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코리안타운
미국의 코리아타운은 미국 내 도시·대도시권에 형성된 한국계 이민자·후손의 상업·주거·문화 집적지를 가리킨다. 1904~1905년경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의 ‘파차파 캠프’가 초기 한국인 집단거주지로 확인되며,[1][2] 1965년 이민·국적법 개정(하트–셀러 법) 이후 한국계 유입이 확대되면서 도심 코리도어 또는 교외축을 따라 다양한 유형의 코리아타운이 확산하였다.[3][4] 2023년 추정치 기준 ‘단독 또는 복수 식별’로 약 200만 명이 ‘Korean’으로 집계된다.[5]
명칭과 표기
[편집]영문 일반명은 ‘‘Koreatown’’(약칭 K-Town)이며, 지역에 따라 ‘‘Little Korea/Seoul’’ 등이 병용된다. 뉴욕 맨해튼 32번가 구간은 명예 도로명(co-naming) ‘‘Korea Way’’가 부여되어 있다.[6][7]
배경과 형성
[편집]19세기 말~20세기 초 이민제한 법제 하에서 한국계 규모는 작았으나,[8] 1965년 개정 이후 가족결합·전문인력 위주의 유입이 늘며 도심 상업지와 교외 축선에서 소상공·종교·언론·교육기관을 매개로 집적지가 자생·확대되었다.[3][4]
연혁과 전환점
[편집]- 1904~1905년 – 리버사이드 ‘파차파 캠프’가 미국 최초의 코리아타운으로 연구·전시로 확인.[1][2]
- 1965년 – 이민·국적법 개정으로 아시아계 이민 장벽 완화, 한국계 유입 확대.[3][4]
- 1980년대 – 로스앤젤레스가 현대적 도심형 코리아타운으로 정착(표지 설치 등).[9][10]
- 1992년 – 로스앤젤레스 사태 이후 상권 재편·지역정치 참여가 가속화.[11]
- 2020년대 – 지방정부 차원의 공식 지구화 확산(텍사스 달라스 2023, 캘리포니아 부에나파크 2023, 메릴랜드 엘리컷시티 2021 등).[12][13][14][15]
지리적 분포
[편집]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편집]도심 서부 윌셔 코리도어를 중심으로 형성된 대도시권 대표 코리아타운으로, 1978~1982년 사이 ‘Koreatown’ 명칭의 행정적·상징적 인지가 확립되었다.[10][9] 지역자문기구인 ‘윌셔센터–코리아타운 네이버후드 카운슬(WCKNC)’이 시정 자문을 수행하며 경계·현안 정보를 제공한다.[16]
달라스 (텍사스)
[편집]로열 레인(Royal Ln) 일대 1.5마일 구간이 2023년 텍사스주 상·하원 공동결의(SCR 31)로 ‘‘Koreatown Dallas’’로 지정되었다(유효기간 10년).[13][12] 지정 이후 안내표지·축제 등 지역 브랜딩이 강화되었다.[12]
부에나파크 (캘리포니아)
[편집]오렌지카운티 비치 블러바드(로즈크랜스~오랑스롭) 약 2.5마일 구간이 2023년 시의회 결의로 ‘‘Koreatown’’으로 공식 지정되었으며, 시·주간선도로 표지판이 설치되었다.[14][17][18]
엘리컷시티 (메릴랜드)
[편집]볼티모어 교외 루트40 일대가 카운티·주 차원의 파트너십과 주지사 행사로 ‘‘Koreatown Maryland’’로 공표되었다.[19][15]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KONO)
[편집]텔레그래프 애비뉴 20~35번가 사이가 ‘‘Koreatown-Northgate(KONO)’’ 커뮤니티 베네핏 디스트릭트로 운영되며, 안전·미화·이벤트를 관장한다.[20][21]
맨해튼 32번가 ‘Korea Way’ (뉴욕주)
[편집]미드타운 32번가(5·6애브뉴 사이)가 명예 도로명 ‘‘Korea Way’’로 병기되며, 다층 상업이 밀집한 관광·외식 코리도어를 이룬다.[6][7]
퀸즈 ‘노던 블러바드’ 축 (뉴욕주)
[편집]머레이힐~베이사이드로 이어지는 노던 블러바드 축은 ‘퀸즈 코리아타운’으로 식당·카페·전문점이 고밀 집적한다.[22][23]
팰리세이즈파크 (뉴저지)
[편집]버겐카운티 대표 교외 한인 상권으로, 브로드 애비뉴 일대에 한인 업종이 고밀 분포한다. 최근 기사에서도 ‘‘한국계가 인구 다수를 구성’’한다고 설명된다.[24]
포트리 (뉴저지)
[편집]조지워싱턴브리지와 인접한 고밀 상업·주거지로 한식·카페·K-뷰티 등 업종이 확장되며, 팰리세이즈파크(약칭: 팰팍)와 연계된 교외형 코리아타운권을 이룬다.[25]
애난데일 (버지니아, 워싱턴 D.C. 광역권)
[편집]페어팩스카운티의 상업 활성화지구(CRD)로 지정되어 있으며, 리틀리버 턴파이크를 따라 한인 상권이 형성되었다.[26]
필라델피아(올니)–첼튼햄–업퍼더비 축 (펜실베이니아)
[편집]올니의 5번가 상권과 교외로 확장된 코리도어가 한인 커뮤니티의 거점이며, 지역 비영리기관(KCDSC)이 정착·주거·교육을 지원한다.[27][28]
샌디에이고 ‘컨보이 디스트릭트’ (캘리포니아)
[편집]컨보이 스트리트 일대는 시의회가 범아시아 문화·비즈니스 허브로 인정했으며, 한국계 식당·마트가 밀집해 있다.[29][30]
휴스턴 ‘스프링 브랜치’ (텍사스)
[편집]서북부 스프링 브랜치·롱포인트 로드 축에 코리아타운 성격의 상권이 집중된다.[31][32]
애틀랜타 광역권(귀넷·노스 풀턴 등, 조지아)
[편집]귀넷·둘루스·스와니·존스크릭 등에 한국계 상권·인구가 집중하며, 조지아주 한국계 커뮤니티의 핵심 축을 이룬다(주·카운티 공개자료·통계로 확인).[33][34]
시카고 ‘서울 드라이브’(알버니파크, 일리노이)
[편집]로렌스 애비뉴 구간이 과거 ‘Seoul Drive’로 명명될 만큼 상권이 집중되었고, 이후 교외로의 확산과 함께 기능이 변모하였다.[35][36]
시애틀권(레이크우드·페더럴웨이·린우드, 워싱턴)
[편집]사우스 타코마 웨이(레이크우드)·퍼시픽 하이웨이(페더럴웨이)·SR-99(린우드) 축에 한국계 식당·마트가 다수 분포한다.[37][38][39]
호놀룰루 ‘키아움오쿠(일명 코리아모쿠)’ (하와이)
[편집]키아움오쿠 스트리트 일대가 비공식적으로 ‘Koreamoku’로 불리며, 재개발·이전과 함께 상권이 재편되고 있다.[40][41][42]
보스턴 ‘올스턴’ (매사추세츠)
[편집]올스턴(하버드·브라이턴 애브뉴 축)은 소규모지만 한국 음식점·카페가 밀집해 지역 미식 지형에서 ‘한식 거점’으로 분류된다.[43]
거버넌스·조직과 운영
[편집]코리아타운은 상인회·BID/CBD·네이버후드 카운슬 등 지역기구가 안전·경관·마케팅·행사·복지 연계를 수행한다. LA는 WCKNC가 시정 자문을, 오클랜드는 KONO가 현장 운영을 담당한다.[16][20]
경제·문화 활동
[편집]식음료(한식·K-BBQ·치킨 등)·식료품(대형 한인마트)·K-뷰티·교육·의료·법률·금융 등 소상공·전문 서비스가 다층 상권을 이룬다. 샌디에이고 컨보이는 범(汎)아시아 문화·비즈니스 허브로 지정되었다.[29][30]
지표
[편집]미국 내 한국계는 2023년 기준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되며(단독·복수 식별 포함), 아시아계 하위 집단 중 규모 5위권이다.[5]
대외·국제 활동
[편집]지방정부·상공회의소·문화기관이 축제·관광·청소년·노년 프로그램 등 한–미 지역협력을 추진한다. 공식 지정(달라스·부에나파크·엘리컷시티)은 관광·소비 활성화와 정체성 가시화에 기여한다.[13][12][14][15]
평가
[편집]코리아타운은 이민자 정착 기반이자 다문화 관광지·도시경제 회복 거점으로 평가된다. 명예 도로명·지구 지정은 상권 인지도와 도시 브랜딩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된다.[7][12]
비판과 논란
[편집]일부 도심 지역에서 재개발과 임대시장 변화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퇴거 분쟁이 보고되었다.[44][45] 2020년대 반(反)아시아 혐오 사건 증가는 일부 코리아타운을 포함한 아시아계 커뮤니티의 안전·지원 체계 강화를 요구하게 했다.[46]
유산과 과제
[편집]초기 이민사의 보존(파차파 캠프), 세대교체·디지털 전환, 고령층·이중언어 서비스 확충, 상권 다양화와 주거안정의 균형, 혐오범죄 대응과 지역 신뢰 구축이 공통 과제로 제시된다.[1][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Uncovering the buried past of early Korean American history’ in Riverside”. 《UCR News》. 2021년 4월 27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uried past' of America's first Koreatown uncovered in California's Riverside”. 《PBS NewsHour》. 2021년 11월 16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Fifty Years On, the 1965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Continues to Reshape the United States”.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5년 10월 15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U.S. Immigration Since 1965”. 《History.com》.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Facts about Koreans in the U.S.”. 《Pew Research Center》. 2025년 5월 1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Korea Way (Manhattan)”. 《NYC Honorary Street Name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NYC Honorary Street Names Map”. 《NYC Open Data》.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Restricting Immigration from Asia and the Pacific, 1870s–1965”. 《U.S. National Archive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The History of Koreatown: A Heartbeat of Los Angeles”. 《Los Angeles Public Library》. 2022년 5월 27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Korean Americans in Los Angeles, 1905–1980 (SurveyLA)” (PDF). 《City of Los Angeles Planning》. 2018년 8월.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Significance of Sa-I-Gu”. 《UCLA Asian American Studies Center》.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Dallas celebrates official Koreatown designation”. 《KERA (NPR)》. 2023년 8월 11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exas S.C.R. 31 (Designating Koreatown Dallas)”. 《Texas Legislature Online》. 2023년 7월 6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In officially designating this area as ‘Koreatown’…”. 《City of Buena Park》. 2023년 10월 10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Maryland governor opens Koreatown in Ellicott City”. 《AP News》. 2021년 10월 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Boundary Map (Wilshire Center–Koreatown NC)”. 《EmpowerLA / WCKNC》.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town Freeway Sign Unveiling”. 《City of Buena Park》.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town (Dining Directory)”. 《Visit Buena Park》.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County partnership for “Koreatown””. 《Howard County Government》. 2019년 3월 12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Koreatown Northgate (KONO District)”. 《KONO CBD》.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NO District (About)”. 《Facebook (공식 페이지)》.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19 Standout Korean Restaurants in Murray Hill, Queens”. 《Eater NY》. 2023년 10월 30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New Korean soup spots in Koreatown Queens”. 《Eater NY》. 2025년 2월 18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ns, who make up a majority in Palisades Park…”. 《NorthJersey.com (The Record)》. 2024년 12월 3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Food & Drink News: Fort Lee”. 《New Jersey Monthly》. 2024년 12월 1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Annandale Commercial Revitalization District”. 《Fairfax County Government》.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ns and Korea”. 《Encyclopedia of Greater Philadelphia》.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Services Center”. 《KCDSC》.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City Names Convoy a Pan-Asian Cultural, Business Hub”. 《KPBS》. 2020년 10월 20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Convoy Pan-Asian Cultural & Business Innovation District (시 문서)” (PDF). 《City of San Diego》. 2020년 10월 1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Spring Branch is the Center of Houston’s Korean Community”. 《Houstonia》. 2022년 9월 16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Spring Branch home to Houston’s largest Koreatown district”. 《ABC13 KTRK》. 2019년 9월 3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n-American population (by GA counties)” (PDF). 《KAGC》. 2023.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City Profile (Johns Creek)” (PDF). 《City of Johns Creek》. 2024년 3월.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What Happened To Chicago’s Koreatown?”. 《WBEZ Chicago》. 2017년 7월 12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Legacy & Future of Chicago’s Koreatown”. 《Midstory》. 2022년 2월 12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n dining guide (Lakewood corridor)”. 《The News Tribune》. 2012년 4월 26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n markets spice up Highway 99”. 《The Seattle Times》. 2003년 2월 1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Federal Way’s Korean food scene”. 《Federal Way Mirror》. 2024년 11월 2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eeaumoku, known as Honolulu’s informal Koreatown”. 《Hawaii News Now》. 2023년 12월 28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moku feature”. 《Honolulu Magazine》. 2022년 6월 6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Should lawmakers create a ‘Koreatown’ in Honolulu?”. 《Civil Beat》. 2014년 2월 11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Where to Eat Korean Food in Boston”. 《Eater Boston》. 2025년 5월 5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oreatown apartment owner agrees to pay \$2.5 million in settlement”. 《Los Angeles Times》. 2018년 10월 22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Ellis Act Information”. 《Los Angeles Housing Department》.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National Report (Through Dec 31, 2021)”. 《Stop AAPI Hate》. 2022년 3월 4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