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로비리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로비리국
牟盧卑離國
기타
현재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은 고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마한의 54소국 중 하나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에 있었다. 백제 때는 모량부리현(牟良夫里縣)이라 불렀고,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부터는 고창현이라고 불려,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까지 이어진다. 4세기경에 전라도 부근의 다른 소국들과 함께 백제에 흡수되었다고 여겨진다.

지명

[편집]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의 '모로(당시 발음 mora~mura)'는 마을을 뜻하는 일본어 '무라'와 동계어로 보는 견해[1], 산의 순우리말인 '뫼'의 고형으로 보는 견해[2]가 있다.

모로비리의 '비리(卑離)'는 백제, 신라에서 '벌판(후대에 성으로 의미가 확장됨)'을 뜻하는 지명 접미사인 부리(夫里)·벌(伐/火)과 동계어라는 견해가 국내외 언어학계의 통설이다.[3] 한편 순우리말 지명 중 '벼랑'을 뜻하는 어휘로 중세어 '비레', '비러', '비례', '별ㅎ', 현대어 '비리', '빌', '별', '베리' 등이 확인되기에 이와 관련지어 해석할 여지도 있다.[4] 다만 마한 소국명의 '卑離'를 벼랑으로 해석한 학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학계의 견해에 따르면 국명의 의미는 '마을 벌판' 또는 '산 벌판'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남풍현, 《고대 한국어 연구》, 시간의물레, 2009; "Chapter 3: Old Korean", In Tranter, N. (ed.),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2012.
  2. 도수희,《古代 地名의 改定과 그 功過》,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용비어천가 》: 椵山 피모로.
  3. 도수희, 《백제어 연구》, 아세아문화사, 1977; 김방한, 〈原始 韓半島語〉, 한국문화 1호, 1980; 도수희, 〈「마한어」에 관한 연구〉, 언어 8호, 1987; 河野六郎, 〈三国志に記された東アジアの言語および民族に関する基礎的研究〉, 東洋文庫, 1993; 김종학, 〈古代 地名語素 '忽'에 대하여〉, 지명학 3호, 2000; 김종택, 〈고대 국어 지명접미사 '-pǝl'의 분포 양상〉, 지명학 5호, 2001; 도수희, 《삼한어 연구》, 제이엔씨, 2008; Whitman, J., "Northeast Asian Linguistic Ecology and the Advent of Rice Agriculture in Korea and Japan", Rice, vol. 4, 2011; 남풍현, "Chapter 3: Old Korean", In Tranter, N. (ed.),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2012; Whitman, J., "Chapter 24: Old Korean", In Brown, L. & Yeon, J. (eds.), "The Handbook of Korean Linguistics", Wiley-Blackwell, 2015; 徐燁, 〈韓系 국명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국어사연구 27호, 2018; 伊藤英人, 〈「高句麗地名」中の倭語と韓語〉, 専修人文論集 105号, 2019; 徐燁 & 권인한, "Revisiting jīng 椋 on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vol. 86, no. 3, 2023; 徐燁, 〈고대한국어에 나타난 거주지 단위에 대한 재고찰〉, 국어사연구 38호, 2024.
  4. 미즈노 슌페이, 《'벼랑 관련 어휘'의 분포에 대한 고찰 -『한국지명총람』에 수록된 '벼랑 지명'을 중심으로 -》, 지명학 42, 2025 : 전국 '벼랑'관련 어휘 출현수 - 비리(60), 비레(11), 빌(19), 별(54), 베리(55), 벼루(107), 베루(26) - 조항범(2017), 황금연(2019) 등 참고 ; 일본 지명의 'ひだ', 'ひら'(崖)와 아이누어 지명의 'pira'(崖)가 여기서 비롯한 차용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中嶋弘美 201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