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압법
보이기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5년 9월 9일) |
배압법(背押法, back-pressure method)은 캔버스의 뒷면(주로 마포·마대천)에 두터운 유성 물감을 올린 뒤 도구로 앞면으로 밀어내어, 직조 틈을 통해 표면에 물질적 요철과 흔적을 형성하는 회화적 제작 기법이다.[1][2]
명칭
[편집]‘배압(背押)’은 ‘등[背]에서 누르다[押]’는 뜻으로, 화면 뒷면에서 가압하여 앞면으로 물감을 밀어낸다는 동작적 특징을 지시한다. 한국어 기사·전시 문헌에서 한자 표기 ‘背押法’과 함께 통용된다.[3][4]
역사
[편집]배압법은 1970년대 중반 하종현이 연작 〈접합〉(Conjunction)에서 정립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으며,[5] 이후 변주와 확장을 통해 동시대 단색화 담론과 함께 다뤄져 왔다.[6]
원리와 방법
[편집]배압법은 (1) 올이 성긴 마포/마대천의 직조 간격을 활용하고, (2) 뒷면에서 두터운 물감을 가압해, (3) 앞면으로 스며 나오게 하여 입체감과 물질적 표면을 형성한다.[7][8] 관련 학술 연구는 단색화 맥락에서 배압법의 기술·미학적 함의를 논의한다.[9]
수용과 평가
[편집]국내외 미술관·언론은 배압법을 ‘전면 붓질’ 중심의 전통적 회화 관습을 전환시키는 제작 방식으로 소개해 왔다.[10][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onjunction 74-26” (영어). 《The Museum of Modern Art》.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Ha Chong Hyun (Conjunction)” (영어).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뒤에 물감 칠해 밀어내기… 젊은 하종현의 실험정신”. 《조선일보》. 2025년 2월 20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배압법’ 하종현, 단색화 거장이 되기까지”. 《뉴시스》. 2025년 2월 17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Ha Chong-Hyun 5975”. 《아트선재센터》. 2025년 2월 14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HA Chong-Hyun (Teaching materials)” (영어).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Conjunction 74-26” (영어). 《The Museum of Modern Art》.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Ha Chong Hyun (Conjunction)” (영어).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김, 연제 (2025). “한국 단색화와 하종현의 ‘배압법’ 연구”. 《문화와예술연구》.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배압법’ 하종현, 단색화 거장이 되기까지”. 《뉴시스》. 2025년 2월 17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뒤에 물감 칠해 밀어내기… 젊은 하종현의 실험정신”. 《조선일보》. 2025년 2월 20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MoMA 소장품: Conjunction 74-26(1974) – 제작법 설명[1]
- 국립현대미술관(영문) 전시 페이지 – Conjunction 공정 설명[2]
- Guggenheim 교육자료: Ha Chong-Hyun[3]
- 아트선재센터 《하종현 5975》 전시 안내[4]
- ↑ “Conjunction 74-26” (영어). 《The Museum of Modern Art》.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Ha Chong Hyun (Conjunction)” (영어).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HA Chong-Hyun (Teaching materials)” (영어).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 ↑ “하종현 5975”. 《아트선재센터》. 2025년 2월 14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