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의 골격식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 분자의 공간 채움 모형
이름
우선명 (PIN)
5-클로로-2-메틸-1,2-싸이아졸-3(2H)-온
별칭
5-클로로-2-메틸아이소싸이아졸-3(2H)-온
5-클로로-2-메틸-4-아이소싸이아졸린-3-온
클로로메틸아이소싸이아졸리논
클로로메틸아이소싸이아졸론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론
CMI
CMIT
MCI
MCIT
CIT
식별자
3D 모델 (JSmol)
1210149
ChEBI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43.167
EC 번호
  • 247-500-7
UNII
  • InChI=1S/C4H4ClNOS/c1-6-4(7)2-3(5)8-6/h2H,1H3 예
    Key: DHNRXBZYEKSXIM-UHFFFAOYSA-N 예
  • InChI=1/C4H4ClNOS/c1-6-4(7)2-3(5)8-6/h2H,1H3
    Key: DHNRXBZYEKSXIM-UHFFFAOYAV
  • ClC=1SN(C(=O)C=1)C
성질
C4H4ClNOS
몰 질량 149.59 g·mol−1
겉보기 흰색 고체
밀도 1.02 g/cm3
녹는점 52 °C (126 °F; 325 K)
혼화성
위험
GHS 그림문자 GHS05: CorrosiveGHS06: ToxicGHS07: HarmfulGHS09: Environmental hazard
신호어 위험
H300, H301, H310, H311, H314, H317, H330, H331, H335, H410
P260, P261, P262, P264, P270, P271, P272, P273, P280, P284, P301+310, P301+330+331, P302+350,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10, P311, P312, P320, P321, P322, P330, P333+313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예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methylchloroisothiazolinone), MCI로도 불리며, S(C2HCl)C(O)N(CH3)의 화학식을 가진 유기 화합물이다. 상온 근처에서 녹는 흰색 고체이다. 이 화합물은 살생제로 사용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의 일종인 아이소싸이아졸리논이다. 이 화합물들은 싸이올 함유 잔기를 산화시킬 수 있는 활성 황 부분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호기성 및 혐기성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다. MCI는 메틸아이소싸이아졸리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혼합물은 카톤(Kathon)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1][2][3]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그람 양성균그람 음성균, 효모, 진균에 효과적이다.

적용

[편집]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많은 수성 개인 위생용품과 화장품에서 발견된다.[2]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1970년대에 화장품에 처음 사용되었다. 또한 접착제 생산, 세제, 페인트, 연료 및 기타 산업 공정에도 사용된다.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메틸아이소싸이아졸리논과 함께 사용될 때 카톤 CG라는 등록 상표명으로 알려져 있다.[3]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에틸파라벤, 염화 벤잘코늄, 브로노폴,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 다른 방부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위험

[편집]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4] 이 방부제가 접촉 알레르겐으로 처음 발표된 것은 1988년이었다.[5] 광악화성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즉 햇빛 노출 후 피부 병변이 악화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4]

순수한 형태 또는 고농도의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피부 및 막 자극제이며 화학적 화상을 유발한다. 미국에서는 헹궈내는 제품(5-클로로-2-메틸아이소싸이아졸-3(2H)-온과 2-메틸아이소싸이아졸-3(2H)-온의 3:1 비율 혼합물)에서 최대 허용 농도가 15 Ppm이다.[6] 캐나다에서는 메틸클로로아이소싸이아졸리논을 메틸아이소싸이아졸리논과 함께 헹궈내는 제품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혼합물의 총 농도는 15 ppm을 초과할 수 없다.[7]

메틸아이소싸이아졸리논은 헹궈내는 제품(0.01%)의 허용량에서는 안전하다고 여겨지며, 민감성을 유발하지 않도록 제조된 리브인 제품에서는 안전하다고 여겨진다.[8]

사건

[편집]

2020년 2월, 항공기 정비 요원이 카톤을 정량의 38배를 사용하여 타이탄 항공 항공기 엔진 2대에 손상을 입힌 사고가 발생했다. 두 엔진이 잇달아 고장 난 후, 에어버스 A321런던 개트윅 공항에 비상 착륙했다.[9] 정비 절차에는 카톤을 부피 기준으로 100 Ppm으로 희석하도록 명시되어 있었지만, 항공기 정비 기술자는 "PPM"이라는 용어에 익숙하지 않았고 항공기 정비 설명서에도 이 용어가 정의되어 있지 않아, 기술자는 온라인 계산기를 사용하여 PPM을 퍼센트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잘못 해석하여 각 날개 탱크에 30kg의 카톤을 추가했다. 이는 필요한 양의 38배가 넘는 양이었다. 다음 날, 카톤은 엔진에 점점 더 많은 손상을 입혔고, 결국 비상 착륙으로 이어졌다.[10]

각주

[편집]
  1. Silva, Vânia; Silva, Cátia; Soares, Pedro; Garrido, E. Manuela; Borges, Fernanda; Garrido, Jorge (2020). 《Isothiazolinone Biocides: Chemistry, Biological, and Toxicity Profiles》. 《Molecules》 25. 991쪽. doi:10.3390/molecules25040991. PMC 7070760. PMID 32102175. 
  2. Reinhard 외 (2001). 《Preservation of products with MCI/MI in Switzerland》. 《Contact Dermatitis》 45. 257–264쪽. doi:10.1034/j.1600-0536.2001.450501.x. PMID 11722483. S2CID 21296570. 
  3. Knudsen BB, Menne T (1990). 《Kathon CG--a new contact sensitizing preservative》. 《Ugeskrift for Læger》 152. 656–657쪽. PMID 2321281. 
  4. Pirmez, R.; Fernandes, A.L.C.; Melo, M.G.M. (2015). 《Photoaggravated contact dermatitis to Kathon CG (methylchloro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A novel pattern of involvement in a growing epidemic?》.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73. 1343–1344쪽. doi:10.1111/bjd.13986. PMID 26130214. S2CID 37257050. 
  5. De Groot, A. C.; Weyland, J. W. (1988). 《Kathon CG: A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18. 350–358쪽. doi:10.1016/s0190-9622(88)70051-1. PMID 3279090. 
  6. “Annex VI release - 26 November 2017 - 201703” (PDF).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7. “Cosmetic Ingredient Hotlist: Prohibited and Restricted Ingredients”. 《Health Canada》. 2004년 6월 18일. 2020년 2월 15일에 확인함. 
  8. Burnett, Christina L.; Bergfeld, Wilma F.; Belsito, Donald V.; Cohen, David; Klaassen, Curtis D.; Liebler, Daniel C.; Marks, James G.; Peterson, Lisa A.; Shank, Ronald C.; Slaga, Thomas J.; Snyder, Paul W.; Heldreth, Bart (2021). 《Amended Safety Assessment of Methylisothiazolinone as Used in Cosme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40. 5S–19S쪽. doi:10.1177/10915818211015795. ISSN 1092-874X. PMID 34259065. 
  9. 카톤이 항공기 엔진을 손상시키다
  10. 항공 안전 보고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