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1966년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源義経)
장르 사극
방송 국가 일본의 기 일본
방송 채널 NHK
방송 기간 1966년 1월 2일 ~ 12월 25일
방송 시간 일요일 20:15 ~ 21:00
방송 분량 45분
방송 횟수 52회
원작 무라카미 켄조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기획 아이카와 아키라
각본 무라카미 겐조
출연자 오노에 키쿠노스케
오가타 켄
후지 슌코
아쿠타가와 히로시
나미노 쿠리코
타나카 하루오
나이토 타케토시
이와이 한시로
토미타 후지오
나카무라 타케야
오오츠카 미치코
야먀구치 타카시
후나키 카즈오
이치무라 타케노쇼
타무라 타카히로
와타나베 미사코
카토 다이스케
나카무라 칸자부로
타츠미 류타로
야마다 이스즈
타무라 마사카즈
타키자와 오사무
여는 곡 타케미츠 토오루
음성 일본어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 미나모토노 요시츠네[*])는 1966년 1월 2일부터 12월 25일까지 일본방송협회에서 제작한 대하드라마로 대하드라마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이다. 방영횟수는 총 52회이다. 주인공은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이자 가마쿠라 막부를 세우는 데 공헌한 무장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이다.

처음으로 원작자가 극본까지 도맡은 작품으로, 전편 《태합기》가 큰 인기를 끌자, NHK에서는 《태합기》의 주연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을 맡았던 오가타 켄을 기용, 무사시보 벤케이 역으로 출연하였다. 극본을 맡은 원작자 무라카미 겐조는 전편의 주연이 잇따라 출연하는 건 옳지 않다며 이치무라 타케노쇼를 추천하였고, 제작프로듀서 아이카와 아키라는 미쿠니 렌타로를 추천하였으나, 이번 드라마의 연출을 맡은 요시다 나오야가 전편 《태합기》도 연출하였기에, 전편에서 인연을 맺은 오가타 켄을 강력히 추천하여 성사되었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역을 맡은 오노에 키쿠노스케는 당시 22세로 2005년까지 대하드라마 역대 최연소 주연배우로 이름을 올렸으며 이는 공교롭게도 2005년 같은 소재를 다룬 《요시쓰네》의 주연 타키자와 히로아키에 의해 깨지게 된다. 또한 요시쓰네의 연인 시즈카고젠 역을 맡은 후지 슌코는 오노에 키쿠노스케와 이 드라마에서 인연을 맺어 결혼하기도 했다.

최고 시청률은 첫회인 32.5%, 평균 시청률은 23.5%였다.

배역

[편집]

겐지

[편집]

헤이지

[편집]

기타

[편집]

영상의 보존 현황

[편집]

본작의 수록에 사용되고 있었던 2인치 VTR은 매우 고가(高價)로 장기 보관에도 적합하지 않은 대형 사이즈였기 때문에 방송 종료 후에 다른 프로그램의 수록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므로 본작의 마스터 테이프도 다른 작품으로의 전용에 수반되는 덮어쓰기 소거에 의해 대부분의 영상이 소실되버렸다. 통상 방송회는 1회, 33회, 최종회만 남아 있다고 여겨지지만, 그마저도 1960년대 대하드라마 작품 중에서는 가장 현존 영상이 많은 것이다. 영상 자료용으로 보관중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3회의 고조 대교(五条大橋)에서의 촬영 풍경을 수록한 영상이 컬러로 현존하고 있다.

총집편이 완전한 형태로 현존한 가장 오래된 작품인 동시에 흑백 작품으로는 유일하게 총집편의 VHSDVD가 시판중인 작품이다. 전술한 현존하고 있는 통상 방송회는 영상 소프트화가 되어 있지 않지만, 2009년 9월과 같은 해 11월부터 12월에 걸쳐 《시대극 전문 채널》에서 방송되었다.

외부 링크

[편집]
NHK 대하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태합기
1965년 1월 4일 ~ 12월 26일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1966년 1월 2일 ~ 12월 25일
세 자매
1967년 1월 1일 ~ 12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