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기수 (작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기수
신상정보
본명 박기수
로마자 표기 Park Ki Soo
출생 1962년 3월 19일(1962-03-19)(63세)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북지2리 상사골
직업 사진작가
국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성별 남성
수상 대한민국 선정작가전 '選定作家' (2014)
배우자 송은경(1967년생)
자녀 박주선(1994년생), 박주해(1997년생)
주요 작품
기억, 2013
숲의 사유(思惟) , 2014
영향

박기수(朴基洙, 1962년 3월 19일~)는 대한민국의 사진작가이다. 그는 사진 매체의 기록성과 회화적 표현 방식을 결합한 실험적 작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신체의 떨림을 촬영 행위에 도입한 ‘Bv기법(Body Vibration Technique)’을 개발하여 사진의 표현 영역을 확장한 작가로 평가된다.[1][2]

숲의 사유(思惟) , 2014
기억, 2013

생애

[편집]

박기수 작가는 1962년 3월 19일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4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유년 시절 부모의 생계 문제로 강원도 정선 탄광촌으로 이주하였으며, 광부들과 광산의 풍경을 경험한 일이 이후 작품 세계의 주요 모티브로 자리 잡았다.[3] 1980년대 후반 석탄 산업이 쇠퇴하면서 그는 광산촌의 변화와 소멸을 사진으로 기록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시(詩) 창작과 사진을 병행하며 ‘시적 이미지(photo-poetic image)’라는 독자적 감수성을 발전시켰다.

활동

[편집]

2000년대 이후 그는 디지털 사진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을 지속하며 ‘픽토리얼리즘(Pictorialism)’의 현대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인체의 미세한 움직임과 감각을 활용해 촬영 과정 자체를 예술 행위로 확장하는 Bv기법을 도입하였다.

박기수는 사진 외에도 그래픽 디자인과 웹아트, 디지털 콜라주 등 다양한 매체를 결합한 복합 시각예술 작업을 선보였다. 그의 작품은 ‘시간의 잔상’, ‘기억의 층위’, ‘상처의 표면성’을 주제로 한 시각적 서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경력

[편집]
  • 에스엠 아티스팅 대표
  • 2017년 세종문화회관 선정작가
  • 2016년 KBS한국방송 선정작가
  • 2015년 세종문화회관 선정작가
  • 2014년 제6회 대한민국 선정작가전 선정작가
  • (주)대풍 이사 (2006~2010)
  • 고려특수개발(주) 대표이사 (2001~2006)
  • 건영특수개발(주) 공동대표 (2000~)

전시

[편집]

개인전

[편집]
연도 전시명 장소
2017 제11회 개인전[4]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6 제10회 개인전[5] KBS한국방송 본관, 서울
2015 제9회 개인전 MBC문화방송, 대전
2015 제8회 개인전 KBS대전총국, 대전
2015 제7회 개인전[6]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4 제6회 개인전[7] 루브르박물관, 파리
2014 제5회 개인전 ANC갤러리, 서울
2014 제4회 개인전 김영섭사진화랑, 서울
2013 제3회 개인전[8] 연초제조창, 청주
제2회 개인전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제1회 개인전 서울무역전시관, 서울

단체전

[편집]
  • 2018, Salon des Artistes Independants, 그랑팔레 국립대궁전, 프랑스, 파리
  • 2018. Hello New York !! 展, ABLE FINE ART NY GALLERY, 미국, 뉴욕
  • 2016, Locarno Exhibition , 로까르노 Rivellino Gallery, 스위스
  • 2016, Fukuoka Korean Art Exhibition , 후쿠오카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일본
  • 2016, Korean Wunderkammer , Fondazione Luciana Matalon, 밀라노, 이태리
  • 2016, 한국 현대미술작가초대전, Nepal Art Council, 네팔
  • 2015, Korean Artists Exhibition ,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서울
  • 2015, 한중수교 25주년 교류전 , 한전아트센터갤러리, 서울
  • 2014, Invited Exhibition by Korean Selected Artists 2014 , 한전아트센터갤러리, 서울
  • 2014, Art Island Exhibition , 인사아트센터, 서울
  • 2014, Hong Kong Contemporary Art Fair , The Excelsior Hotel, 홍콩
  • 2014, Art Gwangju 14 ‘역사적 사건과 미래적 기억 , 김대중 컨벤션센터, 광주
  • 2014, Kore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The pictures, wings’ , 예술의전당 , 서울
  • 2014,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2014 , COEX, Hall A & B, 서울
  • 2014, Gwanghwamun New sensation Exhibition ,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 2014, Bank Art Fair Exhibition , Pan Pacific Hotel, 싱가포르
  • 2013, Korea Art Space Exhibition , Gallery Galaxy, 북경, 중국
  • 2013, Christmas Party Exhibition , 경인미술관, 서울
  • 2013, Could you tell me the art of love , COOHAUS Gallery, 뉴욕, 미국
  • 2013, Kore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사진 꽃 피다’ , 인사아트센터, 서울
  • 2013, Korea Photo Festival ‘자연을 품다’ , 서울무역전시관, SETEC, 서울

작품 세계

[편집]

픽토리얼리즘의 현대적 변용

[편집]

박기수의 초기 작품은 전통적 사진의 사실성을 해체하고 회화적 질감과 조형성을 강조한 픽토리얼리즘적 경향을 보인다. 그는 수천 장의 이미지를 디지털 합성하여 하나의 회화적 화면으로 구성하며, 이를 통해 ‘기억의 시간성’과 ‘내면의 풍경’을 시각화한다.[9]

Bv기법 (Body Vibration Technique)

[편집]

그가 개발한 Bv기법은 촬영 시 신체의 진동과 떨림을 이용해 의도적인 흔들림 효과를 구현하는 독창적 촬영 방식이다. 이는 정적인 이미지를 지향하던 기존 사진의 관습을 탈피하고, 인간 신체의 불완전성과 감각적 긴장을 예술의 일부로 포섭하는 시도였다.[10]

표현적 특징

[편집]
  • 광부의 삶과 탄광촌의 잔상을 모티브로 함
  • 표면의 상처와 질감을 강조하는 회화적 사진 구성
  • 디지털 그래픽을 활용한 다층적 레이어 표현
  • 시적 언어와 시각적 이미지의 통합

수상

[편집]
  • 2014 대한민국 선정작가전 '選定作家' 수상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아카이브조선 인물정보”.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 “인물정보”.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 “[사진을 만나다] 박기수 作 '낮에 그린 사진'. 2015년 4월 16일.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4. 뉴시스 (2017년 1월 23일). “사진작가 박기수의 열한번째 개인展 '그리고 싶은 사진 이야기'.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5. “뉴시스”.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6. “뉴시스”.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7. “뉴시스”.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8. “뉴시스”.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9. 김석원, 〈사진과 회화의 경계에 선 작가〉, 《미술세계》, 2017.
  10. “뉴시스”.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