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글루민안티몬제제
보이기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Hydroxy-dioxostiborane; (2R,3R,4R,5S)-6-methylaminohexane-1,2,3,4,5-pentol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33-51-7 |
ATC 코드 | P01CB01 QP51DX01 |
PubChem | 64953 |
ChemSpider | 58479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Variable |
분자량 | Variable |
유의어 | Meglumine antimonate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 |
메글루민안티몬제제(Meglumine antimoniate)는 리슈만편모충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의약품이다.[1] 여기에는 내장, 점막 피부, 피부 리슈만편모충증이 포함된다.[1] 근육 주사 또는 감염 부위에 주사하여 투여한다.[1]
부작용으로는 식욕 부진, 메스꺼움, 복통, 기침, 피로감, 근육통, 부정맥, 신부전 등이 있다.[1] 심각한 심장, 간 또는 신장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1] 모유 수유 중에는 권장되지 않는다.[1] 오가 안티몬제제로 알려진 의약품 그룹에 속한다.[1]
메글루민안티몬제제는 1946년에 의료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3] 남유럽과 라틴아메리카에서는 구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구할 수 없다.[4][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183쪽.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 ↑ Sneader W (2005). 〈Chemical Medicines〉. 《Drug Discovery: A History》 (영어). John Wiley & Sons. 59쪽. ISBN 9780470015520.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Wolfe M (2010). 〈Antiparasitic Drugs〉. Bope ET, Kellerman RD, Rakel RE. 《Conn's Current Therapy 2011: Expert Consult》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95쪽. ISBN 978-1437735727.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Gorbach SL, Bartlett JG, Blacklow NR (2004). 《Infectious Diseases》 (영어).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55쪽. ISBN 9780781733717.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