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살리안파
메살리안파(Messalians) 또는 에우키테스파(Euchites)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하여 소아시아(현재의 터키)와 트라키아로 퍼진 기독교의 종파였다. "메살리안"이라는 이름은 "기도하는 자"를 의미하는 시리아어 ܡܨܠܝܢܐ (mṣallyānā)에서 온 것이며, "에우키테스"라는 이름은 같은 뜻의 헬라어 εὐχίτης (euchitēs)에서 온 것이다.[1]
역사
[편집]이들은 370년대에 시리아의 에프렘[2],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오스[3][4][5], 히에로니무스[6][7]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아티코스, 안티오키아의 테오도투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시시니오스 1세에 의해서도 언급된다.[8] 이들은 기원후 338년(시데, 팜필리아)의 시노드에서 처음으로 이단으로 정죄받았으며, 그들의 행위는 포티오스의 저작에서 지목되고 있다.[9] 그들의 지도자는 스스로 예수라고 자칭하는 베드로라는 사람이었다고 하는데, 그는 신성모독죄로 돌에 맞아 죽기 전, 추종자들에게 자신이 3일 후에 늑대의 모습으로 무덤에서 부활하겠다고 약속했다.[10] 이로 인해 그는 리코페트루스(Lycopetrus) 즉 늑대 베드로라는 칭호로 불렸다.[10] 주류 기독교 지도자들은 무덤에서 베드로가 아니라 변장한 마귀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다.[11]
이 종파는 수세기 동안 계속 지속되어 불가리아의 보고밀파(1027년의 이단 부인 서약서에서 리코페트루스파라는 지칭이 확인됨)에 영향을 미쳤으며,[12][10] 이를 통해 보스니아 교회와 카타리파에도 영향을 미쳤다.[13]
비잔티움의 수도사 미하일 프셀로스는 보고밀파와 에우키테스파가 난교, 근친상간, 동성애를 자행한다고 비난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이러한 난잡한 행위로 태어난 아이들을 8일 후에 사탄숭배 집회에서 사탄에게 바친 후 먹는 식인 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식인행위는 세례를 비꼬는 행위였다고 한다. 후대의 비잔티움 수도원 작가인 에우티미오스 지가베노스(Εὐθύμιος Ζιγαβηνός)도 같은 비난을 했다. 이러한 비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어느 정도까지 사실인지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 논쟁이 있다. 이러한 불경건한 행위의 개념은 과거 특정 영지주의 종파들이 저지른다고 주장되던 관행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사실, 이단들에 관한 이같은 서술 방식은 기독교 시대보다도 이전,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자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대에도 확인된다.[14]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비난 뒤에 하나의 일관적인 이단적 운동이 실존했는지도 의문시하며, 그보다는 메살리아니즘의 금욕주의 관행과 심상주의적인 언어로 인해 동방 정교회에서 일어난 마찰을 강조하는데, 이것이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제국 교회보다는 시리아 기독교에서 전형적인 특징이었기 때문이다.[15]
교리
[편집]이 종파의 가르침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삼위일체의 본질(οὐσία, ousia)은 육체적 감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 삼위의 하느님은 완전한 영혼과 합일하기 위해 자신을 단일한 위격(ὑπόστασις, hypostasis)으로 변형시키셨다.
- 하느님은 인간의 감각에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취하신다.
- 오직 하느님의 그러한 감각 가능한 현시만이 그리스도인에게 완전함을 부여한다.
- 따라서 세상과 열정으로부터의 자유, 곧 완전한 상태는 기도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으며, 교회나 세례 등 온갖 성사를 통해서는 얻을 수 없다. 이러한 성사는 열정이나 영혼에 대한 악의 영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로부터 이 종파의 이름 "기도하는 자"가 유래했다)
메살리안파들은 사람이 일단 신의 본질을 경험하면 도덕적 의무나 교회 규율에서 해방된다고 가르쳤다.[16][17] 그들은 성직자보다 더 존경의 대상이 되는 남녀 교사인 "완전한 자"를 두었다. 다마스쿠스의 요한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티모테오스가 이 종파를 비난한 것은 이 종파가 일종의 신비주의적 유물론을 지지한다는 견지에서였다.[18] 이 종파를 비판하는 기록에서는 이들이 근친상간, 식인, "방탕함"을 행한다고 기록했으나, 현대 학자들은 그 사실 여부를 부정하였다.[1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ayne Smith, Jessie. 《A Compendious Syriac Dictionary》. 294, 478 (for the root)쪽.
- ↑ Ephrem the Syrian, Against the Heresies, 22.4
- ↑ Epiphanius, Ancoratus 13, and Panarion 80
- ↑ Ephrem the Syrian, Against the Heresies, 22.4
- ↑ Jerome, Dialogue against the Pelagians
- ↑ Jerome, Dialogue against the Pelagians
- ↑ Frances Young, From Nicaea to Chalcedon, (2nd edn, 2010), p118
- ↑ Plested 2004, 20–23쪽.
- ↑ Pearse, Roger. “Photius, Bibliotheca or Myriobiblion (Cod. 1-165, Tr. Freese)”.
- ↑ 가 나 다 Janet Hamilton, Bernard Hamilton, Yuri Stoyanov Christian Dualist Heresies in the Byzantine World, C. 650-c. 1450: Selected Sourc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8
- ↑ John Jortin, Remarks on Ecclesiastical History ... Second edition, Volumen 2, 1846
- ↑ M. Loos, Dualist Heresy in the Middle Ages, Volume 10, Academia Publishing, Prague, 1974, p.29
- ↑ Runciman 1947.
- ↑ Jeffrey Burton Russell (1986). 《Lucifer: The Devil in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48쪽. ISBN 0-8014-9429-X.
- ↑ Columba Stewart, 'Working the Heart of the Earth': The Messalian Controversy in History, Texts and Language to AD431, (1991); Frances Young, From Nicaea to Chalcedon, (2nd edn, 2010), p118
- ↑ Lossky 1983, 111–112쪽.
- ↑ Plested 2004, 16–27쪽.
- ↑
Arendzen, John Peter (1911). 〈Messalians〉. 《가톨릭 백과사전》 10. 뉴욕: 로버트 애플턴 사.
- ↑ Salmon, George (1880). 〈Euchites〉. Smith, William; Wace, Henry (편집). 《A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Literature, Sects and Doctrines》 2.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258–261쪽.
참고 문헌
[편집]- Lossky, Vladimir (1983). 《The vision of God》. Crestwood, N.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ISBN 0-913836-19-2. OCLC 10145807.
- Plested, Marcus (2004). 《The Macarian legacy : the place of Macarius-Symeon in the Eastern Christian tradition》. Oxford Theological Monographs.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26779-0. OCLC 56319750.
- Obolensky, Dimitri (2004) [1948]. 《The Bogomils: A Study in Balkan Neo-Manichae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0763-6.
- Runciman, Steven (1947). 《The Medieval Manichee: A Study of the Christian Dualist Heres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