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다오스타 프랑스어
발레다오스타 프랑스어(프랑스어: français valdôtain)는 이탈리아의 발레다오스타주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의 언어변종이다.
역사
[편집]발레다오스타주는 1536년에 현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채택한 최초의 정부 기관으로, 프랑스 자체보다 3년 앞섰다.[1] 프랑스어는 1561년에 라틴어를 대체하며 발레다오스타주의 공용어가 되었다.[2] 이탈리아 통일 후 처음 실시된 1861년 인구 조사에서 93%가 프랑스어 화자라고 답했으며, 언어에 대한 질문이 포함된 마지막 인구 조사인 1921년에는 인구의 88%가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나타났다.[3] 이탈리아 왕국#파시스트 정권 (1922–1943)의 강제적인 이탈리아화 캠페인 동안 모든 프랑스어 학교와 기관이 폐쇄되고 프랑스어 화자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여 지역 내 프랑스어의 위상은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었다. 현재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는 이 지역의 공용어이며[4] 지역 정부의 법령과 법률에 사용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이탈리아어가 훨씬 더 널리 사용되며 프랑스어는 주로 지식인과 문화 행사에서 사용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재도입되었지만, 2003년에는 단 0.99%만이 표준 프랑스어를 모어로 사용한다고 보고했다. 프랑스어는 여전히 제2외국어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더 이상 일상생활의 일부로 사용되지는 않는다.[5] 2001년에는 발레다오스타 주민의 75.41%가 프랑스어 화자였으며, 96.01%가 이탈리아어를, 55.77%가 프랑코프로방스어를, 그리고 50.53%가 이 모든 언어를 안다고 답했다.[6] 학교 교육은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 모두 균등하게 제공되어 발레다오스타에서 학교를 다닌 모든 사람이 적어도 중상급 수준으로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
영향
[편집]발레다오스타 프랑스어는 프랑코프로방스어의 발도탱 방언과 때로는 이탈리아어에서 차용한 용어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보이아 방언과 발레주에서 사용되는 발레 방언과 상당히 유사하다.[7]
어휘
[편집]발레다오스타 프랑스어 | 표준 프랑스어 |
---|---|
Ape (피아지오 아페) | Tricycle à moteur |
Après-dinée | Après-midi |
Arpian | Gardien de vaches à l'alpage |
Artson | Coffre |
Assesseur | Adjoint du maire |
Bague | Chose |
Balosse | Lourdaud |
Bauze | Tonneau de vin |
Borne | Trou |
Bottes | Chaussures |
Brique | Lieu escarpé |
Briquer | Casser |
Cayon | Porc |
Chiquet | Petit verre d'alcool |
Choppe | Grève |
Crotte | Cave |
Chose | Fiancé(e) |
Couisse | Tourmente de neige |
Déroché | Tombé en ruines |
Contre-nuit | Crépuscule |
Envers | Left slope of 도이라 발테아강 |
Flou | Odeur |
Fruitier | Fromager |
Gant de Paris | Préservatif |
Garde-ville | Agent de police |
Geline | Poule |
Hivernieux | Logement de montagne |
Jaser | Parler |
Jouer (se) | S'amuser |
발레다오스타 프랑스어 | 표준 프랑스어 |
---|---|
Jube | Veste |
Junte | Administrative council |
Lèze | Cheminée |
Maison communale | Mairie |
Mayen | Seconde maison en haute montagne |
Mécouley | Gâteau |
Modon | Bâton |
Paquet | Ballot de foin |
Patate | Pomme de terre |
Pianin | Celui qui habite la plaine |
Poëlle | Cuisine |
Pointron | Rocher pointu |
Quitter | Laisser |
Rabadan | Personne de peu de valeur |
Rabeilleur | Rebouteux, guérisseur traditionnel |
Régent | Enseignant |
Savater | Donner des coups |
Solan | Plancher |
Songeon | Sommet |
Souper | Repas du soir |
Syndic | Maire |
Tabaquerie | Bureau de tabacs |
Tabeillon | Notaire |
Topié | Treille |
Troliette | Tourteau, pain de noix |
Tsapoter | Tailler le bois |
Tsavon | Tête de bétail |
Vagner | Semer |
Verne | Aulne |

숫자
[편집]프랑스 표준 프랑스어와 달리 발레다오스타 프랑스어는 다음을 사용한다.
식사
[편집]- 아침 = déjeuner
- 점심 = dinée 또는 dîner
- 저녁 = souper
참고 문헌
[편집]- (프랑스어) Jean-Pierre Martin, Description lexicale du français parlé en Vallée d'Aoste, éd. Musumeci, 콰르, 1984 (source)
- (프랑스어) Alexis Bétemps, La langue française en Vallée d'Aoste de 1945 à nos jours T.D.L., 밀라노
- (프랑스어) 쥘 브로셰렐, Le Patois et la langue française en Vallée d'Aoste éd. V. Attinger, 뇌샤텔
- (프랑스어) La minorité linguistique valdôtaine, éd. Musumeci, 콰르 (1968).
- (프랑스어) Rosellini Aldo, La francisation de la Vallée d'Aoste, dans Studi medio latini e volgari, vol. XVIII, 1958.
- (프랑스어) Keller, Hans-Erich, Études linguistiques sur les parlers valdôtains, éd. A. Francke S.A., Berne, 1958.
- (프랑스어) Schüle, Ernest, Histoire linguistique de la Vallée d'Aoste, dans Bulletin du Centre d'Études francoprovençales n° 22, Imprimerie Valdôtaine, Aoste, 1990.
- (프랑스어) Favre, Saverio, Histoire linguistique de la Vallée d'Aoste, dans Espace, temps et culture en Vallée d'Aoste, Imprimerie Valdôtaine, Aoste, 1996.
- (프랑스어) 프랑수아-가브리엘 프루타즈, Les origines de la langue française en Vallée d'Aoste, Imprimerie Marguerettaz, Aoste, 1913.
- (프랑스어) Mgr. 조제프-오귀스트 뒤크, La langue française dans la Vallée d'Aoste, Saint-Maurice, 1915.
- (프랑스어) 앙셀므 레앙, La phase initiale de la guerre contre la langue française dans la Vallée d'Aoste, Ivrée, 1923.
- (프랑스어)
- (프랑스어) 베라르, 에두아르, La langue française dans la Vallée d'Aoste : réponse à M. le chevalier Vegezzi-Ruscalla, Aoste, 1861 (rééd. 1962).
- (프랑스어) Bétemps, Alexis, Les Valdôtains et leur langue, avant-propos d'Henri Armand, Imprimerie Duc, Aoste, 197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ays d'Aoste - Une fête nationale à nous”. 《www.paysdaoste.eu》 (이탈리아어). 2015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 Langue et littérature en Vallée d'Aoste au XVIe siècle, Système Valdôtain des Bibliothèques.
- ↑ Une Vallée d'Aoste bilingue dans une Europe plurilingue, Fondation Émile Chanoux.
- ↑ Statut spécial de la Vallée d'Aoste, Article 38, Title VI, Weblink 보관됨 1월 23, 2013 - 웨이백 머신, access date: 5-11-2012.
- ↑ 《La langue française dans le monde 2014》 (PDF) (프랑스어). Nathan. 2014. 12쪽. ISBN 978-2-09-882654-0. 2015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5일에 확인함.
- ↑ Assessorat de l'éducation et la culture de la région autonome Vallée d'Aoste - Département de la surintendance des écoles, Profil de la politique linguistique éducative, Le Château éd., 2009, p. 20.
- ↑ “géographie et territoires du francoprovençal”. 《www.patoisvda.org》 (프랑스어). 2013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