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바타 반란
밤바타 반란 | |||||||
---|---|---|---|---|---|---|---|
줄루 전쟁의 여파의 일부 | |||||||
![]() 줄루족 전사들 | |||||||
| |||||||
교전국 | |||||||
줄루족의 아마존디 및 아마큐브 씨족 | |||||||
지휘관 | |||||||
던컨 맥켄지 대령 | 밤바타 카만신자 추장 | ||||||
병력 | |||||||
병사 4,316명 (민병대원 2,978명 포함)[1] | 불명 | ||||||
피해 규모 | |||||||
36명 (징집병 6명 포함)[2] | 3,000명 ~ 4,000명 사망 |
밤바타 반란(영어: Bambatha Rebellion), 또는 줄루 반란(영어: Zulu Rebellion)은 1906년에 일어난 반란으로, 음판자 계곡(현재 그레이타운, 콰줄루나탈 근처의 한 지역)에 살던 줄루족의 존디 씨족 지도자인 밤바타 카만신자(1860년경–1906년?)가 주도했으며, 다양한 경제 위기로 인해 악화된 나탈 식민지의 영국 식민 통치와 세금 부과에 반대하여 일어났다.
이 반란으로 영국군에 의해 약 3,000~4,000명의 줄루족이 살해되었고, 식민주의자들 사이에서는 백인 우월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식민지 통합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널리 퍼졌다. 이후 1910년에 남아프리카 연방이 수립되었다.
개요
[편집]
제2차 보어 전쟁 이후 몇 년 동안 나탈의 영국 고용주들은 비트바테르스란트의 금 광산과의 경쟁 심화로 인해 흑인 농부들을 고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식민 당국은 줄루족 남성들을 노동 시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기존의 움막세에 더하여 £1의 인두세(2023년 기준 £140에 해당)를 도입했다.[3] 이 세금은 매우 역진세적이었고, 가난한 가구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프리카인들이 더 광범위한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더욱 악화되었는데, 유럽인 지주들이 아프리카인 소작농들을 내쫓아 직접 농사를 지었기 때문(아프리카인 다수를 위한 작은 보호 구역들이 과밀화됨)이며, 1896~1897년 소 90%를 죽인 전염병과 같은 다양한 자연재해가 겹쳤다.[4]
줄루 국왕 디니줄루가 1898년에 정부에 의해 석방된 후, 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는 그가 아프리카 통치를 회복하고 백인 정착민들을 추방하기 위한 반란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인두세 부과는 젊은이들을 단결시키는 촉매제가 되었다. 일부 추장들과 장로들은 반란을 무효화하려고 시도했지만, 많은 이들이 반란을 지지했다.[4]
첫 단계는 인두세 징수소에서의 시위였으며, 1906년 2월 8일 두 명의 순경이 사망하면서 절정에 달했고, 계엄이 선포되었다.[4]
밤바타 추장은 가끔 나탈 식민지 행정부와 마찰을 빚었으며, 당국은 그가 다른 추장들과 함께 세금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의심했다. 그는 그레이타운으로 소환되었지만, 체포될 것을 두려워하여 참석하지 않았다. 그는 행정부가 반대 의견을 억압하려 한다는 것을 깨닫고 줄루랜드로 도피하여 디니줄루 왕과 협의했다.[5] 밤바타는 음판자 계곡으로 돌아와 나탈 정부가 자신을 추장 자리에서 해임했음을 알게 되었다.[3] 그는 소규모 지지자들을 모아 4월 3일부터 은칸들라 숲을 기지로 삼아 일련의 유격전 공격을 시작했다.[3]
6월 10일, 영국군은 모메 협곡에서 반란군과 대치하여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 해가 뜨자 영국 식민지 병사들은 기관총과 대포로 주로 아세가이(창), 놉케리(싸움용 막대기), 소가죽 방패로 무장한 반란군에게 발포했다.[3] 밤바타는 나탈 정부군에 의해 전사했다고 보고되었지만, 이 주장은 그가 모잠비크로 도피했다고 믿는 그의 지지자들에 의해 논란이 되었다.[6]
반란은 6월 13일부터 7월 11일까지 하류 투겔라 계곡에서 메세니 추장에 의해 계속되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영국군이 1906년 남은 기간 동안 모든 저항을 무차별적으로 진압했으며, 이는 단연코 가장 유혈이 낭자한 시기였다.[4]
3,000명에서 4,000명의 줄루족이 살해되었다. 7,000명 이상이 투옥되었고, 4,000명이 채찍질을 당했다. 이 전쟁으로 나탈 정부는 £883,576[7] (2023년 기준 £120,000,000에 해당)의 비용을 지출했다. 이 반란은 식민주의자들 사이에서 백인 우월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식민지 통합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널리 퍼뜨렸다. 이후 1910년에 남아프리카 연방이 수립되었다.[4]
마하트마 간디의 역할
[편집]1906년에서 1909년 사이에 인두세로 실제로 징수된 금액[8] | ||||
---|---|---|---|---|
1906년 | 1907년 | 1908년 | 1909년 | |
나탈 식민지 | ||||
£68,500 | £49,637 | £45,150 | £41,498 | |
줄루 왕국 | ||||
£7,990 | £4,267 | £3,940 | £3,520 | |
총계 | ||||
£76,490 | £53,904 | £49,090 | £45,018 |
당시 남아프리카에 있던 인도인 변호사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는 남아프리카의 인도인들이 반란 동안 줄루족에 맞서 군대의 예비군으로 대영 제국에 봉사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9] 간디는 영국 정부가 인도인들을 징집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했다. 그는 인도인들이 완전한 시민권을 주장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전쟁 노력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인도인들이 전투병으로 입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인도인 분대가 부상당한 영국군[10] 병사들을 치료하기 위한 들것 운반병 부대로 자원하겠다는 간디의 제안을 수락했다. 이 21명으로 구성된 부대는 간디가 지휘했다. 간디는 '인도인 의견' 칼럼을 통해 남아프리카의 인도인들에게 전쟁에 참여하도록 촉구했다. "정부가 낭비되고 있는 예비 병력을 깨닫기만 한다면, 그들은 그것을 활용하여 인도인들에게 실제 전쟁을 위한 철저한 훈련의 기회를 줄 것입니다."[9] 1927년 그는 이 사건을 "전쟁이 아니라 인간 사냥"이라고 썼다.[11]
기념
[편집]2006년, 반란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으며, 이 행사에서 밤바타 추장은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영웅으로 선포되었다. 또한 그의 사진이 우표에 실리고, 그의 이름을 따서 거리가 개명되었다.[3]
기념식 연설에 따르면, 참수된 시신은 실제 밤바타의 것이 아니었으며, 실제 추장은 모잠비크로 도피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 믿음은 여전히 널리 퍼져 있으며, 그의 시신이라고 주장되는 것에 대한 DNA 검사는 명확한 답변을 주지 못했다.[12]
힙합 음악 음악가 아프리카 밤바타는 밤바타와 그의 반란에서 이름을 따왔다.[13]
같이 보기
[편집]- 제1차 보어 전쟁 (1880년~1881년)
- 나탈 원주민 반란 메달 (1907년)
각주
[편집]인용
[편집]- ↑ Stuart 1913, 548쪽.
- ↑ Stuart 1913, 540쪽.
- ↑ 가 나 다 라 마 Hennop 2006.
- ↑ 가 나 다 라 마 Mahoney, Michael (2005). 〈Bhambatha Rebellion, 1906〉. Shillington, Kevin (편집).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Fitzroy Dearborn. ISBN 1-57958-245-1.
- ↑ “Chief Bhambatha kaMancinza Zondi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www.sahistory.org.za》. 201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Chief Bhambatha kaMancinza Zondi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www.sahistory.org.za》. 201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Stuart 1913, 550쪽.
- ↑ Stuart 1913, 131쪽.
- ↑ 가 나 Gandhi 1961, 175쪽, Indian Opinion.
- ↑ Gandhi, M.K. (1927).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 ↑ Gandhi 2009, 500쪽.
- ↑ Bishop 2004.
- ↑ Anon. 2017.
출처
[편집]- Anon. (2017년 6월 6일). “Afrika Bambaataa, Disc Jockey (1957–)”. 《The Biography.com website》. A&E Television Networks. 2018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Bishop, Craig (2004년 10월 11일). “DNA test fails to identify Zulu rebel prince”. 《IOL News》. 2019년 2월 23일에 확인함.
- Gandhi, Mahatma (1961) [1906]. 《Collected Works of Mahatma Gandhi》. 5 : 1905-1906. Government of India.
- Gandhi, M. K. (2009). 《An Autobiography: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The Floating Press. ISBN 978-1-77541-405-6.
- Hennop, Jan (2006년 6월 9일). “SA to mark historic Zulu rebellion”. Independent Online. 2006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Stuart, James (1913). 《A History of the Zulu Rebellion 1906: And of Dinuzulu's Arrest, Trial, and Expatriation》. London: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