이크의 아들 중 한 명인 마나즈에 의해 설립되었다.[7]
중세
[편집]만지케르트 주변 지역은 하이크의 후손을 자처하는 아르메니아 나하러러 가문인 마나바잔 가문이 소유했으나, 서기 333년에 아르메니아의 호스로브 3세 아르샤쿠니 왕이 가문의 모든 구성원을 처형하도록 명령했다.[6] 그는 나중에 이 땅을 다른 가문인 아그비아노시안 가문에 수여했다. 만지케르트는 요새화된 도시였으며,[8] 고대 고대 아르메니아 왕국의 투루베란 지방 아파후니크 칸톤에 위치한 중요한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7세기에 아르메니아에 대한 아랍 침략 이후, 이곳은 또한 860년경부터 964년까지 카이사이트 토후국의 수도 역할을 했다.[9] 만지케르트는 726년 만지케르트 공의회가 열린 장소였다.
771–772년 아르메니아 반란 이후, 압바스 정부는 아랍 부족의 이 지역으로의 이주를 장려하여 만지케르트 근처에 아랍 부족이 정착하게 되었다.[10] 압바스 통치하에서 이 도시는 상업 및 산업의 주요 중심지였으며 소아시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10] 이러한 번영은 13세기경까지 지속되었다.[10] 968년에 동로마 장군 바르다스 포카스가 만지케르트를 점령하여 동로마의 바스프라카니아 (바스푸라칸) 카테파노에 편입되었다.[11] 1054년에 셀주크 튀르크는 도시를 점령하려 시도했으나, 바실 아포카페스의 지휘 아래 도시 수비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만지케르트 전투는 1071년 8월 이 도시 근처에서 벌어졌다. 동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결정적인 패배 중 하나로, 셀주크 술탄 알프 아르슬란이 로마노스 디오게네스 황제를 물리치고 사로잡았으며, 이는 아르메니아와 아나톨리아의 민족적, 종교적 변화와 룸 술탄국 및 이후 오스만 제국과 튀르키예 공화국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셀주크인들은 만지케르트 자체를 약탈하고 많은 주민을 학살하며 도시를 불태웠다.[6] 도시 성벽은 12세기와 아마도 13세기에 셀주크 통치하에서 대대적으로 재건되었다.[10] 기본적인 디자인은 작은 반원형 탑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막벽이다.[10] 성벽은 18세기 말경까지 완전히 보존된 것으로 보인다.[10]
근현대
[편집]1903년 4월, 만지케르트는 약 3500명의 사망자와 12,000채의 건물을 파괴한 지진이 발생한 곳이다.[12]
1915년 만지케르트는 비틀리스 주의 일부였으며 인구는 5,000명으로, 대다수가 아르메니아인이었다.[6] 도시의 경제는 곡물 재배, 무역 및 수공예품 생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아르메니아 교회 두 곳, 삼단 성모 마리아 교회(Yerek Khoran Surb Astvatsatsin)와 성 조지 교회(Surb Gevork, H. F. B. 린치에 의해 성 세르기우스로 불림)[13], 그리고 아르메니아 학교 한 곳이 있었다.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 당시 다른 많은 마을과 마찬가지로, 아르메니아 인구는 뿌리 뽑히고 학살을 당했다.[14]
기후
[편집]말라즈기르트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로, 덥고 건조한 여름, 매우 추운 겨울, 비가 오는 봄이 특징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Dsa로 분류된다.[15]
말라즈기르트 (1991–202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5 (25.7) |
−1.5 (29.3) |
5.6 (42.1) |
14.6 (58.3) |
20.6 (69.1) |
27.0 (80.6) |
32.1 (89.8) |
32.7 (90.9) |
27.5 (81.5) |
19.6 (67.3) |
9.4 (48.9) |
0.4 (32.7) |
15.4 (59.7) |
일일 평균 기온 °C (°F) | −9.0 (15.8) |
−7.2 (19.0) |
−0.1 (31.8) |
7.9 (46.2) |
13.1 (55.6) |
18.1 (64.6) |
22.5 (72.5) |
22.7 (72.9) |
17.4 (63.3) |
10.8 (51.4) |
2.3 (36.1) |
−4.8 (23.4) |
7.9 (46.2)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3.5 (7.7) |
−11.9 (10.6) |
−4.8 (23.4) |
2.1 (35.8) |
6.1 (43.0) |
9.1 (48.4) |
12.7 (54.9) |
12.5 (54.5) |
7.8 (46.0) |
3.5 (38.3) |
−3.0 (26.6) |
−8.8 (16.2) |
1.0 (33.8)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4.51 (1.36) |
39.3 (1.55) |
54.16 (2.13) |
78.17 (3.08) |
77.27 (3.04) |
26.19 (1.03) |
11.34 (0.45) |
3.83 (0.15) |
13.56 (0.53) |
41.51 (1.63) |
43.62 (1.72) |
40.75 (1.60) |
464.21 (18.28)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6.4 | 7.1 | 9.4 | 10.8 | 10.7 | 4.4 | 2.6 | 1.7 | 2.4 | 6.3 | 6.7 | 7.2 | 75.7 |
평균 상대 습도 (%) | 71.6 | 69.9 | 67.3 | 59.4 | 56.7 | 48.3 | 40.2 | 36.9 | 41.7 | 55.4 | 64.8 | 72.0 | 57.0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59.1 | 81.0 | 133.1 | 176.7 | 246.1 | 289.6 | 303.1 | 282.8 | 244.2 | 179.8 | 114.3 | 55.2 | 2,165.1 |
출처: NOAA[16] |
지질학 및 지형학
[편집]제말베르디산맥은 말라즈기르트 평원의 동쪽에 위치한다.[17]
관광
[편집]말라즈기르트의 관광지는 역사적인 말라즈기르트성과 카즈호이다.[18]
경제
[편집]말라즈기르트의 지하수에서 얻는 소금은 이 지역 경제에 크게 기여한다.[19]
인구 통계
[편집]콘스탄티노폴리스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에 따르면, 1914년 만지케르트의 카자에는 11,931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살았으며, 25개의 교회와 45개의 수도원, 15개의 학교가 있었다.[20] 도시의 인구는 5,000명이었으며, 대부분이 아르메니아인이었다.[20]
말라즈기르트에는 여전히 소수의 쿠르드화된 이슬람 아르메니아 가구가 남아있다.[20]
각주
[편집]- ↑ Adem, Avcıkıran (2009). 《Kürtçe Anamnez Anamneza bi Kurmancî》 (튀르키예어, 쿠르드어). 56쪽.
- ↑ Moulet, Benjamin (2016년 12월 15일), “Chapitre I. Hiérarchie ecclésiastique et maillage du territoire” (프랑스어), 《Évêques, pouvoir et société à Byzance (viiie-xie siècle) : Territoires, communautés et individus dans la société provinciale byzantine》, Byzantina Sorbonensia (Paris: Éditions de la Sorbonne), 39–126쪽, ISBN 978-2-85944-831-8, 2021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İlçe Belediyesi 보관됨 2015-07-06 - 웨이백 머신, Turkey Civil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ventory. Retrieved 22 May 2023.
- ↑ “Address-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ADNKS) results dated 31 December 2022, Favorite Reports” (XLS) (영어). TÜİK. 2023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Kaza Malazgirt”. 2023년 3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아르메니아어) 하코뱐, 타데보스 크. «Մանզիկերտ» [만지케르트].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백과사전. 예레반: 아르메니아 과학 아카데미, 1981, vol. 7, pp. 210-211.
- ↑ 모브세스 호레나치. 아르메니아의 역사. 로버트 W. 톰슨 번역 및 주석.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78, I.12.
- ↑ Leiser, Gary. "Manzikert" in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Josef W. Meri (ed.) London: Routledge, 2005, pp. 476-477, ISBN 0-415-96690-6.
- ↑ See 아람 테르-게본디안, The Arab Emirates in Bagratid Armenia. Trans. Nina G. Garsoïan. Lisbon: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1976.
- ↑ 가 나 다 라 마 바 Sinclair, T.A. (1989). 《Eastern Turkey: An Architectural & Archaeological Survey, Volume I》. Pindar Press. 98, 286–7쪽. ISBN 9780907132325.
- ↑ Ter-Ghewondyan. Arab Emirates, p. 115.
- ↑ “Today in Earthquake History”. 《earthquake.usgs.gov》. 2020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H. F. B. 린치. 아르메니아, 여행 및 연구. 2 vols. 런던: 롱맨즈, 1901, vol. 2, pp. 270-73.
- ↑ 레이몬드 케볼키안. 아르메니아 집단학살: 역사 (런던: I.B. 토리스, 2011), pp. 349-50.
- ↑ “Malazgirt climate”. 《Climate data》. 2024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Malazgirt”.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Geomorphological properties of Bulanık-Malazgirt basin (Muş)” (튀르키예어). 이스탄불 대학교. 2019년 5월 14일. 1쪽.
- ↑ “60 dakikalık Muş il brifingi” (PDF) (튀르키예어). Muş Valiliği. February 2017. 36쪽.
- ↑ “Muş'ta kaynak sularından elde edilen tuz yurdun dört bir yanina gonderiliyor” (튀르키예어). 아나돌루 통신. 2021년 6월 14일. 2022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Kaza Malazgirt / Մանազկերտ - Manazkert / Manzikert / Manavazakert” (미국 영어). 《Virtual Genocide Memorial》. 2023년 9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