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품 도난
미술품 절도(미술품 도난)는 때때로 아트내핑이라고도 불리며, 미술관, 박물관 또는 기타 공공 및 개인 장소에서 그림, 조각 또는 기타 시각 예술 형태의 작품을 훔치는 행위이다. 도난당한 예술품은 종종 재판매되거나 범죄자들이 대출을 확보하기 위한 담보로 사용된다.[1] 도난당한 미술품 중 회수되는 비율은 10%로 추정될 정도로 매우 적다.[2] 많은 국가에서는 미술품 절도 및 도난 미술품과 성유물의 불법 거래를 수사하기 위해 경찰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3]
유명한 미술품 절도 사건 중에는 1911년 직원 빈센초 페루자가 루브르 박물관에서 모나리자를 훔친 사건이 있다.[4] 또 다른 사건은 2004년 뭉크 미술관에서 절규가 도난당했지만 2006년에 회수된 경우이다.[5] 역대 최대 가치의 미술품 절도는 보스턴의 이저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에서 발생했는데, 1990년에 총 5억 달러 상당의 작품 13점이 도난당했다. 이 사건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대규모 미술품 절도 사건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 대한 나치의 약탈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약탈이 있다.[6]
개인 절도
[편집]많은 도둑들은 가치 있는 미술품이 수백만 달러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무게는 기껏해야 몇 킬로그램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동기 부여를 받는다. 또한, 대부분의 유명 박물관은 보안이 매우 철저하지만, 수백만 달러짜리 미술품 컬렉션을 소장한 많은 장소는 보안 조치가 터무니없이 부실하다.[7] 이는 일반적인 파손 후 강탈보다 약간 더 복잡한 절도에 취약하게 만들지만, 엄청난 잠재적 보상을 제공한다. 도둑들은 때때로 미술계에서 작가의 명성이나 작품의 이론적 가치보다는 작가에 대한 자신의 친숙도를 바탕으로 작품을 노리기도 한다.[8]
불행히도 도둑들에게는 가장 유명하고 가치 있는 작품들을 잡히지 않고 파는 것이 극도로 어렵다. 왜냐하면 관심 있는 구매자는 거의 확실히 그 작품이 도난당했다는 것을 알 것이고, 이를 광고하는 것은 누군가 당국에 연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매자가 도난당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고 방문객에게 작품을 전시하는 것도 어려워, 예술품 소유의 큰 의미를 잃게 된다. 많은 유명 작품들은 암시장 구매자가 부족하여 합법적인 소유주로부터 몸값을 요구하거나 심지어 몸값 없이 반환되기도 했다. 몸값을 받고 반환하는 것 또한 스팅 작전의 위험이 있다.[8]

데이비드 촐몬델리 7세 후작과 같이 상당한 컬렉션을 가진 사람들에게 호튼 홀에서의 절도 위험은 무시할 수 없으며 협상할 수도 없다.[9] 장바티스트 우드리의 하얀 오리는 1990년 호튼 홀의 촐몬델리 컬렉션에서 도난당했다. 이 그림은 아직도 행방불명이다.[10]
박물관에서의 예방
[편집]박물관은 미술품 절도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전시된 물품을 감시할 충분한 안내원이나 경비원을 배치하고, 보안 카메라 시야가 가려지는 상황을 피하며, 너무 얇지 않은 와이어와 잠금장치로 그림을 벽에 고정하는 등의 조치이다.[11]
미술품 절도 교육
[편집]스미소니언 박물관은 매년 워싱턴 D.C.에서 문화재 보호에 관한 전국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 컨퍼런스는 문화재 보호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다.
1996년부터 네덜란드 기반의 박물관 보안 네트워크는 문화재 손실 및 회수 문제와 관련된 소식과 정보를 배포해 왔다. 설립 이후 박물관 보안 네트워크는 문화재 관련 사건에 대한 45,000건 이상의 보고서를 수집하고 배포했다. 박물관 보안 네트워크의 설립자인 톤 크레머스(Ton Cremers)는 문화재 보호에 관한 전국 컨퍼런스 로버트 버크 상(Robert Burke Award) 수상자이다.
2007년에는 예술 범죄 연구 협회(ARCA)가 설립되었다. ARCA는 주로 위작 및 반달리즘, 그리고 절도와 같은 예술 범죄를 학술 주제로 부각시키는 데 전념하는 비영리 싱크탱크이다. 2009년부터 ARCA는 이 연구 분야에 전념하는 비인가 대학원 수료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예술 범죄 및 문화유산 보호 대학원 수료 과정은 매년 6월부터 8월까지 이탈리아에서 진행된다. 뉴욕 대학교를 포함한 몇몇 미국 대학에서도 미술품 절도에 관한 강좌를 제공한다.
회수
[편집]공공 영역에서는 국제형사경찰기구, 연방수사국 예술 범죄팀, 런던 광역경찰청 예술 및 골동품 부서, 뉴욕 경찰국 특별 사기반[3], 그리고 전 세계 여러 법 집행 기관들이 이러한 성격의 절도를 수사하고 도난 미술품을 회수하는 데 전념하는 "특수팀"을 운영하고 있다.
2008년 은퇴할 때까지 예술 범죄팀을 이끌었던 전 FBI 요원 로버트 킹 위트먼에 따르면, 이 부서는 유럽의 유사한 법 집행 부서에 비해 매우 작으며, FBI가 수사하는 대부분의 미술품 절도 사건은 일상적인 재산 절도를 처리하는 지역 사무소 요원들이 담당한다. 위트먼은 2010년에 "예술 및 고대 유물 범죄는 부분적으로 피해자 없는 범죄로 간주되기 때문에 용인된다"고 말했다.[11]
미술품 절도 및 회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현재 여러 비영리 및 사설 기업이 손실 정보 기록 및 회수 노력 감독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기업은 다음과 같다.
2017년 1월, 스페인 내무부는 국제형사경찰기구, 유럽 연합 법집행협력청,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아 18개 유럽 국가 경찰이 국제 미술품 밀매 네트워크에 연루된 75명을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2016년 10월에 시작된 이 범유럽 작전은 고고학 유물 및 기타 미술품을 포함한 약 3,500점의 도난 물품 회수로 이어졌다. 내무부는 회수된 물품 목록이나 체포 장소는 제공하지 않았다.[12]
1969년 이탈리아 문화유산활동관광부는 카라비니에리 예술반으로 더 잘 알려진 '문화유산 보호 카라비니에리 사령부'(Comando Carabinieri Tutela Patrimonio Culturale, TPC)를 창설했다. 1980년 TPC는 100만 점 이상의 도난 미술품 정보를 담은 레오나르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며, 이는 전 세계 법 집행 기관이 접근할 수 있다.[13]
2021년 12월, 미국 헤지펀드 억만장자인 마이클 스타인하르트는 7천만 달러 상당의 약탈 및 불법 밀수된 성유물 180점을 반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유물들은 정당한 소유주에게 반환될 것이며, 스타인하르트는 평생 동안 다른 성유물을 취득하는 것이 금지되었다.[14]
국가 절도, 전시에 약탈 및 박물관의 부당 취득
[편집]1933년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나치 정권은 판매를 목적으로 하거나 제3제국 박물관으로 옮기기 위해 미술품을 약탈하는 정책을 유지했다. 루프트바페의 수장 헤르만 괴링은 주로 유대인과 홀로코스트의 다른 희생자들로부터 훔친 수백 점의 귀중한 작품들을 직접 관리했다.
2011년 초, 제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전에 나치에 의해 도난당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술 명작 약 1,500점이 독일 뮌헨의 한 개인 가정에서 압수되었다. 이 압수 사실은 2013년 11월까지 공개되지 않았다.[15] 추정 가치 10억 달러에 달하는 이 발견은 "경이로운" 것으로 간주되며,[16]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마르크 샤갈, 파울 클레, 막스 베크만, 에밀 놀데의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분실된 것으로 여겨졌다.[17]
약탈된, 주로 근대 미술 작품은 나치가 정권을 잡았을 때 "독일적이지 않거나" 유대 볼셰비키적이라는 이유로 금지되었다.[18] 나치에 의해 작품을 강탈당한 유대인 수집가들의 후손들은 많은 작품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17] 이 미술품들의 원래 소유주 가족 구성원들은 많은 경우 전쟁 전 재산에 대한 소유권을 계속 주장해 왔다.
1964년 영화 대열차 작전은 버트 랭커스터 주연으로, 전쟁 중 프랑스에서 보호를 위해 보관되었으나 독일군에 의해 프랑스 박물관과 개인 미술품 컬렉션에서 약탈되어 기차로 독일로 운송될 예정이었던 미술품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조지 클루니가 공동 제작, 공동 각본, 감독을 맡은 또 다른 영화 모뉴먼츠 맨: 세기의 작전(2014)도 비슷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이 영화에서는 미군 병사들이 나치의 약탈로 파괴되기 전에 유럽 전역에 흩어진 백만 점 이상의 예술품과 기타 문화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구출하는 임무를 맡는다.
2006년,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장기간의 법정 다툼 끝에( 오스트리아 공화국 대 알트만 참조), 오스트리아인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의 그림 5점은 전쟁 전 소유주 페르디난트 블로흐바우어의 조카인 마리아 알트만에게 반환되었다. 이 그림 중 2점은 알트만의 이모 아델레의 초상화였다. 두 점 중 더 유명한 황금색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 I은 2006년 알트만과 공동 상속인들에 의해 자선사업가 로널드 로더에게 1억 3천 5백만 달러에 판매되었다. 당시 이 판매는 그림에 대해 지불된 최고 가격으로 알려져 있다. 나머지 4점의 원상회복된 그림들은 나중에 크리스티 뉴욕에서 1억 9천만 달러 이상에 판매되었다.
고대 유물은 종종 원산국에서 국보로 간주되기 때문에 (종종 수십 년 동안 구매국에서 전시된) 미술품이 매우 격렬하고 정치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한 가지 두드러진 예는 엘긴 대리석 조각군의 경우인데, 이는 1816년 엘긴 백작 토머스 브루스 7세에 의해 파르테논 신전에서 대영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많은 그리스 정부들이 대리석 조각군의 본국 송환을 요구해왔다.[19]
에트루리아인, 아즈텍 제국, 이탈리아의 미술 작품에 대해서도 비슷한 논란이 일어났는데, 원산국 옹호자들은 일반적으로 도난당한 유물이 국가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예일 대학교의 피바디 자연사 박물관은 히람 빙엄 3세가 마추 픽추 발굴 중에 가져간 유물의 가능한 미술품 본국 송환에 대해 페루 정부와 협상 중이다(2006년 11월 현재).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는 외국인 소유의 중국 예술품을 도난당한 것으로 간주하며 은밀한 본국 송환 노력이 진행 중일 수 있다.[20]
2006년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은 불법 유물의 많은 논란이 되는 작품들을 반환하기로 이탈리아와 합의했다. 로스앤젤레스의 게티 박물관도 이와 유사한 마리온 트루 사건에 연루되어 있다. 문제의 미술품은 그리스와 고대 이탈리아 기원이다. 박물관은 2006년 11월 20일, 논란이 되는 작품 26점을 이탈리아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게티 박물관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아프로디테 여신상은 특히 면밀한 조사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13년 1월, 국제형사경찰기구, 연방수사국 및 미국 국토안보부의 조사 끝에 캐나다 경찰은 엄청난 미술품 절도 사건으로 존 틸먼을 체포했다. 틸먼이 그의 러시아인 아내와 공모하여 20년 이상 전 세계 박물관, 갤러리, 기록 보관소 및 상점에서 최소 10,000점의 다양한 미술품을 훔쳤다는 사실이 나중에 밝혀졌다. 총액 기준으로 가장 큰 미술품 절도 사건은 아니지만, 틸먼의 사건은 도난당한 물품 수로는 역대 최대 규모일 수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로 러시아는 수만 점의 미술품을 훔쳤다.[6] 전문가들은 이것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유럽 약탈 이후 최대 규모의 미술품 절도라고 말한다.[6]
유명 사건
[편집]| 미술품 절도 사건 | 날짜 | 비고 | 참고 |
|---|---|---|---|
| 루브르 박물관 | 1911년 8월 21일 |
아마도 가장 유명한 미술품 절도 사건은 1911년 8월 21일 빈센초 페루자라는 직원이 루브르 박물관에서 모나리자를 훔친 사건으로, 그는 2년 후 붙잡혔다. |
[4] |
| 헨트 제단화 패널 | 1934년 | 15세기 헨트 제단화 중 두 패널(얀 판 에이크와 후베르트 판 에이크 형제가 그림)이 1934년에 도난당했는데, 그 중 하나는 절도 직후 회수되었다. 나머지 하나(제단화가 열렸을 때 왼쪽 아래 부분으로, 정의로운 재판관들(번역: The Just Judges)로 알려짐)는 아직 회수되지 않았다. 몸값을 요구하는 익명 편지를 보냈던 것으로 추정되는 도둑(아르센 고데르티에)이 그림의 행방을 밝히기 전에 사망했기 때문이다. | |
|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 대한 나치의 절도 및 약탈 | 1939년-1945년 |
미술품에 대한 나치의 약탈은 점령지 뢰히터 로젠베르크 특수부대에 의해 수행되었다. 점령된 프랑스에서는 파리의 죄 드 폼 국립미술관이 프랑스 전역의 박물관 및 개인 미술품 수집품에서 약탈된 미술품을 독일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과 장소로 배포하기 위한 중앙 보관 및 분류 창고로 사용되었다. 나치는 합법적인 유대인 소유주로부터 수만 점의 작품을 압수했다. 일부는 전쟁이 끝날 무렵 연합군에 의해 압수되었다. 많은 작품들이 존경받는 수집가와 기관의 손에 들어갔다. 일부 예술품의 유대인 소유권은 제네바 협약에 명문화되었다. |
|
| 퀘들린부르크 중세 유물 | 1945년 |
1945년, 미국 군인 조 미도어가 크베들린부르크 근처의 광산에서 발견된 중세 유물 8점을 훔쳤는데, 이 유물들은 1943년 나치 약탈자들로부터 지역 성직자들이 숨겨놓은 것이었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유물들은 미도어가 1980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의 소유로 남아 있었다. 그는 그것들을 팔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그의 형과 누이가 1990년에 9세기 필사본과 16세기 기도서를 팔려고 시도했을 때, 두 사람은 기소되었다. 그러나 시효가 만료되었다는 판결이 나온 후 기소는 기각되었다. |
|
|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갤러리 | 1946년 |
조지아 오키프의 그림 세 점이 그녀의 남편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의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동안 도난당했다. 이 그림들은 1975년 프린스턴 미술관이 35,000달러에 구입한 후 오키프에 의해 결국 발견되었다. 오키프는 그림 반환을 위해 박물관을 고소했고, 미술품 절도에 대한 6년의 시효에도 불구하고 주 항소 법원은 1979년 7월 그녀의 손을 들어주었다. |
|
| 덜위치 칼리지 그림 갤러리 | 1966년 12월 30일 |
옛 거장 그림 총 8점—렘브란트와 페테르 파울 루벤스 각 3점, 아담 엘스하이머와 헤리트 다우 각 1점—이 런던의 이 미술관에서 도난당했다. 이 그림들의 총 가치는 150만 파운드(당시 420만 미국 달러)로 평가되었다. 도둑들은 사용하지 않는 문에서 패널을 잘라내어 미술관에 침입했다. 모든 그림은 1967년 1월 4일까지 회수되었다. |
|
| 미시간 대학교 | 1967년 |
파블로 피카소와 헨리 무어의 스케치들이 미시간 대학교가 주최한 순회 미술 전시회에 전시 중이던 중 20만 달러 상당의 작품이 도난당했다. 스케치들은 1969년 1월 24일 캘리포니아 경매장에서 연방 요원들에 의해 결국 발견되었지만, 아무도 체포되지 않았다. |
|
| 이즈미르 고고학 박물관 | 1969년 7월 24일 |
1969년 7월 24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이즈미르 고고학 박물관에서 5백만 달러 상당의 다양한 유물과 기타 미술품이 도난당했다(이 과정에서 야간 경비원이 신원 미상의 도둑에게 살해당했다). 튀르키예 경찰은 곧 독일 시민을 체포했으며, 8월 1일 체포 당시 그의 차 안에는 도난품 128점이 있었다. |
|
| 스티븐 한 아트 갤러리 | 1969년 11월 17일 |
미술품 도둑들은 1969년 11월 17일 밤, 미술품 딜러 스티븐 한의 매디슨 애비뉴 미술관에서 메리 카사트, 클로드 모네, 카미유 피사로, 조르주 루오의 작품을 포함한 그림 7점을 훔쳤으며, 그 가치는 50만 달러로 추정되었다. 우연히도 스티븐 한은 도난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 다른 미술품 딜러들과 미술품 절도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 |
|
| 1972 몬트리올 미술관 강도 사건 | 1972년 9월 4일 |
1972년 9월 4일, 몬트리올 미술관은 캐나다 역사상 가장 큰 미술품 절도 사건의 현장이 되었다. 무장한 도둑들이 보석, 조각상, 그리고 총 2백만 달러(오늘날 약 1천9십만 달러) 상당의 그림 18점을 훔쳤는데, 여기에는 외젠 들라크루아, 토머스 게인즈버러, 그리고 희귀한 렘브란트 풍경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도둑들이 협상 시작을 위해 반환한 당시 얀 브뤼헐 더 아우더의 작품으로 알려진 작품 외에는 회수되지 않았다. 2003년 글로브 앤드 메일은 렘브란트 작품 하나만으로도 1백만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21] |
| 러스버러 하우스 | 1974년-2002년 |
고(故) 알프레드 베이트 경의 아일랜드 영지인 러스버러 하우스는 1974년 이래로 네 차례 강도를 당했다. 1974년,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구성원인 로즈 더그데일을 포함한 일당이 베이트 부부를 묶고 재갈을 물린 뒤, 약 8백만 파운드 상당의 그림 19점을 훔쳐 달아났다. 죄수들과 그림을 교환하는 거래가 제안되었지만, 그림들은 코크주의 임대 별장을 급습한 후 회수되었고, 책임자들은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1986년, 더블린의 마틴 케이힐이 이끄는 갱단이 총 3천만 파운드로 추정되는 그림 18점을 훔쳤다. 이 중 16점은 나중에 회수되었고, 2점은 2006년 현재 여전히 행방불명이다. 2001년에는 무장한 세 명의 남자가 약 3백만 파운드 상당의 그림 두 점을 훔쳤다. 이 중 하나인 토머스 게인즈버러 작품은 이전에 케이힐 갱단에 의해 도난당했던 것이다. 두 그림 모두 2002년 9월에 회수되었다. 2001년에 도난당한 두 그림이 회수된 지 불과 이삼일 만에 이 저택은 네 번째 강도를 당하여 그림 다섯 점이 도난당했다. 이 그림들은 2002년 12월 클론달킨의 한 주택 수색 중 회수되었다. |
|
| 카나카리아 모자이크와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 이후 키프로스 정교회 교회들의 약탈 | 1974년 |
1974년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과 섬 북부 지역 점령 이후 키프로스 정교회에 속한 교회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체계적인 예술품 약탈 사례 중 하나"로 묘사되는 약탈을 당했다.[22] 여러 주요 사건들이 국제적으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은 카나카리아 모자이크 사건으로, 6세기 AD 프레스코화가 원본 교회에서 제거되어 미국으로 밀매되었고, 2천만 달러에 박물관에 판매될 예정이었다. 이 모자이크들은 인디애나폴리스의 법원 소송 이후 정교회에 의해 회수되었다. |
[23][24] |
| 아비뇽 교황궁의 피카소 작품 | 1976년 1월 31일 |
1976년 1월 31일, 프랑스 아비뇽의 아비뇽 교황궁 전시회에서 피카소의 그림, 드로잉 및 기타 작품 118점이 도난당했다. |
[25][26][27] |
| L. A. 마이어 이슬람 미술 연구소 | 1983년 4월 15일 |
1983년 4월 15일, 예루살렘에 있는 L. A. 마이어 이슬람 미술 연구소에서 200개 이상의 희귀 시계가 도난당했다. 도난당한 시계 중에는 마리 앙투아네트 시계로 알려진 시계도 있었는데, 이 시계는 프랑스-스위스 시계 제작자 아브라함-루이 브레게가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의 주문으로 만든 시계 컬렉션 중 가장 귀중한 작품으로, 3천만 달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강도 사건은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강도 사건으로 간주된다. 강도 사건의 책임자는 나만 딜러였다. 2008년 11월 18일, 프랑스와 이스라엘 경찰은 프랑스 은행 금고 두 곳에서 도난당한 시계의 절반을 발견했다. 1983년에 도난당한 106개의 희귀 시계 중 96개가 현재 회수되었다. 회수된 시계 중에는 희귀한 마리 앙투아네트 시계도 있었다. 2010년, 딜러의 미망인 닐리 샴랏은 도난당한 재산 소유 혐의로 300시간의 사회봉사와 5년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
[28][29] |
| 마르모탕 모네 미술관 | 1985년 10월 28일 |
1985년 10월 28일 낮 시간 동안, 다섯 명의 복면 강도들이 박물관에 침입하여 보안 요원과 방문객들을 위협하며 그림 9점을 훔쳤다. 도난당한 작품 중에는 클로드 모네의 인상, 해돋이 (Impression, Soleil Levant)가 있었는데, 이 작품에서 인상주의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또한 모네의 "트루빌 해변의 카미유 모네와 사촌", "장 모네의 초상", "폴리의 초상", "벨-일의 어부", "네덜란드의 튤립 밭",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바위에 앉은 목욕하는 여인"과 "모네의 초상", 베르트 모리조의 "무도회장의 젊은 여인", 나루세 세이이치의 "모네의 초상"도 도난당했으며, 그 가치는 1,200만 달러로 추정되었다.[30] 이 그림들은 나중에 1990년 코르시카에서 회수되었다.[31] |
|
| 애리조나 대학교 미술관 | 1985년 11월 27일 | 박물관이 문을 열기 직전 도착한 한 커플은 10분 후 떠났다. 경비원들은 직후 빌럼 데 쿠닝의 여인-오커가 액자에서 잘려 나간 것을 발견했다. 그 커플의 스케치가 만들어졌지만, 2017년이 되어서야 뉴멕시코주의 한 골동품 딜러가 최근 사망한 여성의 집에서 그 그림을 발견하면서 수사는 진전을 보였다. 그의 고객들이 그 그림이 데 쿠닝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 후, 그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1987년에 그 그림이 도난당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박물관에 연락했고, 다음 날 박물관 직원이 그림을 가져가기 위해 왔다.[32] | |
| 이저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 | 1990년 3월 18일 |
세계 역사상 가장 큰 미술품 절도이자 사유재산 절도 사건은 1990년 3월 18일 보스턴에서 발생했다. 도둑들은 이저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에서 총 3억 달러 상당의 작품 13점을 훔쳤다. 이 작품들의 반환을 유도하는 정보에 대해 5백만 달러의 보상금이 제공되었지만, 2017년 말에 만료되었다. 현재(2024년) 박물관에서는 1천만 달러의 보상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독수리 장식물에 대해서는 별도로 10만 달러의 보상금을 제공하고 있다. 도난당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도난 그림인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콘서트 (페르메이르); 렘브란트의 그림 두 점,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그의 유일한 알려진 바다 풍경화)과 검은 옷을 입은 신사 숙녀의 초상; 렘브란트의 자화상 에칭; 에두아르 마네의 토르토니에서; 에드가 드가의 드로잉 다섯 점; 고바에르트 플링크의 오벨리스크가 있는 풍경; 고대 중국 청동기; 그리고 한때 나폴레옹 군대의 깃발 꼭대기에 있었던 장식물이다. |
|
| 절규 (국립미술관 (노르웨이)) |
1994년 2월 12일 |
1994년,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가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미술관에서 도난당하고 몸값 요구를 받았다. 같은 해 후반에 회수되었다. |
|
| 쿤스트할레 쉬른 | 1994년 7월 28일 |
1994년, 독일의 한 미술관에서 그림 세 점이 도난당했는데, 그 중 두 점은 런던의 테이트 갤러리 소유였다. 1998년, 테이트는 도둑들로부터 그림을 비밀리에 다시 사들이는 코발트 작전을 구상했다. 그림들은 2000년과 2002년에 회수되었고, 이로 인해 테이트는 이전 보험금 때문에 수백만 파운드의 이익을 얻었다. |
|
| 메이더 브라운의 토머스 제퍼슨 | 1994년 7월 28일 |
1786년 화가 메이더 브라운이 그린 토머스 제퍼슨의 초상화는 복제 준비를 위해 보관 중이던 1994년 7월 28일 보스턴 창고에서 도난당했다. 당국은 오랜 FBI 수사 끝에 1996년 5월 24일 도둑들을 체포하고 그림을 회수했다. |
|
| 카라카스 현대 미술관 (MACCSI) | 1999년-2000년 |
앙리 마티스의 1925년작 "붉은 바지를 입은 오달리스크"가 박물관에서 도난당하고 형편없는 모조품으로 대체되었다. 천만 달러 가치로 평가되는 이 작품은 2012년에 회수되어 2년 후 박물관으로 반환되었다. |
|
| 쿠퍼만 미술품 절도 사기 | 1999년 |
1999년 7월, 로스앤젤레스의 안과 의사 스티븐 쿠퍼만은 그의 집에서 파블로 피카소와 클로드 모네의 그림 두 점의 도난을 조작하여 1,750만 달러의 보험금을 받으려 한 보험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
| 브제란 토미치 | 2000년 가을 | 프랑스에서 토미치는 석궁, 밧줄, 카라비너를 사용하여 아파트에 침입하여 르누아르 두 점, 드랭 한 점, 위트릴로 한 점, 브라크 한 점 및 기타 백만 유로 이상의 가치가 있는 다양한 작품들을 훔쳤다. | [33] |
| 국립미술관 (스웨덴) | 2000년 12월 22일 |
2000년 12월 22일, 스웨덴 스톡홀름의 국립미술관 (스웨덴)에서 렘브란트 그림 한 점과 오귀스트 르누아르 그림 두 점이 도난당했다. 세 명의 무장 강도들은 근처에서 두 차례의 개별적인 차량 폭탄을 터뜨려 경찰의 주의를 분산시킨 후 박물관에 침입하여 근처에 정박해 있던 보트를 이용하여 도주했다. 2001년까지 경찰은 르누아르 그림 중 한 점을 회수했고, 2005년 3월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두 번째 그림을 회수했다. 같은 해 9월, 그들은 코펜하겐의 한 호텔에서 스팅 작전을 통해 렘브란트 그림을 회수했다. |
[34] |
| 스테판 브라이트비저 | 2001년 |
스테판 브라이트비저는 유럽을 여행하며 박물관에서 238점의 미술품과 기타 전시품을 훔쳤다고 시인했으며, 그의 동기는 방대한 개인 컬렉션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2005년 1월, 브라이트비저는 2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불행하게도 피터르 브뤼헐 더 영거, 앙투안 와토, 프랑수아 부셰, 코르네유 드 리옹의 걸작을 포함한 60점 이상의 그림들이 브라이트비저의 어머니 미레이 스탱겔에 의해 토막 나 버려졌는데, 경찰은 이것이 아들의 유죄 증거를 제거하려는 시도였다고 믿고 있다. |
[35] |
| 반 고흐 미술관 | 2002년 12월 8일 |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인 "뉘넨의 개혁교회를 떠나는 회중"과 "스헤베닝언의 바다 풍경" 두 점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반 고흐 미술관에서 도난당했다. 두 명의 남성이 절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연방수사국 예술 범죄팀은 이 두 작품의 총 가치를 3천만 미국 달러로 추정한다. 이 그림들은 2016년 9월, 폼페이 근처 카스텔람마레디스타비아에 있는 한 주택을 급습한 후 나폴리 마피아로부터 회수되었다. |
[36][37][38][39] |
| 휘트워스 미술관 | 2003년 4월 26일 | 세 작품—빈센트 반 고흐의 "집들이 있는 파리 요새", 파블로 피카소의 청색 시대 "빈곤", 폴 고갱의 "타히티 풍경"—이 4백만 파운드 상당으로 2003년 4월 27일 일요일 아침 맨체스터 휘트워스 미술관 직원들에 의해 사라진 것이 발견되었다. 이 작품들은 전날 저녁 21시부터 도난당했으며, 그레이터맨체스터 경찰청은 이를 정교한 절도 사건으로 묘사했다. 도둑들은 미술관의 경보 시스템을 우회하고 그림들을 나사에서 풀어서 뒷문으로 가져간 뒤, 철망 울타리의 구멍을 통해 현장을 빠져나갔다.
처음에는 이 세 작품이 주문에 의해 도난당했을 것이라고 추측되었지만, 4월 28일 월요일 02시 직후 경찰은 미술관에서 약 200미터 떨어진 인접한 휘트워스 공원의 폐쇄된 공중 화장실로 유도하는 익명의 999 전화를 받았다. 미술품들은 화장실에서 갈색 포스터 튜브에 말려 있었으며, 미술관의 보안을 비판하는 손글씨 메모와 함께 발견되었다. (휘트워스 미술관은 사실 2년 전에 보안 시스템을 업데이트했다.) 작품들은 경미한 손상을 입었고, 반 고흐 작품은 한쪽 모서리에 작은 찢김이 있었고, 피카소와 고갱 작품은 모두 물에 손상되었다. 그러나 모든 작품은 몇 주 안에 복원되어 대중에게 다시 공개되었다. 액자들은 회수되지 않았다. |
[40][41][42][43] |
| 절규와 마돈나 (뭉크 미술관) |
2004년 8월 22일 |
2004년 8월 22일, 또 다른 절규 원본이 뭉크의 마돈나와 함께 도난당했다. (뭉크는 절규의 여러 버전을 그렸다.) 이번에는 도둑들이 뭉크 미술관에 보관된 버전을 노렸는데, 두 그림은 영업 시간 중에 총을 들이대고 도난당했다. 두 그림 모두 2006년 8월 31일 비교적 손상되지 않은 채 회수되었다. 세 명의 남성이 이미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총을 든 도둑들은 여전히 잡히지 않았다. 잡히면 최대 8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
[44][45] |
| 노르웨이에서 뭉크 그림 도난 | 2005년 3월 6일 |
2005년 3월 6일, 노르웨이의 한 호텔에서 "푸른 드레스"를 포함한 뭉크 그림 세 점이 더 도난당했고, 다음 날 회수되었다. |
[46] |
| 빈 미술사 박물관 | 2003년 5월 11일 |
2003년 5월 11일, 벤베누토 첼리니의 살리에라가 재건축 작업으로 인해 당시 비계 (건설)로 덮여 있던 빈 미술사 박물관에서 도난당했다. 2006년 1월 21일, 살리에라는 오스트리아 경찰에 의해 회수되었다. |
|
| 헨리 무어 재단 페리 그린 | 2005년 12월 15일 |
영국 조각가 헨리 무어의 청동 조각상 "비스듬히 누운 형상 1969–70"의 작가 주조본이 2005년 12월 15일 헨리 무어 재단 페리 그린 기지에서 도난당했다. 도둑들은 너비 3.6 × 2 × 2 미터 (11.8 × 6.6 × 6.6 ft), 2.1톤의 동상을 크레인을 사용하여 메르세데스 트럭 뒤에 실은 것으로 추정된다. 절도를 수사하는 경찰은 폐품 가치 때문에 도난당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
[47] |
| 무제우 다 차카라 두 세우 | 2006년 2월 24일 |
2006년 2월 24일, 살바도르 달리의 "바다 소리를 듣는 병약한 사람", 파블로 피카소의 "춤", 앙리 마티스의 "룩셈부르크 정원", 그리고 클로드 모네의 "마린" 그림들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무제우 다 차카라 두 세우에서 도난당했다. 도둑들은 박물관 옆을 지나가는 카니발 퍼레이드를 이용하여 군중 속으로 사라졌다. 그림들은 아직 회수되지 않았다. |
[48] |
| 상파울루 미술관 | 2007년 12월 20일 |
2007년 12월 20일 새벽 5시경, 세 명의 남자가 상파울루 미술관에 침입하여 박물관에서 가장 귀중한 그림 중 두 점인 파블로 피카소의 수잔 블로흐의 초상과 칸디두 포르치나리의 "커피 농부"를 훔쳐갔다. 전체 범행은 약 3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IPHAN에 의해 브라질 국가 유산으로 등재된 그림들은[49] 2008년 1월 8일 상파울루 주 군경에 의해 페라스 지 바스콘셀루스에서 회수될 때까지 행방불명이었다. 그림들은 손상되지 않은 채 상파울루 미술관으로 반환되었다.[50][51] |
[52] |
| E.G. 뷔를레 재단 | 2008년 2월 11일 |
2008년 2월 11일, 4점의 주요 인상주의 그림이 스위스 취리히의 E.G. 뷔를레 재단에서 도난당했다. 이 그림들은 클로드 모네의 '베퇴유의 양귀비 밭', 에드가 드가의 '루도빅 레픽과 그의 딸', 빈센트 반 고흐의 피어나는 밤나무 가지, 그리고 폴 세잔의 붉은 조끼를 입은 소년이었다. 네 점의 총 가치는 1억 6천 3백만 달러로 추정된다. |
[53][54] |
| 상파울루 주립 미술관 | 2008년 6월 12일 |
2008년 6월 12일 새벽 5시 9분경, 세 명의 무장 남성이 지렛대와 차량용 잭을 사용하여 상파울루 주립 미술관에 침입하여 파블로 피카소의 '화가와 모델'(1963년)과 '미노타우로스, 술꾼과 여인들'(1933년), 에밀리아노 디 카발칸티의 '창가의 여인들'(1926년), 그리고 라자르 세갈의 '부부'(1919년)를 훔쳤다. 이는 상파울루에서 6개월 만에 발생한 두 번째 미술품 절도 사건이었다. 2008년 8월 6일, 도둑 중 한 명의 집에서 두 점의 그림이 발견되어 경찰에 의해 같은 도시에서 회수되었다. |
[55][56][57] |
| 휴브너 궁전, 부다페스트 | 2010년 2월 11일 |
2010년 2월 11일, 팔마 일 조바네의 그림 '거울을 든 비너스'의 소유주 라츠 에르제베트가 일련의 강도 사건을 신고했다. 이 과정에서 그녀의 모든 미술품 컬렉션이 도난당했다. 이 그림도 그 중 하나였다. 이 그림은 유화, 드라이 프레스코, 나무 패널이었다. 미술 박물관(Szépművészeti Múzeum) 등록 번호: 290137. | |
| 파리 시립 근대 미술관 | 2010년 5월 10일 |
2010년 5월 20일, 파리 시립 근대 미술관은 소장품 중 그림 5점이 밤새 도난당했다고 보고했다. 도난당한 그림들은 파블로 피카소의 작은 완두콩이 있는 비둘기, 앙리 마티스의 전원곡, 조르주 브라크의 에스타크 근처의 올리브나무,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부채를 든 여인 (모딜리아니), 그리고 페르낭 레제의 촛대가 있는 정물이었으며, 그 가치는 1억 유로(1억 2천3백만 달러)로 평가되었다. 도둑은 결국 브제란 토미치로 밝혀졌다. |
[58][59][33] |
| 비너스 오버 맨해튼 | 2012년 6월 19일 |
2012년 6월 19일, 살바도르 달리의 돈 후안 테노리오의 포스터가 당시 개장 한 달 된 뉴욕 시의 비너스 오버 맨해튼 갤러리에서 도난당했다. 절도 장면은 테이프에 포착되었다. 그 그림은 그리스에서 갤러리로 우편으로 다시 보내졌고, 10일간의 전시회 마지막 날에 전시되었다. |
[60][61] |
| 덜위치 공원 | 2012년 12월 19일-20일 | 바바라 헤프워스의 "두 가지 형태 (나뉜 원)" (5/6) 주조본은 1970년부터 덜위치 공원에 전시되어 있었으나, 2011년 12월 고철 도둑들에 의해 받침대에서 잘려나갔다. 이 작품은 50만 파운드에 보험에 가입되어 있었지만, 고철 가치는 아마 750파운드로 추정되었다. 사우스워크 시의회는 도둑 체포 및 유죄 판결에 이르는 정보에 대해 1,000파운드의 보상금을 제공했고, 헤프워스 재단은 보상금을 5,000파운드로 늘렸다. | [62][63][64][65][66] |
| 쿤스트할 | 2012년 10월 16일 |
2012년 10월 16일, 로테르담 박물관에서 그림 7점이 도난당했다. 도난당한 그림에는 클로드 모네의 '런던 워털루 다리'와 '런던 차링 크로스 다리', 파블로 피카소의 '하를레킨의 머리', 폴 고갱의 '열린 창문 앞의 여인', 앙리 마티스의 '흰색과 노란색을 입은 독서하는 여인', 메이어 드 한의 '자화상', 그리고 루시언 프로이드의 '눈 감은 여인'이 포함되었다. |
[67] |
| 존 틸먼 | 2013년 1월 18일 |
2013년 1월 18일, 국제형사경찰기구, 연방수사국, RCMP 및 미국 국토안보부의 광범위한 조사 끝에 캐나다 경찰은 노바스코샤 주 팔 리버 출신의 존 틸먼을 체포했다. 이 사건은 엄청난 규모였고 당국이 파일을 마무리하는 데 거의 3년이 걸렸다. 틸먼은 1만 점이 넘는 예술품을 훔친 혐의로 9년형을 선고받았다. 순수한 물량 면에서는 역대 최대의 미술품 절도 사건일 수 있다. 나중에 틸먼이 그의 러시아인 아내 및 아내의 오빠와 공모했으며, 보안 및 유지 보수 직원으로 위장하여 전 세계 박물관에 접근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여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거의 20년 동안 당국을 성공적으로 회피했던 이 세 사람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수백만 달러 상당의 유물을 훔쳤다. 틸먼과 그의 공범 아내는 고향 노바스코샤 주의 주 의회까지 습격하여 200년 된 귀중한 수채화를 훔쳐 달아났다. 그는 그림에만 집중하지 않고 희귀 서적, 조각상, 동전, 칼날 무기, 심지어 5천 년 된 이집트 미라까지 훔치는 등 미술품 절도에 다재다능했다. 대학 졸업자였던 그는 역사광이었다. |
[68] |
| 스리푸란탄 촐라 우상 | 2006년 1월 |
2006년, 약 8점의 고대 촐라 우상, 즉 나타라자르와 우마 마헤스와리, 비나야가르, 데비, 디파락스미, 찬드라세카라르, 삼판타르, 크리슈나르가 스리푸란탄의 브리하데스와라 사원에서 도난당했으며, 뉴욕 기반의 미술품 딜러 수바시 카푸르의 명령에 따라 미국으로 밀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조각상들 중 나타라자르 우상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미술관 캔버라에 510만 미국 달러에 판매되었고, 비나야가르 우상은 톨레도 미술관 오하이오에, 우마 마헤스와리 우상은 싱가포르 아시아 문명 박물관에 판매되었다. 이 스캔들은 탐사 웹사이트 Chasing Aphrodite에 의해 폭로되었고, 인도 언론에서 광범위하게 보도되었다. 호주 정부는 이 우상을 인도로 반환하기로 결정했으며, 인도 총리에게 인도되었다. 다른 박물관들도 도난당한 우상들을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
[81][82][83][84][85][86][87] |
| 프랜시스 베이컨의 마드리드 미술품 | 2015년 6월, 2016년 3월 공개 | 아일랜드 예술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그림 5점—중소형 크기이며 총 3천만 유로로 추정되는 가치—이 소유주가 부재중이던 마드리드 자택에서 도난당했는데, 이는 최근 스페인 역사상 최대 규모의 현대 미술품 절도로 정의되었다. 소유주는 화가의 마지막 연인으로, 그로부터 그림들을 상속받았다. 미술품 도둑들은 지문 하나 남기지 않고 도시에서 가장 안전하고 감시가 엄중한 지역 중 한 곳에서 어떤 경보도 울리지 않고 작품들을 가지고 달아났다.
2016년 5월, 이 사건과 관련하여 7명이 구금되었고, 이들은 현재 강도 사건을 계획한 혐의로 기소되어 보석 상태에 있다. 그러나 미술품(스페인 어딘가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됨)은 발견되지 않았다. 2017년 7월, 그림 5점 중 3점은 스페인 경찰에 의해 회수되었다. |
[88][89][90][91][92][93][94] |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미술품 절도 및 약탈 | 2022년-현재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로 러시아는 수만 점의 미술품을 훔쳤다.[6] 전문가들은 이것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유럽 약탈 이후 최대 규모의 미술품 절도라고 말한다.[6] 약탈된 장소에는 헤르손 미술관이 포함된다.[6] | |
| 그뤼네스 게뵐베 | 2019년 11월 25일 |
2019년 11월 25일 새벽, 적어도 7명의 도둑이 독일 드레스덴의 드레스덴성 내 그뤼네스 게뵐베 박물관을 털었다. 그들은 전력함을 파괴하여 전력을 차단하고 창문 주변 철제 창살에 미리 뚫어놓은 구멍을 통해 박물관의 보석실에 침입했다. 도둑들은 62캐럿 드레스덴 화이트 다이아몬드를 포함하여 100점 이상의 왕관 보석을 훔쳤다. 2025년 10월 현재, 강도 사건으로 재판 중인 6명의 남성과의 협상 끝에 31점의 물품이 회수되었다. |
[95][96] |
| 드렌츠 박물관 | 2025년 1월 25일 |
2025년 1월 25일 새벽, 일단의 도둑들이 네덜란드 아선의 드렌츠 박물관에 폭발물을 사용하여 침입하여 루마니아 국립역사박물관에서 대여한 다키아인 유물, 즉 코초페네슈티 투구를 포함한 다키아 유물들을 훔쳤다. |
[97] |
| 루브르 박물관 | 2025년 10월 19일 |
2025년 10월 19일 오전, 작업복으로 위장한 4인조 강도들이 전동 사다리가 달린 차량인 몬테-메블르(monte-meuble)를 이용해 개조 공사 중이던 루브르 박물관의 아폴론 갤러리에 침입했다. 도둑들은 원형 톱을 이용해 진열장을 부수고 프랑스 왕관 보석 8점을 훔쳤으며, 범행 후 7분 만에 스쿠터를 타고 도주했다. 2025년 10월 현재, 도둑들과 도난당한 보석들은 외제니 황후의 관이 떨어져 손상된 것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행방불명이다. |
[98][99] |
주목할 만한 미회수 작품
[편집]도난당했으며 아직 회수되지 않은 미술품 이미지들.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콘서트 (페르메이르) (c. 1658–1660)
-
렘브란트: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1633)
-
장바티스트 우드리: 하얀 오리 (1753)
-
프랑스어판]]) (1919). 파리 시립 근대 미술관에서 도난당함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무지개가 있는 풍경 (c. 1810)
-
카를 슈피츠베크: 연애편지 1845–1846 (1989년부터 실종)
-
얀 다비츠존 데 헤임 스타일: 책, 지구본, 해골, 바이올린, 회중시계가 있는 바니타스 정물화 c. 1650, 1972년 몬트리올 미술관에서 도난당함
-
티치아노 베첼리오: 거울을 든 비너스 (스케치, c. 1511
픽션에서
[편집]범죄물과 같은 장르에서는 종종 가상의 미술품 절도를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것으로 묘사하여 여러 세대의 팬들을 양성한다. 이러한 출처들은 대부분 절도에 모험적이고 심지어 영웅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그것을 업적으로 묘사한다. 문학에서 미스터리 장르의 틈새 시장은 미술품 절도와 위조에 전념한다. 영화에서는 케이퍼물이 일반적으로 복잡한 강도 계획과 시각적으로 흥미진진한 도주 장면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영화 중 상당수에서 도난당한 미술품은 맥거핀이다.[100]
문학
[편집]- 패트릭 로이어, 리사 클링크, 다이애나 렌의 『가짜 우상들』은 카이로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고대 유물 절도에 관한 스릴러이다. 이 연재 소설은 유명한 연방수사국 미술 탐정 로버트 킹 위트먼의 의견을 받아 작성되었다.
- 작가 이언 피어스는 미술사 세계의 가상의 어두운 거래를 다루는 '미술사 미스터리'라는 소설 시리즈를 쓰고 있다.
- T. C. 반 아들러의 『성 아가타의 가슴』은 초기 푸생 작품의 절도를 추적하려는 수도사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로버트 노아의 『모나리자를 훔친 남자』는 실제 절도 사건의 동기를 추측하는 역사물이다.
- 클라이브 커슬러의 『잉카 골드』는 콜럼버스 이전 예술품 절도에 관한 더크 피트의 모험 소설이다.
- 작가 제임스 트위닝은 미술품 도둑이었던 톰 커크라는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 세 편을 썼다. 세 번째 책 『황금 인장』은 다 빈치 작품, 특히 모나리자의 가상의 절도를 중심으로 한다.
- 이언 랭킨의 소설 『문을 열다』는 지루함을 느끼던 사업가가 조직한 미술품 절도를 중심으로 한다.
- 노아 샤르네의 소설 『미술품 도둑』은 역사 속 미술품 절도를 인용하며, 일부 줄거리는 팔레르모에서 사라진 카라바조의 실제 절도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 작가는 등장인물의 입을 통해 보스턴 가드너 박물관의 유명한 강도 사건 용의자 범위를 좁히는 방법에 대한 자신의 결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 블루 발리에트의 『베르메르 추적』
- 글렌 쿠퍼의 『열 번째 방』에서는 가상의 마을이 기차를 납치하여 라파엘로의 젊은 남자의 초상 (실제로는 실종됨) 등 유물들을 훔치며, 그 실종에 대한 가상의 설명을 제공한다.
- 앨리 카터의 『하이스트 소사이어티』는 헨리를 털려는 십대들을 그린 영 어덜트 픽션 소설이다.
- 만화 『에로이카에서 사랑을 담아』에서는 영국 귀족 도리안 레드, 글로리아 백작이 악명 높은 미술품 도둑 에로이카이다.
- 미술사학자 노아 샤르네의 2011년 모노그래프 『모나리자 절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을 훔친 사건에 대하여』(ARCA 출판사)는 1911년 루브르 박물관에서 모나리자가 도난당한 사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시드니 셸던의 『내일이 오면』에서는 프란시스코 고야의 그림을 훔치려는 매우 교활한 계획이 인터폴 요원에 의해 면밀히 감시되었지만 결국 성공한다.
영화
[편집]- 토프카피 (1964년)는 멜리나 메르쿠리, 막시밀리안 셸, 피터 유스티노프 주연으로, 이스탄불의 토프카피 박물관에서 에메랄드 박힌 단검을 훔치는 정교하게 계획된 절도 사건을 묘사한다.
- 백만달러의 사랑 (1966년)은 피터 오툴과 오드리 헵번 주연으로, 위조품으로 드러나는 것을 막기 위해 파리 박물관에서 가짜 첼리니 조각품을 훔치는 내용을 다룬다.
- 갬빗 (1966년 영화) (1966년), 마이클 케인과 셜리 매클레인 주연
- 원스 어 시프 (1991년), 오우삼 감독, 홍콩에서 귀중한 저주받은 그림을 우연히 발견하는 세 명의 미술품 도둑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허드슨 호크 (1991년)는 세계 지배 계획을 위해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을 훔치도록 강요받는 고양이 도둑을 중심으로 한다.
- 엔트랩먼트 (1999년)에서 보험 요원은 노년의 베테랑 도둑에게 미술품 절도 세계에 합류하도록 설득된다.
- 오션스 트웰브 (2004년)는 그림 네 점( 에드가 드가의 푸른 무희들을 포함)의 절도를 다루며, 주요 줄거리는 파베르제 달걀을 훔치는 경쟁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빈치 (2004년), 폴란드 미술품 도둑이 크라쿠프의 차르토리스키 미술관에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을 훔치기 위해 고용되고, 경찰관이 된 옛 파트너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박물관을 털어라 (2009년), 세 명의 박물관 경비원이 다른 박물관으로 옮겨진 작품에 애착을 갖게 된 후, 작품을 다시 훔쳐오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 헤드헌터 (2011년 영화) (2011년), 미술품 도둑으로도 활동하는 기업 채용 담당자가 자신의 직업 제안자 중 한 명으로부터 페테르 파울 루벤스 그림을 훔치기 위해 나선다.
- 문을 열다 (2012년), 이언 랭킨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국 TV 영화.
- 트랜스 (2013년 영화) (2013년) 미술 경매사 사이먼은 자신의 경매장에서 고야의 "공중의 마녀들" 그림을 훔치는 일에 연루된다.
-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 (1999년 영화) (1999년) 모네의 "황혼의 산 조르조 마조레" 그림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도난당하자, 1억 달러짜리 작품의 보험사들은 수사관 캐서린 배닝(르네 루소)을 파견하여 NYPD 형사 마이클 맥칸(데니스 리어리)이 범죄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 벨파고 (2001년) 이집트의 고고학 발굴지에서 희귀 유물 컬렉션이 파리의 유명한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진다. 전문가들이 레이저 스캐닝 장치를 사용하여 석관의 연대를 측정하는 동안, 유령 같은 영혼이 탈출하여 박물관의 전기 시스템으로 들어간다.
- 우먼 인 골드 (2015년), 마리아 알트만이 이모의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 I 그림을 되찾기 위한 10년간의 싸움을 다룬 역사 드라마.
- 세인트 트리니안스 (2007년), 여학생 그룹이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를 훔쳐 학교 폐쇄를 막기 위한 자금을 마련할 계획을 세운다.
텔레비전
[편집]- 화이트 칼라 (드라마) (2009년-2014년), 미술품 도둑이자 능란한 사기꾼 닐 캐프리가 FBI 요원 피터 버크와 협력하여 자신의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범죄자들을 잡는다. 그러나 시리즈가 진행되는 동안 닐은 다양한 상황에서 미술품을 계속 훔친다. 여러 시즌에 걸쳐 나치 약탈 미술품 은닉처를 둘러싼 플롯 아치가 전개된다.
- 레버리지 (2008년 드라마) (2008년-2012년), 준개혁된 범죄자들로 구성된 팀이 다른 누구도 도울 수 없는 사람들을 돕는 로빈 후드 스타일의 조직을 결성한다. 그룹의 많은 구성원들은 그들이 참여했던 다양한 미술품 절도 사건에 대한 회상을 한다. 때로는 절망적인 사람들을 돕는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미술품을 훔쳐야 한다.
- 블랙리스트 (드라마) (2013년–2023년), 미술품과 골동품(도난당했든 아니든)은 시리즈의 많은 에피소드에서 중요한 부분, 또는 중심 주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레이몬드 레딩턴은 범죄의 대가였던 시절 도난 미술품, 조각품, 동전 및 기타 많은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은 물품들을 둘러싼 많은 거래를 중개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 캣츠 아이즈 (드라마) (2024년), 파리의 세 자매가 실종된 아버지의 모든 작품을 모으고 아버지의 실종 뒤에 숨겨진 진짜 이유를 밝히려는 미술품 도둑이라는 내용의 드라마 시리즈이다.
만화와 애니메이션
[편집]- 캣츠 아이 (1981년-1985년), 실종된 아버지의 모든 작품을 수집하려는 세 자매 미술품 도둑에 대한 만화. 1983년부터 1984년까지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각색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opkins, Nick (2000년 1월 8일). “How art treasures are stolen to order”. 《The Guardian》 (London). 2016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ovzar, Chris (2015년 6월 15일). “What Happens to Stolen Art After a Heist?”. 《ClaimsJournal》. Bloomberg. 2021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Yarrow, Andrew L. "A Lucrative Crime Grows Into a Costly Epidemic," 보관됨 12월 28, 2016 - 웨이백 머신 뉴욕 타임스. March 20, 1990.
- ↑ 가 나 타임, "Stealing the Mona Lisa, 1911". Consulted on August 15, 2007.
- ↑ “Scream stolen from Norway museum”. 《BBC News》. 2004년 8월 22일. 2006년 9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Gettleman, Jeffrey; Mykolyshyn, Oleksandra (2023년 1월 14일). “As Russians Steal Ukraine's Art, They Attack Its Identity, Too”. 《뉴욕 타임스》. 2023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Skene, Cameron (September 1, 2007). “Art theft ranked as fourth-largest criminal enterprise”. 《National Post》 (Canada). March 3,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Anthony M. Amore; Tom Mashberg (2012). 《Stealing Rembrandts: The Untold Stories of Notorious Art Heists》. St. Martin's Publishing. ISBN 978-0-230-33990-3.
- ↑ Bryant, Chris. "Heritage for sale," 타임스 (London). July 17, 2007.
- ↑ Lyall, Sarah. "A Titian Is No Longer at Large; Its Thief Is," 보관됨 3월 4, 2016 - 웨이백 머신 뉴욕 타임스. September 19, 2002.
- ↑ 가 나 Kennedy, Randy, "His Heart Is in the Art of Sleuthing" 보관됨 2월 9, 2016 - 웨이백 머신, p C1, 뉴욕 타임스, June 7, 2010, retrieved same day
- ↑ Raphael Minder (2017년 1월 22일). “75 Arrested in European Crackdown on Art Trafficking”. 《뉴욕 타임스》.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How Italy's Art Crime Squad Has Protected Cultural Artifacts for Five Decades”. 2020년 1월 22일.
- ↑ Dalya Alberge (2021년 12월 7일). “US billionaire surrenders $70m of stolen art”. 《The Guardian》.
- ↑ "Report of Nazi-Looted Trove Puts Art World in an Uproar" 보관됨 7월 17, 2018 - 웨이백 머신, 뉴욕 타임스, November 4, 2013
- ↑ video: "Expert: stolen Nazi art find 'astounding'", 텔레그래프, U.K., Nov. 4, 2013
- ↑ 가 나 "Modernist art haul, 'looted by Nazis', recovered by German police" 보관됨 11월 5, 2013 - 웨이백 머신, 가디언, U.K. Nov. 3, 2013
- ↑ "Nazi art: does Germany have a problem returning art stolen by the Nazis?" 보관됨 11월 6, 2013 - 웨이백 머신, 텔레그래프, U.K., Nov. 4, 2013
- ↑ Banks, Summer (2008년 1월 25일). “Now you see it, now you don't”. 《Yale Daily News》. 200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Palmer, Alex W (2018년 8월 16일). “The Great Chinese Art Heist”. 《GQ》. 2018년 8월 17일에 확인함.
- ↑ “CBC Digital Archives, Art heist at the Montreal Museum of Fine Arts”. Archives.cbc.ca. 2010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Morris, Chris (2002년 1월 18일). “Shame of Cyprus's looted churches”. 《BBC》. 2004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Mannheimer, Steve (October 1989). 《Litigators of the lost art —court orders return of Byzantine mosaics to their homeland》. 《Saturday Evening Post》. 2015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Bourloyannis, Christiane; Virginia Morris (January 1992). 《Autocephalous Greek-Orthodox Church of Cyrprus v. Goldberg & Feldman Fine Arts, Inc》.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86. 128–133쪽. doi:10.2307/2203143. JSTOR 2203143. S2CID 147162639.
- ↑ “Picasso paintings stolen in Paris”. 《BBC 뉴스》. 2007년 2월 28일. 2010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CBC Arts (2007년 2월 28일). “Picasso works stolen from artist's granddaughter”. CBC. 2010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Chronologie – Les vols de tableaux dans des musées français”. 《Le Point》. 2010년 5월 20일. 2010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Widow of man behind fabled watch robbery convicted in U.S. court”. 《하아레츠》. 2010년 4월 3일. 2016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43 rare clocks stolen from Israel found in France”. 2010년 4월 3일.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Cook, Don (1985년 10월 28일). “9 Masterworks, 5 by Monet, Seized in Paris – Gunmen Stage "Art Theft of the Century"”.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10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The World's Greatest Art Heists”. 《포브스》. 2008년 2월 12일. 2010년 1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Rashbaum, William (2017년 9월 9일). “A de Kooning, a Theft and an Enduring Mystery”. 《뉴욕 타임스》. 2018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Halpern, Jake (2019년 1월 14일). “The French Burglar Who Pulled Off His Generation's Biggest Art Heist”. 《더 뉴요커》. 2019년 1월 9일에 확인함.
- ↑ “Stolen Rembrandt work recovered”. 《BBC 뉴스》. 2005년 9월 16일. 2010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Riding, Alan (2002년 5월 17일). “Art 'collector' arrested / Frenchman's mother accused of destroying pieces stolen from museums all over Europe”. 《San Francisco Chronicle》. 2011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Two van Gogh Works Are Stolen in Amsterdam 보관됨 3월 26, 2017 - 웨이백 머신", 뉴욕 타임스, 2002. Retrieved February 23, 2012.
- ↑ Lawrence Van Gelder, "Jail for Van Gogh Thieves 보관됨 10월 19, 2015 - 웨이백 머신", 뉴욕 타임스, 2004. Retrieved February 23, 2012.
- ↑ Van Gogh Museum Robbery 보관됨 4월 14, 2016 - 웨이백 머신, 연방수사국. Retrieved February 23, 2012.
- ↑ “Van Gogh paintings stolen from Amsterdam found in Italy”. 《BBC 뉴스》.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Tania Branigan, Rebecca Allison & David Ward (2003년 4월 28일). “Meticulous raid on gallery sees three masterpieces vanish without trace”. 《가디언》. 2019년 8월 7일에 확인함.
- ↑ David Ward (2003년 4월 29일). “Whitworth's stolen masterpieces endure a rainy night in the Loovre”. 《가디언》. 2019년 8월 7일에 확인함.
- ↑ Nigel Bunyan (2003년 4월 29일). “Paintings stolen 'in protest' found outside lavatory”. 《데일리 텔레그래프》. 2019년 8월 7일에 확인함.
- ↑ Russell Jenkins (2003년 4월 29일). “How art thieves put gallery's security in the frame”. 《타임스》. 2019년 8월 7일에 확인함.
- ↑ “Stolen Munch paintings found safe”. 《BBC》. 2006년 8월 31일.
- ↑ “Munch paintings recovered”. Aftenposten. August 31, 2006. February 19, 200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Stolen Munch art found in Norway”. 《BBC》. 2005년 3월 7일. 2007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3m Henry Moore sculpture stolen”. 《BBC 뉴스》 (BBC). 2005년 12월 17일. 2007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Monet stolen under carnival cover”. 《BBC》. 2006년 2월 25일. 2010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포르투갈어) * IPHAN – Official Note “Redirecionando”. October 19,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5, 2012에 확인함. – The paintings "O lavrador de Café", "Retrato de Suzanne Bloch" as well as the entire collection of MASP are considered Brazilian National Heritage since 1969 due to its importance to the culture of the country.
- ↑ MacSwan, Angus (December 21, 2007). “Security questioned in Picasso theft in Brazil”. Reuters. December 30, 200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Winter, Michael (2008년 1월 8일). “Stolen Picasso, Portinari recovered in Brazil”. 《USA Today》.
- ↑ “Sao Paulo's Picasso portrait pilfered”. 《데저레트 뉴스》. Associated Press. 2007년 12월 21일.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Harnischfeger, Uta; Bowley, Graham (2008년 2월 11일). “4 Masterworks Stolen by Armed Robbers in Zurich”. NY Times. 2015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JB Jun 13 – Outpost Art Blog”. 《www.outpost-art.org》. 2015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wo Picassos stolen in Brazil”. 《BBC 뉴스》. 2008년 6월 13일. 2016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hieves steal Picassos, Brazilian works from São Paulo museum”. France 24. 2008년 6월 13일.
- ↑ “Quadros recuperados devem voltar hoje para Pinacoteca”. Globo.com. 2008년 8월 7일. 2015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Hewage, Tim (May 20, 2010). “Thief Steals Paintings In Paris Art Heist”. 《Sky News》. August 26,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May 20, 2010에 확인함.
- ↑ Jones, Sam (2010년 5월 20일). “Picasso and Matisse masterpieces stolen from Paris museum”. 《The Guardian》 (London). 2010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150,000 Salvador Dali painting stolen from New York City art gallery”. MSNBC. 2012년 6월 22일. 2012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Newcomb, Alyssa (2012년 6월 30일). “Stolen Salvador Dali Drawing Mysteriously Returned by Mail”. 《ABC News》. 2013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Very grand theft: Barbara Hepworth's park sculpture is stolen for scrap metal 보관됨 12월 7, 2014 - 웨이백 머신, The Independent, December 21, 2011
- ↑ Barbara Hepworth sculpture stolen from London park 보관됨 3월 9, 2016 - 웨이백 머신, The Guardian, December 20, 2011
- ↑ Barbara Hepworth: £500k 'Two Forms' sculpture stolen by metal thieves 보관됨 12월 2, 2014 - 웨이백 머신, The Telegraph, 20 December 2011
- ↑ Barbara Hepworth sculpture stolen from Dulwich Park, BBC News, December 20, 2011
- ↑ Reward for Hepworth art stolen from Dulwich Park increased, BBC News, December 23, 2011
- ↑ Kreijger, Gilbert (2012년 10월 16일). “Dutch art heist nets works by Monet, Picasso, Matisse”. 《로이터》. 2015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Man Pulled over, Found To Be Prolific Art Thief”. 《Huffington Post》. 2013년 1월 24일. 2016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 “ICE returns stolen Charles Darwin book”. U.S. Dept. of Homeland Security. 2015년 10월 8일. 2015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Halifax-art-dealer-describes Tillmann's connections to Russia”. Global News. 2015년 3월 27일. 2016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Charlevoix The Greatest Aphrodisiac”. 2014년 5월 2일. 2016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Miller Lake and the last crusade”. 《프랭크》. January 30, 2013. December 24,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7, 2016에 확인함.
- ↑ “10 Am azing Treasure Hoards Found in Recent Years”. Listosaur.com. 2013년 2월 4일. 2015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The Toronto Standard”. 2016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 “6 people who tried to steal famous documents”. 《Mental Floss》. 2013년 5월 9일. 2015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The Collector CBC television interview”. 《유튜브》. 2016년 4월 8일. 2021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The Saga of the Canadian Museum Thief”. Brooklyn New York News Service. 2015년 10월 9일. 2017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U.S. Authorities to Return Stolen Darwin Book to Canada”. 《월스트리트 저널》. 2015년 10월 8일. 2016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The case against John Tillmann – Video”. 《The Case against John Tillmann》. 2016년 4월 8일. 2016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일에 확인함.
- ↑ “Theft report updates”.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5년 12월 4일. 2016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Mariappan, Julie (2014년 9월 11일). “Stolen Nataraja, Ardhanariswara idols return to the land of temples”. 《더 타임스 오브 인디아》 (Chennai). 2014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McDermott, Quentin; Richards, Deborah (2014년 3월 25일). “The Dancing Shiv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5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Morgan, Joyce (2014년 3월 15일). “Is the NGA's 'looted' Shiva a statue of naivety?”. The Saturday Paper. 2015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Felch, Jason (2014년 3월 10일). “Radford Speaks, Retires: Director of Australia's National Gallery Is In Denial”. 《Chasing Aphrodite: The Hunt for Looted Antiquities in the World's Museums》. 2015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Toledo Museum of Art to Return Ganesha Sculpture to India”. 《Toledo Museum of Art》. October 1,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September 30, 2015에 확인함.
- ↑ “Kapoor Acquisitions”. 《Toledo Museum of Art》. 2015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Stolen idol of Goddess Uma Maheswari to return from Singapore” (Chennai). 데칸 크로니클. 2015년 6월 15일. 2015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Magán, José María Irujo, Luis (2016년 3월 14일). “Art thieves steal five Francis Bacon paintings from Madrid mansion”. 《El País English》. 2016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oban cinco obras de Francis Bacon en la casa de su amante español en Madrid”. Abc.es. 2016년 3월 14일. 2016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Francis Bacon paintings worth £23m stolen from Madrid house”. Agence France-Presse. 2016년 3월 13일. 2017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he Guardian 경유.
- ↑ “Francis Bacon Paintings Stolen in Madrid”. 《Artnet News》. 2016년 3월 14일. 2016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oban cinco obras de Francis Bacon en la casa de su amante español en Madrid 보관됨 12월 29, 2016 - 웨이백 머신 abc.es (스페인어)
- ↑ Detienen a siete personas relacionadas con el robo de cinco obras de Francis Bacon en Madrid 보관됨 5월 29, 2016 - 웨이백 머신 elmundo.es (스페인어)
- ↑ Irujo, José María (2017년 7월 19일). “La policía recupera tres de las cinco obras de Francis Bacon robadas en Madrid” (스페인어). 《El País》. 2017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Chacon, Ivana Kottasová. “Inside the $128 million heist that shocked the world -- and the police chase that followed” (영어). 《CNN》. 2022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Dresden Green Vault robbery jewels recovered after heist” (영국 영어). 《BBC 뉴스》. 2022년 12월 17일. 202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Ancient gold artifacts stolen in Drents museum robbery”. 《NL Times》. 2025년 1월 25일. 2025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Louvre closed for the day after robbery of 'priceless' jewelry” (영어). 《르 몽드》. 2025년 10월 19일. 202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Aikman, Ian; Hagan, Rachel (2025년 10월 20일). “Everything we know about the Louvre jewellery heist”. 《www.bbc.com》. 202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Stolen (2005) - Trailers, Reviews, Synopsis, Showtimes and Cast - AllMovie”. 《AllMovie》. 2015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Boser, Ulrich (2009). 《The Gardner Heist: The True Story of the World's Largest Unsolved Art Theft》. Smithsonian. ISBN 978-0-06-053117-1. 보스턴 이저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 강도 사건에 대한 진행 중인 수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
- Connor, Myles J. (2009). 《The Art of the Heist: Confessions of a Master Art Thief, Rock-and-Roller, and Prodigal Son》. Harper. ISBN 978-0-06-167228-6.
- Cox, Steven (2017년 6월 19일). 《White-Collar Crimes In Museums》. 《Curator: The Museum Journal》 60. 235–248쪽. doi:10.1111/cura.12197.
- Dolnick, Edward (2009). 《The Rescue Artist: A True Story of Art, Thieves, and the Hunt for a Missing Masterpiece》. HarperCollins. ISBN 978-0-06-145183-6.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 도난 사건에 대한 자세한 설명.
- McShane, Thomas; Dary Matera (2007). 《Loot: Inside the World of Stolen Art》. 매버릭 하우스 출판사. ISBN 978-1-905379-37-8.
- Reit, Seymour (1981). 《The Day They Stole the Mona Lisa》. Summit Books. ISBN 978-0-671-25056-0.
- Nicholas, Lynn (1995). 《The Rape of Europa: The Fate of Europe's Treasures in the Third Reich and the Second World War》. Vintage. ISBN 978-0-679-75686-6.
- O'Connor, Anne-Marie (2012). 《The Lady in Gold: The Extraordinary Tale of Gustav Klimt's Masterpiece, Portrait of Adele Bloch-Bauer》. Alfred A. Knopf. ISBN 978-0-307-26564-7.
추가 자료
[편집]- “US agents in Memphis seize shipped ancient Egyptian artifact”. 《AP News》. 2022년 8월 27일.
- Saleen Martin (2022년 8월 24일). “Iconic Churchill portrait reported as stolen after a decoy hung in its place for months”. 《USA Today》.
- McLeave, Hugh (2003). 《Rogues In the Gallery: The Modern Plague of Art Thefts》 e-book판. Raleigh, NC: Boson Books. ISBN 0-917990-82-X.
- Acen Winnie (2022년 8월 20일). “Cambodia Claims Stolen Artifacts are at New York's Met Museum”. 《Greek Reporter》.
- 베네딕트 사보이 (2025). 욕망의 대상, 대상의 욕망. 리즈 리브레흐트 번역. 파리: 콜레주 드 프랑스. https://doi.org/10.4000/13ehc.
외부 링크
[편집]- FBI 미술품 절도 프로그램
- 예술 및 골동품 부서 – 뉴 스코틀랜드 야드
- YourBrushWithTheLaw.com – 미술품 절도 인식 증진 보관됨 11월 5, 2016 - 웨이백 머신
- www.interpol.int 국제형사경찰기구 리옹, 도난 미술품
- 미술사상 최대 규모의 강도 사건 (BBC)
- 아트 로스 레지스터 보관됨 12월 4, 2013 - 웨이백 머신
- 도난 미술품 수사 - 그 이유 AXA의 리처드 엘리스 저, 2005
-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술품 절도 사건 뒤에 숨겨진 비밀 (가드너 박물관 절도 사건)
- ARCA – 미술품 범죄 연구 협회
- 아프로디테를 쫓아서 – 최근 미술품 범죄 소식 보고
- 박물관 보안 네트워크 – 문화재 손실 및 회수 관련 소식 및 정보 온라인 정보센터
- 아델레의 소원 유명한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 I"을 포함한 구스타프 클림트의 그림 5점의 절도 및 반환을 다룬 2008년 다큐멘터리 영화.
- 반 에이크 절도 사건 1934년 헨트에서 발생한 반 에이크 절도 사건을 탐구하는 가이드 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