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국의 예루살렘 이스라엘 수도 인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7년 12월 6일, 미국예루살렘이스라엘의 수도로 공식 인정했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 선언에 서명했으며, 이와 함께 텔아비브에 있던 미국 외교 공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도록 명령하여, 이전의 주예루살렘 미국 총영사관 부지에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관을 설립했다.[2][3]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 결정을 환영하고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의 발표를 칭찬했다. 12월 8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트럼프의 성명이 "예루살렘의 최종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국경을 포함한 최종 지위는 양측이 협상하고 결정할 문제임을 분명히 했다"고 밝히며 이 인식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다.[4]

트럼프의 결정은 대부분의 세계 정상들에게 거부당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2월 7일 긴급 회의를 열어 15개 회원국 중 14개국이 이를 규탄했지만, 미국의 거부권으로 인해 안건은 부결되었다.[5] 영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스웨덴 등이 회의에서 트럼프의 결정을 비판한 국가들이었다.[6] 일부 국가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지지하기도 했다. 과테말라는 미국의 인식을 따라 텔아비브에 있던 외교 공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할 의사를 표명했고, 체코, 온두라스, 파라과이, 루마니아도 같은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7] 유럽 연합 (EU)의 외교 정책 수장인 이탈리아 정치인 페데리카 모게리니는 예루살렘 문제에 대해 모든 EU 회원국이 단결되어 있다고 밝히며, 동예루살렘독립적인 팔레스타인 국가의 수도여야 한다는 EU의 확고한 입장을 재확인했다.[8] 2022년 말까지 과테말라, 온두라스, 코소보만이 예루살렘에 이스라엘 외교 공관을 설립했다. 파라과이는 2018년 결정을 수개월 만에 철회했으며, 온두라스 외교부는 자신들의 결정도 철회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9][10]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이번 인정과 이전으로 미국이 평화 협상 중재 자격을 박탈당한다고 밝혔고, 하마스는 트럼프의 선언 이후 이스라엘에 대한 새로운 인티파다의 시작을 촉구했다.[11][12][13] 미국의 발표에 이어 팔레스타인인들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가자 지구 전역에서 시위를 벌였고,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열렸다.[14] 2017년 12월 말까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은 거의 30발의 로켓을 이스라엘을 향해 발사했다. 이 로켓의 거의 절반은 가자지구 내부에 떨어졌지만, 그중 2발은 이스라엘 아슈켈론스데로트 인근에서 경미한 재산 피해를 입혔다. 공격 이후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군사적 보복을 막기 위해 가해 무장단체들을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스라엘의 군사적 보복은 발생하지 않았다.[15][16]

2018년 2월 23일, 미국 국무부는 이스라엘의 새로운 미국 대사관이 그해 5월에 개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7] 대사관은 2018년 5월 14일 예루살렘에서 공식적으로 개관되었는데, 이 날은 이스라엘의 70번째 욤 하아츠마우트와 일치하는 날이었다. 이 행사에는 오스트리아, 체코, 루마니아 등 EU 회원국을 포함해 32개국의 대표들이 참석했다.[18] 가자-이스라엘 장벽을 따라 이스라엘 군은 대규모 팔레스타인 시위에 최루탄과 저격 사격으로 대응하여 최소 58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사망했으며, 이는 프로텍티브 에지 작전 이후 가장 많은 하루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19][20][21] 이스라엘 정부는 시위대가 돌과 폭발물을 던진 것에 대한 필요한 조치였다고 군의 무력 사용을 옹호했다. 1년여 뒤인 2019년 3월 25일, 트럼프 행정부는 또 다른 미국 대통령 선언인 골란고원 이스라엘 영토 인정에 서명했다.

배경

[편집]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동예루살렘을 점령했고 1980년에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자세한 내용은 예루살렘법 참조).[22]

1949년 이스라엘 국가가 건국된 후 미국은 새로운 국가를 인정했지만, 예루살렘의 국제 체제 설립이 바람직하다고 보았고,[23] 최종 지위는 협상을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고 보았다.[24] 미국은 1949년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수도 선언에 반대했고, 1950년 요르단이 예루살렘을 제2의 수도로 만들려는 계획에도 반대했다.[25] 미국은 또한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 병합에도 반대했다.[25] 미국의 공식적인 입장은 예루살렘의 미래가 협상에 의한 해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26] 이후 행정부들은 텔아비브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것과 같이 협상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일방적인 조치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25]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빌 클린턴은 자신의 행정부가 "이스라엘의 수도로서 예루살렘을 지지할 것"이라고 약속했고,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이 "통합된 예루살렘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반복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1993년 오슬로 협정이 체결된 후, 클린턴 행정부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협상에 방해되지 않도록 계획을 진행하지 않았다.[27]

1995년, 의회는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선언하는 예루살렘 대사관법을 통과시켰다.[28] 이 법안은 또한 미국 대사관이 5년 이내에 예루살렘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명시했다.[27] 이 법안을 지지하는 것은 미국의 국내 정치를 반영하는 것으로 일부에서 여겨졌다. 클린턴은 예루살렘 대사관법에 반대했고, 6개월마다 면제 조항에 서명하여 이전을 연기했다.[27]

2000년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조지 W. 부시는 클린턴이 약속한 대로 대사관을 이전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며, 자신이 당선되는 즉시 이 절차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취임하자마자 그는 약속을 철회했다.[27]

2008년, 민주당 후보 버락 오바마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라고 불렀다. 2008년 6월 4일, 오바마는 민주당 후보 지명을 받은 다음 날 첫 외교 정책 연설에서 미국 이스라엘 공공문제위원회 (AIPAC)에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로 남아있을 것이며, 분열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거의 즉시 말을 바꾸어 "음, 분명히 여러 문제들을 협상하는 것은 양측에 달려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예루살렘도 그 협상의 일부가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29]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트럼프의 선거 공약 중 하나는 주텔아비브 미국 대사관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것이었는데, 그는 예루살렘을 "유대 민족의 영원한 수도"라고 묘사했다.[30] 2017년 6월 1일, 트럼프는 1995년 이래 모든 전임 대통령들이 그랬듯이 예루살렘 대사관법에 대한 면제 조항에 서명하여 미국 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을 6개월 더 연기했다. 백악관은 이 조치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합의를 협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약속된 이전은 나중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31]

발표

[편집]
2017년 12월 6일, 예루살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성명

2017년 12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공식 인정하고, 미국 대사관이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될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에서 도널드 트럼프는 동예루살렘을 미래 팔레스타인 국가의 수도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국이 인정한 것이 예루살렘 국경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시가지성지의 현상 유지를 지지한다고 명시적으로 밝혔다.[2] 발표 후 트럼프는 면제 조항에 서명하여 이전을 최소 6개월 더 연기했다.[32]

트럼프의 발표 이후, 터키, 요르단, 독일, 영국의 미국 대사관은 해당 국가들을 여행하거나 거주하는 미국인들에게 보안 경고를 발령했다. 미국은 또한 해외 미국인들에게 폭력 시위 가능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고를 발령했다. 예루살렘의 미국 영사관은 정부 직원들의 구시가지 여행을 제한했다. 요르단의 미국 대사관은 직원들의 수도 외출을 금지했으며, 대사관 직원 자녀들에게는 학교에 가지 말 것을 지시했다.[33]

국무부의 발언

[편집]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나중에 대통령의 성명이 "예루살렘의 최종 지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국경을 포함한 최종 지위는 양 당사자가 협상하고 결정하도록 남겨둘 것임을 매우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4] 국무부 관리들은 12월 8일, 예루살렘에서 태어난 시민들의 여권에 국가를 기재하지 않는 정책(3년 후 변경된 결정[34][35])을 포함하여, 미국이 예루살렘을 다루는 방식에 즉각적인 실질적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통곡의 벽에서 기도하고 있다

통곡의 벽이 어느 나라에 있는지 묻는 질문에, 국무부 대변인 헤더 나우어트는 "우리는 전반적인 국경에 대해 어떤 입장도 취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36]

미국의 국내 반응

[편집]

전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들

[편집]

전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 11명 중 9명은 트럼프의 정책 변화에 비판적이었다. 1959년부터 1961년까지 주이스라엘 대사를 지낸 오그덴 R. 리드는 예외 중 한 명으로 "옳은 결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대사를 지낸 에드워드 S. 워커 주니어 또한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것을 지지하며 "진정한 문제는 이스라엘 국가와 궁극적인 팔레스타인 국가 주변에 어떤 선, 즉 국경이 그어져야 하는지다"라고 말했다. 대니얼 C. 커처는 미국이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다고 언급했으며, 리처드 H. 존스는 대사관 이전이 더 큰 폭력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마틴 S. 인다이크와 같은 여러 전직 대사들은 이스라엘이 정착촌 건설을 늦추고 동예루살렘을 팔레스타인 수도로 인정하는 데 동의한다면 서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것에 열려있다고 밝혔다.[37]

미국 기독교 단체들

[편집]

미국 기독교 단체들은 의견이 갈렸다. 38개 교단을 대표하는 미국 교회 협의회 (NCC)는 정책 변경이 지역 분쟁을 악화시키고 인명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성명을 발표한 반면, 우익 복음주의 단체인 리버티 카운슬은 이 결정을 지지했다.[38] 이 조치는 아메리칸 크리스천 리더스 포 이스라엘, 제리 폴웰, 마이크 허커비를 포함한 많은 보수주의 미국 복음주의 단체와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39] 트럼프의 복음주의 고문 중 한 명인 조니 무어 주니어는 이 발표가 트럼프의 복음주의 유권자층에 대한 선거 공약을 이행한 것이라고 말했다.[40] 또한 국제 기독교 유대인 친교회의 설립자인 랍비 예히엘 엑스타인도 이를 환영했다.[41]

미국 유대인 단체들

[편집]

대부분의 저명한 미국 유대인 단체들은 이 조치를 환영했다.[42] 여기에는 51개 전국 유대인 단체로 구성된 미국 주요 유대인 단체 회의와 그 회원 단체들인 AIPAC, 북미 유대인 연맹, 미국 유대인 의회, 미국 유대인 위원회, 하다사, 미국 정통 유대교 회중 연합, 그리고 젊은 이스라엘 국가 협의회 등이 포함되었다. 보수 운동의 미국, 이스라엘, 전 세계 지부들도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미국을 환영했다.[43] 미국 정통 유대인 회중 연합은 미국 최대의 정통 유대인 대표 단체로, 트럼프에게 "예루살렘 지위에 대한 미국의 역사적인 정책 변화 과정을 시작해 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44]

반명예훼손연맹은 이번 인정이 "중요하고 오래 지연된 일"이라고 말하면서도,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를 계속 표명했다. AIPAC은 "분열되지 않은 예루살렘"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지만, 미국 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프로세스의 결과에 선입견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미국 시온주의 기구를 이끄는 모턴 클라인은 트럼프가 "드디어 명백한 사실을 인정했다"고 말했다. 지몬 비젠탈 센터는 트럼프의 발표가 "역사적인 잘못을 바로잡는 것"이라고 말했다.[45] 이 발표는 공화당 유대인 연합도 환영했다.[41][46]

개혁 유대교 운동은 이를 "시기가 부적절하다"며 "갈등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비난했지만, 동시에 "예루살렘은 유대 민족과 이스라엘 국가의 영원한 수도"이며 "적절한 시기에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대통령의 믿음을 공유한다"고 선언했다.[47][41] 미국 유대인 민주당 위원회도 예루살렘을 분할되지 않은 이스라엘의 수도로 지지했지만, 트럼프가 "팔레스타인인과 이스라엘인 간의 평화를 의미 있게 지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좌파 중동 정책 단체인 J 스트리트는 이번 결정의 타이밍이 "시기상조이며 분열적"이라고 말했다. J 스트리트, 뉴 이스라엘 펀드, 그리고 진보 시온주의 단체인 아메이누는 이번 조치가 중동 평화 노력을 저해하고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41]

다른 미국 단체들

[편집]

2017년 12월, 북미 전역의 130명 이상의 유대학 학자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결정을 비판하며, 미국 정부가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예루살렘의 미래에 대한 팔레스타인인의 정당한 이해관계"를 명확히 할 것을 촉구했다.[48] 하아레츠에 따르면, 이들 학자 중 다수는 트럼프 행정부와 현 이스라엘 정부에 비판적이었다.[49]

미국 무슬림 민권 옹호 단체들은 미국-이슬람 관계 위원회 (CAIR)와 미국 무슬림 공공 문제 협의회 (MPAC)를 포함하여 정책 변경을 거부했다. 12월 5일, 무슬림, 종교간인권 단체들은 백악관 밖에서 시위를 벌였다.[5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반응

[편집]

이스라엘

[편집]
2018년 5월 7일 예루살렘

12월 6일, 트럼프의 성명 직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발표가 "역사적인 이정표"라고 말하며 "용기 있고 정의로운" 결정이라고 칭찬했다. 네타냐후는 발언 도중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포함하지 않는 평화는 없다"고 말하며, 예루살렘이 "거의 70년 동안 이스라엘의 수도였다"고 덧붙였다.[51] 그는 나중에 이 발표에 대한 비난을 들었지만, "이스라엘에 대한 로켓 발사와 우리에 대한 끔찍한 선동에 대한 비난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52]

이번 발표는 예시 아티드, 유대인의 집,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리쿠드 등 좌파, 우파, 중도파 크네세트 의원들로부터 환영받았다. 이츠하크 헤르초그는 이를 "역사적인 정의의 행위"라고 불렀지만, 다음 단계는 "두 국가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조적으로 종교적 시온주의 정당 유대인의 집의 베잘렐 스모트리치는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30년 동안 우리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삼는 함정에 빠졌다. 이제는 다시 생각할 때가 왔다." 시온주의자 연합 지도자인 아비 가바이는 트럼프의 발표를 지지하며,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것이 평화 협정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53][54]

유대교 토라 연합당의 메이르 포루쉬 이스라엘 교육부 차관은 "유대와 사마리아 및 예루살렘의 주택이 필요한 지역에 건물을 짓는 것이 아무 의미 없는 선언보다 낫다"고 말했다. 같은 UTJ 소속인 이스라엘 아이히러도 비슷한 견해를 표명하며 "예루살렘에 미국 대사관 건물 하나를 짓는 것보다 젊은 부부를 위한 주택 1,000채를 짓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대조적으로 좌파 정당 메레츠는 예루살렘 인정은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며, 트럼프의 선언은 "사실상 시온주의 비전과 이스라엘 국가가 세워진 가치를 배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54]

아랍 공동 명단당 소속 하닌 조아비와 아이만 오데는 미국이 더 이상 평화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데는 "트럼프는 방화범이며 그의 광기로 인해 이 지역 전체를 불태울 것"이라고 말했다.[55]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하마스

[편집]

팔레스타인 관리들은 이번 발표로 미국이 평화 협상 자격을 박탈당했다고 말했다.[13] 라미 함달라 팔레스타인 총리는 정책 변화가 "평화 프로세스를 파괴한다"고 말했다.[56]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대통령은 연설에서 이 결정이 미국이 "평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포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51] 리야드 알말리키 팔레스타인 외무장관도 마찬가지로 미국이 분쟁의 당사자가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평화 프로세스의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57] 아드난 알후세이니는 이슬람 협력 기구에 예루살렘을 팔레스타인의 수도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58]

하마스는 새로운 인티파다를 촉구했지만, 예루살렘 내부 팔레스타인인들의 반응은 비교적 조용했다.[59][60] 동예루살렘, 서안 지구, 가자 지구에서 시위가 열렸다. 팔레스타인인들은 도널드 트럼프의 초상화와 인형을 불태웠고, 대사관 이전 항의 시위에서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무함마드 빈 살만의 사진을 찢었다. 이스라엘 군은 2017년 12월 8일 서안 지구에서 3,000명, 가자 지구에서 4,500명이 시위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했다.[61]

예루살렘 발표는 활동가 아흐메드 아부 아르테마가 페이스북에 위대한 귀환 행진 시위의 개요를 제안하는 글을 쓰게 했다.[62] 2018년 3월 말, 가자 지구 국경 울타리를 따라 여러 팔레스타인 캠프에서 이 시위 운동의 일환으로 시위가 벌어졌는데, 이들은 팔레스타인 난민과 그 후손들이 이스라엘 내 옛 집으로 돌아갈 권리, 가자 지구 봉쇄 종식, 그리고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것에 대한 반대를 요구했다.[63] 5월 14일 예루살렘에 미국 대사관이 개관하면서 시위가 크게 확대되었고, 그날 64명의 시위대가 사망했다.[64][65]

예루살렘에 기반을 둔 기독교 교회들

[편집]

2017년 12월 6일, 예루살렘에서 가장 고위 기독교 인사로 널리 인정받는 예루살렘 총대주교 테오필로스 3세는 다른 12명의 성지 교회 지도자들과 함께 트럼프에게 서한을 보내 그의 조치가 "예루살렘과 성지에서 증오, 갈등, 폭력 및 고통을 증가시켜 우리를 통합의 목표에서 멀어지게 하고 파괴적인 분열로 더 깊이 빠지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66] 테오필로스 3세 외에도 예루살렘의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에티오피아콥트 정교회 총대주교들과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사도 행정관이 이 서한에 서명했다. 또한 성지 수호자 프란체스코 수도회, 그리스 멜키트 가톨릭 총대주교좌, 마론파, 성공회, 아르메니아 가톨릭시리아 가톨릭 교회, 그리고 복음주의 루터교도 서명했다.[67]

국제적 반응

[편집]

트럼프의 예루살렘 결정은 세계 정상들로부터 널리 비난받았다. 이에 반대한 유럽의 미국 동맹국으로는 영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가 있다. 반면에 루마니아는 EU의 공식 입장에 반대하며 자국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68][69][70]

교황 프란치스코 또한 모든 국가들이 도시의 "현상 유지를 존중하는" 데 전념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은 중동 지역의 긴장 확대 가능성에 대해 신중을 촉구했다.[56]

유엔

[편집]

발표 전

[편집]

트럼프의 발표 직전인 2017년 11월, 유엔 총회는 예루살렘 결의안에 대해 찬성 151표, 반대 6표, 기권 9표로 표결했다. 이 결의안은 "점령 세력인 이스라엘이 거룩한 도시 예루살렘에 법률, 사법권 및 행정권을 부과하려는 모든 행동은 불법이며 무효이다. 또한 당사국들이 도발적인 행동, 특히 종교적 및 문화적으로 민감한 지역에서의 행동을 자제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예루살렘 성지의 역사적 현상 유지를 존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명시했다. 이는 팔레스타인과 중동에 대한 6개 결의안 중 하나였다.[71]

안전 보장 이사회

[편집]

12월 7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트럼프 결정 규탄 투표는 나머지 14개 회원국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거부권으로 인해 실패했다.[72] 긴급 회의는 볼리비아, 영국, 이집트, 프랑스, 이탈리아, 세네갈, 스웨덴, 우루과이의 요청으로 열렸다.[56] 니키 헤일리 미국 대사는 유엔을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감의 세계 주요 중심지 중 하나"라고 불렀다.[13] 영국, 프랑스, 스웨덴, 이탈리아, 일본은 긴급 회의에서 트럼프의 결정을 비판한 국가들이었다.[6] 12월 18일, 인정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은 미국에 의해 거부되어 14대 1로 부결되었다.[73]

총회

[편집]

2017년 12월 21일, 유엔 총회는 찬성 128표, 반대 9표, 기권 35표, 불참 21표로 결의 ES-10/L.22를 표결하여 예루살렘의 지위에 대한 미국의 선언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규탄하고 다른 국가들에게 예루살렘에 외교 공관을 설치하는 것을 자제할 것을 명령했다.[74] 미국의 NATO 동맹국 중 어느 나라도 이 결의안에 반대하지 않았으며, 29개국 중 25개국이 찬성표를 던졌다.[75]

유럽

[편집]

유럽 연합

[편집]

유럽 연합의 외교 정책 수장 페데리카 모게리니는 EU 회원국 정부들이 예루살렘 문제에 대해 단결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국가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했다.[8] 모게리니는 도시의 최종 지위가 논쟁 중인 동안에는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 병합이 198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된다고 지적했다.[56] 12월 11일, 모게리니는 유럽 국가들이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76]

그러나 오스트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체코 등 EU 국가들은 공식 EU 입장에 반대하며 예루살렘의 미국 대사관 개관 공식 리셉션에 참석했다.[77] 또한 비EU 유럽 국가인 알바니아,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도 개관식에 참석했다.[78]

유럽 정치 정당들

[편집]

트럼프의 예루살렘 인정은 반이슬람 정치인들로부터 일부 유럽의 지지를 받았다.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은 유럽의 반응이 "겁쟁이 같았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반이슬람 정당인 자유당헤이르트 빌더르스 대표는 "자유를 사랑하는 모든 국가들은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분열되지 않은 예루살렘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하인츠크리스티안 슈트라헤 오스트리아 자유당 대표도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고 싶다고 밝혔다.[79]

아랍 및 무슬림 세계

[편집]

사우디아라비아 살만 국왕은 미국 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이 무슬림들에게 "노골적인 도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대통령 압둘팟타흐 시시는 모두 평화 프로세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유사한 우려를 표명했다. 요르단 정부는 트럼프가 국제법과 유엔 헌장을 위반했다고 말했다.[51] 튀르키예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스라엘을 "테러 국가"라고 불렀다.[80]

12월 10일, 아랍 연맹카이로에서 긴급 회의를 열었다. 회의 후, 연맹의 사무총장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는 미국 정책의 변화가 "국제법에 반하며 이스라엘 점령의 합법화에 해당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게이트는 또한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미국의 약속에 의문을 제기했다.[57]

이란은 미국의 발표가 국제 결의안 위반이며 "새로운 인티파다"를 촉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레바논 대통령 미셸 아운은 정책 변경이 평화 프로세스를 탈선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카타르 외무장관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빈 자심 알사니는 이를 "평화를 추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사형 선고"라고 불렀다.[51] 인도네시아 대통령 조코 위도도는 이 결정을 비난하고 미국에 "결정을 재고하라"고 요청했다. 말레이시아 총리 나지브 라자크도 마찬가지로 "우리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영원한 수도로 인정하는 어떤 것도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81]

2017년 12월 13일, 이스탄불에서 열린 이슬람 협력 기구 (OIC) 회의에서 50개 이상의 무슬림 다수 국가들이 트럼프의 결정을 거부하고 규탄하며, 알쿠드스("예루살렘"을 아랍어로)의 자유를 위한 이스탄불 선언을 통과시키고 "동예루살렘을 점령 수도로 하는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의 세계적 인정을 촉구했다.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편향성 때문에 더 이상 중동 평화 프로세스에 참여할 자격이 없으며 "공정한 협상자"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밝혔다.[82][83] 정상회담에서 이스라엘이나 미국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는 없었지만,[84] 뉴욕 타임스는 이 선언을 트럼프의 결정에 대한 "가장 강력한 대응"이라고 불렀다.[85] 이슬람 협력 기구 (OIC)는 회원국들에게 아랍 연맹의 이스라엘 보이콧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86][87]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타와드로스 2세 교황은 미국 결정에 항의하여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의 회담을 취소했다. 콥트 교회는 트럼프의 결정이 "수백만 아랍 민족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88]

지하디스트 운동

[편집]

전 세계의 지하디스트 운동은 무력 투쟁을 촉구하며 응답했다.[89] 북아프리카 알카에다는 모든 전사들에게 팔레스타인 해방을 중심 목표로 삼을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89] 카슈미르 그룹 안사르 가즈와툴힌드는 전 세계 무슬림들에게 미국과 이스라엘 대사관을 공격하고 양국의 금융 이익을 해칠 것을 촉구했다.[89] 이집트 하슴 운동은 봉기를 촉구했다.[89]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 지부는 무슬림들에게 돈과 무기로 팔레스타인인들을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89]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은 미국의 조치를 "반무슬림 편견"이라고 불렀다.[89] 소말리아에 기반을 둔 알샤바브 (소말리아)는 무슬림들에게 무기로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89]

탈레반과 시아파 극단주의 지도자들도 마찬가지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90] 이슬람 국가는 12월 8일, 주로 다른 지하디스트 단체와 아랍 지도자들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들은 경쟁 단체들이 개인적인 의제를 위해 갈등을 정치화한다고 비난했으며, 이스라엘을 "팔찌가 손목을 감싸듯 감싸고, 유대인들을 무자헤딘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주장하며 이스라엘의 아랍 이웃들을 물리쳐야 한다고 주장했다.[90]

중국

[편집]

중국은 역사적으로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를 지지해 왔으며, 트럼프의 발표 이후에도 이러한 입장은 변함없다고 밝혔다.[91] 발표 후 중국 관영 언론은 팔레스타인의 반대와 미국의 유럽 동맹국들 사이에서 지지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장시간 방송을 내보냈다. 중국 뉴스 보도들은 또한 중동의 "불안정과 불확실성"의 위험을 강조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대사관 이전이 이스라엘로 하여금 최종 지위 협상에서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양보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92] 중국 대사관은 발표 후 이스라엘의 안전 상황이 점점 더 복잡하고 긴장되고 있음을 여행객들에게 경고했다.[93]

기타

[편집]

트럼프의 발표 이후 위키백과도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등재했으며, 이 사건은 "뉴스 속보" 섹션에 실렸다. 이 변화는 편집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2017년 12월 현재 영어 위키백과히브리어 위키백과는 예루살렘이 이스라엘의 수도라고 명시한 반면, 아랍어 위키백과의 예루살렘 관련 기사에는 이스라엘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주장하지만, 예루살렘은 점령된 팔레스타인에 위치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94]

발표 후, 우익 시온주의 단체 세계 베타르성전산, 나블루스헤브론에 대한 국제적 인정을 촉구했다.[95]

12월 24일, 과테말라 대통령 지미 모랄레스는 자국이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96] 과테말라 대사관은 미국 대사관이 이전된 지 이틀 후인 5월 16일에 이전되었다.[97] 볼리비아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는 미국의 결정을 비판하며 과테말라가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함으로써 국제 사회를 조롱하고 유엔 결의안을 무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98] 그는 또한 "일부 정부는 USAID의 부스러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존엄성을 제국에 판다"고 주장했다.[99]

여러 국가 정부들은 2018년 5월 14일 주예루살렘 미국 대사관 개관에 직접 반응했다. 일본말레이시아는 이전이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으며,[100][101] 러시아베네수엘라는 이 조치가 기존 국제 협정에 위배된다고 덧붙였다.[102]

2018년 12월 15일, 호주는 서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했지만,[103] 2022년 10월 17일에 다시 철회했다.[104][105]

시위와 폭력

[편집]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편집]
2017년 12월 9일 가자 지구 시위

베들레헴에서는 종교 지도자들이 트럼프의 발표에 항의하기 위해 예수 탄생 기념 성당 밖 크리스마스트리 조명을 3일 동안 껐다.[106] 나사렛은 시위에 항의하여 크리스마스 축제를 축소하고 노래와 춤 공연을 취소했다.[107]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전역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2017년 12월 18일 기준으로 충돌로 인해 9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사망했다.[108] 12월 8일 가자 국경 울타리에서 발생한 폭동에 참여한 시위자 2명이 총에 맞아 사망했다. 14세 팔레스타인 소년은 시위 중 고무탄에 맞아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109]

12월 9일,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로켓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이스라엘 공습으로 하마스 대원 2명이 사망했다. 가자 지구 보건부는 군사 시설을 공격한 공습으로 15명이 부상당했다고 보고했다.[110]

12월 10일, 예루살렘 중앙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한 팔레스타인인에게 이스라엘 경비원이 칼에 찔려 중상을 입었다.[111] 12월 11일, 이스라엘 방위군은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로 로켓 2발이 발사되었다고 보고했다.[112] 12월 12일, 팔레스타인 이슬람 지하드 운동 소속 무장단체 2명이 폭발로 사망했는데, 처음에는 드론 공격으로 알려졌으나 IDF는 이를 부인했고 나중에 이슬람 지하드 성명은 사고였다고 주장했다.[113]

이스라엘 공군은 12월 14일 새벽, 전날 가자에서 발사된 로켓에 대응하여 하마스 시설 3곳을 표적으로 삼았는데, 이 중 한 발은 에슈콜 지역 의회의 들판에 떨어졌고, 2발은 격추되었으며, 1발은 가자 지구 베이트하눈의 학교에 떨어져 교실을 손상시켰다. 팔레스타인 보안 관계자에 따르면, 이스라엘 군이 공격한 하마스 시설들은 큰 피해를 입었고, 인근 일부 주택들도 경미한 피해를 입었으며, 경상자 보고도 있었다.[114]

12월 14일, 이스라엘이 가자 국경 통과를 폐쇄한 후, 수만 명의 팔레스타인인과 무장단체들이 가자 지구에서 하마스 집회에 참석했다. IDF는 케렘 샬롬 교차점에레즈 검문소가 "보안 평가에 따라" 무기한 폐쇄될 것이라고 말했다.[14]

12월 15일 팔레스타인 보건부에 따르면, 격렬한 충돌로 팔레스타인인 4명이 사망했는데, 가자 지구의 장애인 시위자 1명과 서안 지구의 2명(이스라엘 국경 경찰관을 칼로 찌른 공격자 1명 포함)이 사망했다.[115] 보건부에 따르면 충돌로 거의 400명이 부상당했다.[116]

팔레스타인 보건부에 따르면 12월 22일 충돌로 팔레스타인인 2명이 사망하고 120명이 부상당했다. IDF는 가자 국경 울타리에서 2,000명의 시위대가 군대와 대치하며 돌과 불타는 타이어를 던졌다고 성명을 발표했다.[117]

2017년 12월 가자 지구에서 발사된 팔레스타인 로켓 공격은 프로텍티브 에지 작전 이후 이스라엘에 대한 가장 강도 높은 로켓 공격이었다.[118] 2018년 1월 1일 현재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은 이스라엘에 최소 18발의 로켓을 발사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 따르면, IDF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하마스 표적 40곳을 공격했다.[119][120] IDF 참모총장 가디 아이젠코트에 따르면, 2017년 12월에 20발의 로켓이 발사되었다.[121]

가자 지구에서 발사된 로켓 대부분은 이스라엘 영토에 떨어지지 않았지만, 일부는 스데로트아슈켈론과 같은 주거 지역 근처에 떨어졌다. 이스라엘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가자 지구의 하마스 군사 목표물에 대한 공습을 감행했으며, 하아레츠에 따르면 하마스는 추가 로켓 발사를 막기 위해 가자 지구의 살라피스트 무장단체들을 체포하고 아마도 고문했다.[15]

1월 11일 가자 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이스라엘 군과의 충돌로 팔레스타인인 2명이 사망했다. 이스라엘 군은 가자 지구에서 폭동 참가자들이 병력을 위험에 빠뜨렸다고 말했다. 다른 경우에는 군대가 돌 공격을 받은 후 주동자에게 발포했다고 밝혔으나,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관리 가산 다글라스는 이것이 정당한 이유 없는 공격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트럼프 선언 이후 팔레스타인인 사망자는 16명, 이스라엘인 사망자는 1명으로 늘어났다.[122]

무슬림 세계

[편집]
2017년 12월 7일 요르단 암만에 있는 미국 대사관 앞에서 연좌 농성
2017년 12월 13일 이란 테헤란 시위

발표 후 이란, 요르단, 튀니지, 소말리아, 예멘,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시위가 벌어졌다.[14] 시위와 충돌은 12월 10일까지 계속되었다. 베이루트 근처 레바논 주재 미국 대사관 밖에서는 시위자들이 돌과 병을 던지며 최루탄과 물대포를 사용하는 레바논 보안군과 충돌했다.[76]

암만에 있는 미국 대사관 밖에서 수백 명이 시위를 벌이며 대사관 폐쇄와 미국 대리대사의 요르단 추방을 요구했다.[123]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있는 주자카르타 미국 대사관 밖에서는 수천 명이 시위를 벌였다.[51] 12월 10일, 모로코 수도 라바트에서 수만 명이 시위를 벌였다.[124]

12월 11일, 레바논 헤즈볼라의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는 이 단체가 다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랍 국가들에게 평화 프로세스를 포기하고 새로운 팔레스타인 봉기를 촉구했다.[125] 같은 날, 수천 명의 헤즈볼라 지지자들이 베이루트에서 시위를 벌이며 팔레스타인 국기와 헤즈볼라 깃발을 흔들며 "미국에 죽음을! 이스라엘에 죽음을!"을 외쳤다.[76]

베이루트 집회에서 수천 명의 헤즈볼라 지지자들이 시위를 벌이며 "미국에 죽음을!"과 "이스라엘에 죽음을!"을 외쳤다. 수백 명의 이란 보수주의자들이 테헤란에서 미국 결정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미국은 살인자", "팔레스타인 어머니들이 자녀를 잃고 있다", "미국에 죽음을"과 같은 가사를 추가한 음악을 틀었다.[126]

12월 17일 자카르타에서 약 8만 명이 이번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에서 10일 연속으로 이어진 시위였다. 무슬림 성직자들은 미국 제품 불매 운동을 촉구했다. 인도네시아 울라마 협의회의 주요 무슬림 성직자인 안와르 압바스는 불매 운동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낭독했다.[127]

12월 27일, 이란 정부는 팔레스타인 수도를 예루살렘으로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최초의 무슬림 국가가 되었다.[128][129]

미국

[편집]
2017년 12월 16일 미국 워싱턴 D.C. 시위

수백 명의 무슬림들이 미국 무슬림 단체들의 요청에 따라 백악관 밖에서 금요 대예배를 드렸다. 그들은 팔레스타인 케피예 또는 팔레스타인 국기의 색깔을 입고, 시위자들은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존재를 비난하는 피켓을 들고 있었다.[130]

타임스 스퀘어에서는 친팔레스타인 시위자 수백 명이 7번가 인도에 모여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일부 친이스라엘 반대 시위자들도 근처에 모였다. 양측이 여러 지점에서 대치하면서 밀고 당기는 상황이 보고되었다. 한 명이 경찰에 의해 구금되었다.[131]

ISIL을 찬양하는 페이스북 게시물에 참여했던 전 미국 해병대원은 크리스마스를 겨냥한 샌프란시스코 피어 39에 대한 ISIL에서 영감을 받은 테러 계획으로 체포되었다. 그는 트럼프의 결정을 계획의 이유 중 하나로 언급했다.[132]

유럽

[편집]

12월 8일 헤이그 주헤이그 미국 대사관 밖에서 시위자들이 반이스라엘 및 친팔레스타인 구호를 외쳤다. 시위자들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트럼프의 결정을 "정치적, 외교적, 도덕적 가치에 반한다"고 비난했다. 그들은 또한 "이슬람혐오, 외국인 혐오, 인종차별적이고 포퓰리스트적인 담론 및 주변화로 알려진" 트럼프가 그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주장했다.[133]

2017년 12월 9일 프랑스 파리 시위

베를린 주베를린 미국 대사관 근처 브란덴부르크 문 밖에서 천 명 이상의 반이스라엘 및 반미 시위자들이 시위를 벌였다. 12월 10일, 약 2,500명의 시위대가 베를린 노이쾰른 지구를 행진하며 다윗의 별이 그려진 깃발을 불태웠다. 11명이 구금되어 형사 범죄로 기소되었다. 이스라엘 상징을 불태우는 행위는 독일 지도자들에 의해 비난받았다.[134]

같은 날 런던 주영국 미국 대사관 밖에서 수천 명이 시위를 벌였는데, 주최 측은 3,000명의 시위자들이 친팔레스타인 구호를 외쳤다고 주장했다. 맨체스터, 브리스틀, 버밍엄, 노팅엄, 더블린, 벨파스트, 데리 시에서도 시위가 열렸다.[135]

12월 8일 스톡홀름 시위 중 이스라엘 국기가 불에 탔다.[136] 말뫼에서 열린 시위 행진 중 스베리예스 라디오는 시위자들이 "말뫼에서 인티파다를 선언했다. 우리는 자유를 되찾기를 원하며 유대인들을 쏠 것이다"라고 외쳤다고 보도했다.[137][138]

12월 9일, 12명의 남성이 예테보리 유대교회당화염병을 던졌다.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고, 건물 안에 있던 사람들은 지하실에 숨었다. 이 사건은 친팔레스타인 시위 이후에 발생했다.[139] 나중에 3명이 이 공격으로 체포되었다. 스웨덴 총리 스테판 뢰벤과 다른 최고 정치인들은 이 공격을 비난했다.[140] 12월 11일, 말뫼의 유대인 묘지 예배당이 방화 시도 표적이 되었다.[138][141] 베를린, 예테보리, 빈 시위에서도 "이스라엘에 죽음을"과 "유대인들을 학살하라"와 같은 반유대주의 구호가 들렸다.[142]

기타 국가들

[편집]

12월 16일 리브르빌에서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의 덴마크 기자 2명이 이슬람주의자에 의해 칼에 찔려 부상당했다고 가봉 국방부 장관 에티엔 카빈다 마카가가 밝혔다. 체포된 공격자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한 미국에 대한 보복 공격을 감행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143]

12월 22일, 스리랑카 팔레스타인 의회 친선 협회(SLPPFA)는 스리랑카 보건부 장관 라지타 세나랏네의 주도로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144]

예루살렘으로의 대사관 이전

[편집]
2018년 5월 14일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열린 헌납식

2018년 2월, 미국 정부는 그 해 5월 예루살렘 남부 아르노나 지역에 있는 미국 영사관 건물에 대사관을 개설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로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이 약 1년 앞당겨졌다. 이 이전은 이스라엘 건국 70주년과 맞물려 진행될 예정이었다.[145][146]

2018년 5월 14일 대사관 개관식에 참석한 미국 대표단에는 트럼프 행정부 관리인 스티븐 므누신, 이방카 트럼프, 재러드 쿠슈너와 함께 로버트 제프레스와 존 헤이지가 포함되었다.[147]

양당 의원들은 이 조치를 칭찬했다. 민주당 상원 소수당 원내대표 척 슈머는 이 조치가 "오래 전에 이루어졌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148] 공화당 상원의원 린지 그레이엄테드 크루즈는 미국 대사관 개관식에 참석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방문했다.[149] 이전은 가자 국경 시위가 격화되는 동안 발생했으며 국제적인 비난을 불러일으켰다.[150][151][152]

1844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은 별도의 주예루살렘 미국 총영사관을 유지했는데, 이는 나중에 예루살렘,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공인되었다. 2018년 10월 중순, 미국의 국무장관 마이크 폼페이오는 총영사관이 예루살렘의 새로운 미국 대사관에 합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53] 2019년 3월 4일, 총영사관은 공식적으로 대사관에 합병되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별도의 외교 공관을 두던 미국의 관행이 종료되었다. 총영사관의 옛 아그론 스트리트 부지는 대사관의 팔레스타인 업무과로 재정비될 예정이며, 이곳은 이전의 많은 책임을 맡게 되지만 이제는 미국 대사관에 보고하게 된다. 지금까지 옛 총영사관은 미국 국무부에 직접 보고했다.[154][155][156][15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Proclamation 9683 of December 6, 2017, 82 FR 58331 보관됨 12월 13, 2017 - 웨이백 머신
  2. Landler, Mark (2017년 12월 6일). “Trump Recognizes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and Orders U.S. Embassy to Move”.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20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3. Pappas, Alex (2017년 12월 6일). “Trump officially recognizes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orders embassy move for US”. 《Foxnews.com》.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4. Morello, Carol (2017년 12월 8일). “U.S. Embassy's move to Jerusalem should take at least two years, Tillerson says”.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2019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5. Fassihi, Farnaz (2017년 12월 9일). “Fourteen of 15 Security Council Members Denounce U.S. Stance on Jerusalem”. 《Wall Street Journal》. ISSN 0099-9660. 2018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6. “Trump's recognition of Jerusalem condemned at UN security council meeting”. 《Irish Times》. 2017년 12월 8일. 2017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7. Turner, Ashley (2018년 5월 17일). “After US embassy makes controversial move to Jerusalem, more countries follow its lead”. 《CNBC》. 2019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2일에 확인함. 
  8. Irish, John; Emmott, Robin (2017년 12월 8일). “Trump's Jerusalem plan revives tensions in EU diplomacy”. 《Reuters》. 2018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9. Zion, Ilan Ben (2021년 6월 24일). “Honduras opens embassy in Jerusalem, 4th country to do so”. 《AP NEWS》. 2022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0. Palencia, Gustavo; Madry, Kylie (2022년 8월 8일). Graff, Peter (편집). “Honduras to consider returning Israeli embassy to Tel Aviv from Jerusalem”. 《Reuters》. 2022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1. Williams, Dan; al-Mughrabi, Nidal (2017년 12월 7일). “Hamas calls for Palestinian uprising over Trump's Jerusalem plan”. 《Reuters》.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12. Osborne, Samuel; Stevenson, Chris; Wilts, Alexandra; Batchelor, Tom; Embury-Dennis, Tom (2017년 12월 6일). “Hamas call for new Palestinian uprising in wake of Trump announcement on Jerusalem” (영국 영어). 《The Independent》. 2019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13. “Jerusalem: Trump's envoy Haley berates 'outrageous UN hostility'. 《BBC News》. 2017년 12월 8일. 2019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14. Sezer, Murad; Kucukgocmen, Ali (2017년 12월 9일). Oziel, Clelia (편집). “Erdogan and Macron to urge U.S. to turn back on Jerusalem decision: so”. 《Reuters》. 2019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15. Moore, Jack (2017년 12월 19일). “Hamas is arresting and torturing jihadis to prevent war with Israel”. 《Newsweek》. 201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6. Harel, Amos (2017년 12월 19일). “Hamas Arrests and Tortures Salafi Militants to Curb Gaza Rocket Fire Into Israel”. 《Haaretz》. 2018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9일에 확인함. 
  17. Wilner, Michael (2018년 2월 24일). “U.S. confirms Jerusalem embassy opening in May”. 《Jerusalem Post》. 2018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4일에 확인함. 
  18. Sandhu, Serina (2018년 5월 15일). “The 32 countries that support the US embassy moving to Jerusalem” (영국 영어). 《INews》. 2018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19. Halbfinger, David M.; Kershner, Isabel; Walsh, Declan (2018년 5월 14일). “Israel Kills Dozens at Gaza Border as U.S. Embassy Opens in Jerusalem”. 《The New York Times》. 2019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20. Holmes, Oliver; Balousha, Hazem (2018년 5월 15일). “Israel faces outcry over Gaza killings during Jerusalem embassy protests”. 《The Guardian》. 2018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21. “Israel: Apparent War Crimes in Gaza” (영어). 휴먼 라이츠 워치. 2018년 6월 13일. 2018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22. "East Jerusalem 보관됨 8월 25, 2007 - 웨이백 머신". BBC News.
  23. “See General Assembly, A/L.523/Rev.1, 4 July 1967”. May 14,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December 6, 2017에 확인함. 
  24. Mozgovaya, Natasha; Ravid, Barak (2009년 12월 8일). “U.S.: Only Israel, Palestinians should decide Jerusalem's future”. 《Haaretz》. 2017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25. Mark, Clyde. “Jerusalem: The U.S. Embassy and P.L. 104-45” (PDF). 《CRS Report for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The Library of Congress. 2016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일에 확인함. 
  26. Kredo, Adam (2011년 8월 16일). “Solving the White House photo mystery over 'Jerusalem, Israel' (미국 영어).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3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3일에 확인함. 
  27. Tibon, Amir (2017년 2월 5일). “From Bill Clinton to Trump: The Never-ending Story of the Jerusalem Embassy Move”. 《Haaretz Daily》. 2018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28. Jerusalem Embassy Act of 1995, Pub.L. 104–45, November 8, 1995, 109 Stat. 398.
  29. “Donald Trump: What past US presidents have said about recognising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ABC News》. 2017년 12월 6일. 2017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30. Hanna, Andrew; Saba, Yousef (2017년 12월 15일). “Will Trump move the U.S. Embassy to Jerusalem?”. 《Politico》.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31. Gray, Rosie (2017년 6월 1일). “Trump Didn't Move the U.S. Embassy to Jerusalem—but He Still Might”. 《The Atlantic》.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32. “After Jerusalem recognition, Trump signs waiver delaying embassy move”. 《The Times of Israel》. 2017년 12월 7일. 2018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4일에 확인함. 
  33. “US Jerusalem Consulate in fresh warning to its citizens in wake of Trump speech”. 《더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2017년 12월 9일.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34. “U.S. Citizens Born in Jerusalem”. U.S. State Department. 2020년 10월 29일. 2025년 7월 17일에 확인함. 
  35. Magid, Jacob (2020년 10월 28일). “US to let citizens born in Jerusalem list Israel on their passports — report”. 《Times of Israel》. 2025년 7월 17일에 확인함. 
  36. Korte, Gregory (2017년 12월 8일). “What country is Jerusalem in? Trump's proclamation avoids some thorny questions”. 《USA TODAY》. 2018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37. Chan, Sewell (2017년 12월 7일). “Nearly Every Former U.S. Ambassador to Israel Disagrees With Trump's Jerusalem Decision”.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7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38. Cohen, Debra Nussbaum (2017년 12월 7일). “American Christian Organizations Split in Response to Trump's Jerusalem Move”. 《Haaretz》.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39. “Intense push by US evangelicals helped set stage for Trump's decision on Jerusalem”. 《Jerusalem Post》. 2017년 12월 7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40. Burke, Daniel (2017년 12월 6일). “Why evangelicals are 'ecstatic' about Trump's Jerusalem move”. 《CNN》.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41. “How US Jewish Groups Are Reacting To Trump's Recognition of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The Jerusalem Post》.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42. Lipin, Michael (2017년 12월 7일). “Trump's Jerusalem Move Welcomed by Most Major American Jewish Groups”. 2018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43. Sharon, Jeremy (2017년 12월 11일). “Conservative Movement Backs Trump's Recognition of Jerusalem as Capital of Israel”. 《The Jerusalem Post》. 2018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44. “Union of Orthodox Jewish Congregations of America Applauds President Trump's Historic Change of U.S. Policy toward the Status of Jerusalem – OU Advocacy Center”. 2017년 12월 6일. 2017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45. “U.S. Jewish Groups Divided in Reactions to Trump's Jerusalem Announcement”. 《Haaretz》. 2017년 12월 6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46. “Jewish organizations hail Trump's Jerusalem move”. 《Arutz Sheva》. 2017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47. Cortellessa, Eric (2017년 12월 6일). “Liberal US Jews blast Trump's expected Jerusalem declaration”. 《더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48. “Over 130 US Jewish studies scholars criticize Trump's Jerusalem decision”. Jewish Telegraph Agency. 2017년 12월 10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9. Maltz, Judy (2017년 12월 9일). “Trump's Jerusalem Backlash Continues: Over 100 Jewish Studies Scholars Issue Condemnation”. 《하아레츠》.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0. Ghazali, Abdus Sattar (2017년 12월 7일). “American Muslims reject Trump's move to recognize Jerusalem as capital of Israel”. 《더 밀리 가제트》.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51. “World reacts to Trump move on Jerusalem”. 《BBC News》. 2017년 12월 7일. 2018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2. “US allies round on Trump over Jerusalem”. 《BBC News》. 2017년 12월 10일. 2018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53. Cook, Jonathan (2017년 12월 10일). “How will US Jerusalem move affect Israel's far right?”. 《Al Jazeera》. 2017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54. Harkov, Lahav (2017년 12월 7일). “Knesset Speaker: Thank you, POTUS — now, the rest of the world”. 《Jerusalem Post》.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55. “Labor's Gabbay welcomes Trump's Jerusalem move, urges 'trust-building' measures”. 《Times of Israel》. 2017년 12월 6일.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56. Horowitz, Jason (2017년 12월 6일). “U.N., European Union and Pope Criticize Trump's Jerusalem Announcement”.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8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57. “Arab League condemns US Jerusalem move”. 《Al Jazeera》.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58. Frantzman, Seth J. (2017년 12월 12일). “Palestinian official urges Istanbul summit: Recognize Jerusalem as our capital”. 《Jerusalem Post》.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59. Williams, Dan; al-Mughrabi, Nidal (2017년 12월 7일). “Hamas calls for Palestinian uprising over Trump's Jerusalem plan”. 《Reuters》.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60. Green, Emma (2017년 12월 8일). “Trump Did Not Bring Jerusalem Crashing Down”. 《The Atlantic》.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61. Morris, Loveday; Eglash, Ruth (2017년 12월 8일). “Israeli jets hit Gaza following rocket fire, as protests surge in wake of Trump announcement” (미국 영어).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2018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62. Abu Artema, Ahmed (2018년 5월 14일). “Opinion | I Helped Start the Gaza Protests. I Don't Regret It.” (미국 영어).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8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63. “Why did Palestinians take part in the Great March of Return?” (영국 영어). 《Middle East Monitor》. 2018년 4월 1일. 2018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64. King, Alexandra Zavis, Noga Tarnopolsky, Laura (2018년 5월 14일). “Celebration in Jerusalem as U.S. moves embassy, bloodshed in Gaza as dozens of Palestinians killed”.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18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65. Khoury, Jack (2018년 5월 19일). “Two Palestinians Injured at Friday Gaza Border Protests Die of Wounds” (영어). 《Haaretz》. 2018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66. Sherwood, Harriet (2017년 12월 6일). “What does US recognition of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mean?” (영국 영어).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18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3일에 확인함. 
  67. Surkes, Sue (2017년 12월 6일). “Heads of Jerusalem churches deliver last-minute plea to Trump”. 《더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68. Luca, Ana Maria (2018년 4월 20일). “Romania President Slates Call to Move Embassy to Jerusalem”. 《Balkan Insight》. 2018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7일에 확인함. 
  69. Ahren, Raphael (2018년 4월 20일). “Romania begins process for possible move of its embassy to Jerusalem”. 《The Times of Israel》. 2018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7일에 확인함. 
  70. Ilie, Luiza (2018년 4월 20일). “Romania govt supports moving embassy in Israel to Jerusalem, president concerned”. 《Reuters》. 2018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7일에 확인함. 
  71. 'Declaring Israel's Actions in Syrian Golan, East Jerusalem 'Null and Void', General Assembly Adopts Six Resolutions on Palestine, Middle East”. 《United Nations》. 2018년 11월 30일. 2018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8일에 확인함. 
  72. Fassihi, Farnaz (2017년 12월 9일). “Fourteen of 15 Security Council Members Denounce U.S. Stance on Jerusalem”. 《Wall Street Journal》. ISSN 0099-9660. 2018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73. Beaumont, Peter (2017년 12월 18일). “US outnumbered 14 to 1 as it vetoes UN vote on status of Jerusalem”. 《가디언》. 2017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9일에 확인함. 
  74. Gladstone, Rick (2017년 12월 21일). “Defying Trump, U.N. General Assembly Condemns U.S. Decree on Jerusalem”. 《뉴욕 타임스》. 2021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2일에 확인함. 
  75. “UN Jerusalem resolution: How each country voted”. 《Al Jazeera》.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2일에 확인함. 
  76. Loveluck, Louisa; Haidamous, Suzan (2017년 12월 11일). “Hezbollah rally attracts thousands as Trump's Jerusalem fallout continues”.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2018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77. Landau, Noa (2018년 5월 12일). “The European Countries Expected to Rebel Against EU Policy on U.S. Embassy Move”. 《Haaretz》. 2019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1일에 확인함. 
  78. McCarthy, Niall (2018년 5월 15일). “The Countries That Attended The US Embassy Opening In Jerusalem [Infographic]”. 《Forbes》. 2018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1일에 확인함. 
  79. Taylor, Adam (2017년 12월 11일). “Who supports Trump on Jerusalem? Europe's anti-Islam politicians.”.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80. “Erdogan and Netanyahu exchange insults over Jerusalem” (영어). 《Al Jazeera》. 2018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3일에 확인함. 
  81. Varagur, Krithika (2017년 12월 7일). “Indonesia Slams American Jerusalem Plan” (영어). 《VOA》.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82. McKernan, Bethan (2017년 12월 13일). “Jerusalem latest: Palestinians will not accept any US role in peace process 'from now on', says Mahmoud Abbas”. 《인디펜던트》 (베이루트).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83. Qiblawi, Tamara; Damon, Arwa; Sariyuce, Isil (2017년 12월 13일). “Muslim leaders call for recognition of East Jerusalem as Palestinian capital” (영어). 《CNN》. 2017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3일에 확인함. Leaders from the 57-member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recognized East Jerusalem as the occupied capital of a Palestinian state and called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do the same, according to the final communique from the group's emergency summit on Wednesday 
  84. “Muslim leaders urge world to recognise East Jerusalem as capital of Palestine” (영어). 《France 24》. 2017년 12월 13일. 2017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3일에 확인함. With the Islamic world itself mired in division, the summit fell well short of agreeing any concrete sanctions against Israel or the United States 
  85. Gall, Carlotta (2017년 12월 13일). “Muslim Leaders Declare East Jerusalem the Palestinian Capital” (미국 영어).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9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3일에 확인함. Leaders and officials of Muslim nations declared East Jerusalem the Palestinian capital on Wednesday at a summit meeting in Istanbul, producing the strongest response yet to President Trump’s decision to recognize the city as Israel’s capital. 
  86. Yosephine, Liza (2016년 3월 7일). “OIC calls for ban on Israeli products”. 《The Jakarta Post》. 2018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1일에 확인함. 
  87. “islamic office for the boycott of israel” (PDF). 5 October 2015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8. “Egypt: Coptic pope cancels Pence meeting over Jerusalem”. 《Al Jazeera》. 2017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89. Kanwal Sheikh, Mona (2017년 12월 12일). “Trump's Jerusalem Statements open up a new front for transnational jihadists” (영어). 《덴마크 국제학 연구소》. 2018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1일에 확인함. 
  90. Callimachi, Rukmini (2017년 12월 8일). “Terrorist Groups Vow Bloodshed over Jerusalem Decision. ISIS? Less So.”.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7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91. Zhen, Liu (2017년 12월 6일). “Why is China worried about Trump recognising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92. Idle, Bill (2017년 12월 7일). “China State Media: Sweeping Backlash to Trump's Jerusalem Decision”. 《VOA》.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93. Lo, Kinling (2017년 12월 9일). “Chinese visitors to Israel put on alert as Trump move boosts tensions”.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94. Benjakob, Omer (2017년 12월 7일). “After Trump Move, Jerusalem Battle Now Plays Out on Wikipedia” (영어). 《하아레츠》. 2024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7일에 확인함. 
  95. Zieve, Tamara (2017년 12월 12일). “Right-wing groups call for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emple Mount”. 《The Jerusalem Post》.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8일에 확인함. 
  96. Guatemala Says it Will Relocate its Embassy in Israel to Jerusalem 보관됨 7월 26, 2018 - 웨이백 머신, TIME, December 25, 2017
  97. Heller, Jeffrey; Williams, Dan (2018년 5월 16일). “Guatemala opens embassy in Jerusalem, two days after U.S. move”. 《Reuters》. 2019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5일에 확인함. 
  98. Partlow, Joshua (2017년 12월 28일). “Guatemala and Honduras sided with Trump on Jerusalem. Here's why.”. 《워싱턴 포스트》. 2019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2일에 확인함. 
  99. "Guatemala sold the dignity in exchange for crumbs" criticized Evo Morales decision of transfer of embassy”. 《Prensa Libre》. 2017년 12월 25일. 2019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2일에 확인함. 
  100. “Japan expresses concern at relocation of U.S.-Embassy-in-Israel-to-Jerusalem”. 《Japan Today》. 2018년 5월 15일. 2018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5일에 확인함. 
  101. “Malaysia opposes opening of US embassy in Jerusalem”. 《New Straits Times》. 2018년 5월 15일. 2018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5일에 확인함. 
  102. “Russia, Egypt criticize U.S. embassy relocation to Jerusalem”. 《Xinhua》. 2018년 5월 15일. 2018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5일에 확인함. 
  103. Dellerba, Isabelle; Smolar, Piotr (2018년 12월 15일). “Australia recognizes West Jerusalem as capital of Israel” (프랑스어). 《르 몽드》. 201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5일에 확인함. l’Australie a décidé de reconnaître, samedi 15 décembre, Jérusalem-Ouest comme capitale d’Israël 
  104. Hurst, Daniel (2022년 10월 17일). “Australia quietly drops recognition of West Jerusalem as capital of Israel”. 《the Guardian》. 
  105. Knott, Matthew (2022년 10월 17일). “Australia drops recognition of west Jerusalem as Israeli capital”. 《The Sydney Morning Herald》. 
  106. “Some tourists 'afraid to come' to Bethlehem after Trump's Jerusalem declaration: CBC's Derek Stoffel”. 《CBC News》. 2017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5일에 확인함. 
  107. “Nazareth cuts back Christmas celebrations to protest Trump's Jerusalem”. 《Reuters》. 2017년 12월 14일. 2017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5일에 확인함. 
  108. “UN Security Council to weigh resolution on Jerusalem”. 2017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09. “Palestinian teen in coma after shot with rubber bullet”. 2017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9일에 확인함. 
  110. “Gaza death toll in U.S. embassy violence rises to 4 as Israel responds to rockets”. 《The Washington Post》.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111. “Palestinian critically wounds security guard in Jerusalem stabbing”. 《Jerusalem Post》. 2017년 12월 10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12. IDF RESPONDS TO GAZA ROCKETS WITH ATTACKS ON HAMAS TARGETS 보관됨 12월 24, 2017 - 웨이백 머신, JPost, December 11, 2017
  113. Gaza-based Islamic Jihad Drops Claim of Israeli Drone Strike 보관됨 12월 18, 2017 - 웨이백 머신, Haaretz, December 12, 2017
  114. Tzuri, Matan; Zitun, Yoav (2017년 12월 13일). “IAF attacks 3 Hamas targets in Gaza after rocket fire to Sderot, Eshkol”. 《Ynetnews》. 2017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15. “Four dead, hundreds wounded as protests over Jerusalem hit second week”. 《CNN》. 2017년 12월 15일. 2017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16. “4 Palestinians dead, hundreds injured in clashes ahead of Mike Pence's visit”. 《ABC News》. 2021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17. “Two Palestinians killed in anti-US protests after U.N. vote on Jerusalem-Gaza ministry”. 《Reuters》. 2017년 12월 22일. 2017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18. “Israel strikes Hamas targets in Gaza after Palestinian rocket attacks”. 《Reuters》. 2017년 12월 18일. 2017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19. “Israeli fighter jets strike Hamas facility in retaliation for Gaza rocket fire”. 《i24News》. 2010년 1월 1일. 2018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120. “Israel targets Hamas sites after Gaza rocket attack”. 《Agence-France Presse》 (The National). 2010년 1월 1일. 2018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121. “IDF Chief warns against excessive force in response to Gaza rocket fire”. 《Jerusalem Post》. 2010년 1월 2일. 2018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122. “Two Palestinian teens killed in clashes with Israeli troops”. BBC. 2018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1일에 확인함. 
  123. “Jordanians demand closure of US embassy in Amman”. 《Al Jazeera》.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24. “Tens of thousands rally in Morocco against US Jerusalem move”. 《Times of Israel》. 2017년 12월 10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125. “Hezbollah's Nasrallah says group to focus on Israel”. 《Reuters》. 2017년 12월 11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126. 'Death to America, Israel': thousands of Hezbollah supporters protest in Beirut”. ITV.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27. “Indonesia clerics urge US boycott as 80,000 protest Jerusalem recognition”. 《Times of Israel》.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28. Moore, Jack (2017년 12월 27일). “Iran Recognizes Jerusalem as Palestinian Capital City in Response to Trump Declaration”. 《Newsweek》. 2018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7일에 확인함. 
  129. “Iran assembly recognizes Jerusalem as Palestine capital”. 《Anadolu Agency》. 2019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일에 확인함. 
  130. “Muslims pray outside White House to protest Trump Jerusalem move”. 《Times of Israel》. 2018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1. “Hundreds Protest Against US Jerusalem Move in Times Square”. 《NBC New York》. 2018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2. “Ex-Marine cites Trump's Jerusalem decision in planned ISIS attack on Christmas: FBI”. 《USA Today》. 2017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33. “Protesters in Europe, Africa decry US move on Jerusalem”. Anadolu Agency.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4. “Chancellor Angela Merkel condemns burning of Israeli symbols in Berlin”. 《Deustche Welle》. 2018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5. “Trump's Jerusalem move protested across UK”. Anadolu Agency. 2017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6. “Demonstrators in Stockholm set fire to Israeli flag”. 《The Local》. 2017년 12월 9일.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7. “Anti-Semitic chants heard at Malmö demonstration”. 《The Local》. 2017년 12월 9일. 2017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138. “Second Jewish building in Sweden attacked with firebombs”. 《Times of Israel》. 2017년 12월 12일.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139. Firebombs Hurled at Synagogue in Sweden Following Protests Against Jerusalem 보관됨 12월 17, 2017 - 웨이백 머신, Haaretz, December 10, 2017
  140. “3 people arrested in firebomb attack on Swedish synagogue”. 《The Washington Post》. 2017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41. After second incident, Swedish anti-Semitism watchdog warns of wave of attacks 보관됨 2월 7, 2018 - 웨이백 머신, JTA, December 11, 2017
  142. “Angela Merkel condemns burning of Israeli flags in Berlin”. 《The Irish Times》. 2019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43. “Two Danish journalists wounded in Islamist knife attack in Gabon”. 《Reuters》. 2017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44. “Sri Lanka will stand by Palestine – Rajitha | Daily FT”. 《www.ft.lk》. 
  145. US brings forward Jerusalem embassy opening to May: Ceremony timed to coincide with 70th anniversary of Israel’s independence 보관됨 7월 3, 2018 - 웨이백 머신 The Guardian, 23 February 2018.
  146. US Embassy in Jerusalem to open in May — in time for Israel’s 70th anniversary 보관됨 11월 22, 2018 - 웨이백 머신 The Times of Israel, 23 February 2018.
  147. Robert Jeffress, Pastor Who Said Jews Are Going to Hell, Led Prayer at Jerusalem Embassy 보관됨 1월 17, 2019 - 웨이백 머신 The New York Times, 14 May 2018.
  148. Davis, Julie Hirschfeld (2018년 5월 15일). “Jerusalem Embassy Is a Victory for Trump, and a Complication for Middle East Peace”.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8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5일에 확인함. 
  149. "Chuck Schumer ‘applauds’ Trump for opening Jerusalem embassy 보관됨 9월 28, 2018 - 웨이백 머신". The Times of Israel. 14 May 2018.
  150. In Jerusalem, an embassy opens. In Gaza, at least 58 die on bloodiest day in years: A special dispatch that contrasts violent scenes on the Israeli-Gaza border with celebrations marking opening of the US embassy in Jerusalem 보관됨 5월 15, 2018 - 웨이백 머신 The Independent, 14 May 2018.
  151. World leaders react to US embassy relocation to Jerusalem 보관됨 11월 28, 2018 - 웨이백 머신 Aljazeera, 14 May 2018.
  152. At least fifty-five Palestinians killed by Israeli troops in Gaza protests as US opens Jerusalem embassy 보관됨 5월 16, 2018 - 웨이백 머신 The Telegraph, 14 May 2018.
  153. Pompeo, Mike (2018년 10월 19일). “On the Merging of U.S. Embassy Jerusalem and U.S. Consulate General Jerusalem”. U.S. Consulate General in Jerusalem. 2019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1일에 확인함. 
  154. Palladino, Robert (2019년 3월 4일). “Merger of U.S. Embassy Jerusalem and U.S. Consulate General Jerusalem”. U.S. Embassy in Israel. 2019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4일에 확인함. 
  155. “US closes Jerusalem consulate, demoting Palestinian mission”. 《더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AP (통신사). 2019년 3월 4일. 2019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4일에 확인함. 
  156. Hansler, Jennifer (2019년 3월 4일). “US Consulate in Jerusalem will merge with embassy”. CNN. 2019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4일에 확인함. 
  157. Keinon, Herb; Lazaroff, Tovah (2019년 3월 4일). “US Consulate for Palestinians to be merged with Embassy Monday”. 예루살렘 포스트. 2019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