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비평
시리즈의 일부 |
번역 |
---|
![]() |
종류 |
이론 |
기술 |
지역화 |
기관 |
관련 주제 |
번역 비평(Translation criticism)은 번역된 작품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평가, 해석이다.[1] 이는 문학평론 및 번역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된 학제간 학문 분야이다. 여기에는 학생 번역본에 대한 채점 및 출판된 번역본에 대한 검토가 포함된다.[2]
개념
[편집]"번역 비평"이라는 개념 자체는 다음을 의미한다.
- 원시 텍스트와 관련하여 번역 텍스트의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등가성을 포함한 품질 평가.
- 텍스트를 번역하기 위해 번역가가 따른 절차에 대한 평가.
- 기본적으로 다음을 다루는 번역 과학의 일부:
- 번역 비평의 본질과 목표,
- 번역 비평의 문제점 고려,
- 목표에 따른 번역 비평을 위한 유효한 기준 및 절차 정의.[3]
번역 비평은 번역학 분야에 속하며 일부는 이 분야의 순수 분과보다 덜 "학술적"이라고 본다.[4] 그러나 가치 판단이 번역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주관적인 관심사가 아니라는 점이 지적된다.[5] 학자들은 명시적으로 정의되고 예시로 검증된 번역에 대한 비평인 객관적인 번역 비평의 중요성을 강조한다.[6]
개요
[편집]번역 비평의 목표 중 하나는 번역에 수반되는 미묘한 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번역가가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탐구하는 것이다. 번역 비평을 번역 이론과 별개의 연구 분야로 간주해야 하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3]
문학 번역에 종사하는 번역 전문가와 비전문가는 필연적으로 번역 품질 문제를 직면한다. 번역 비평에는 번역 평가 관행의 이름, 평가 기준 등 여러 가지 미해결 문제가 있으며, 각각은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7]
문학 텍스트는 번역으로 탐구될 수 있으며, 주로 판단하기 위함이 아니라 번역 선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석적 잠재력을 검토하여 텍스트가 원본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이해하기 위함이다. 동일한 원본 텍스트의 다른 번역본들을 비교할 때, 분석 결과는 각 번역본에 대한 가설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발산 유사성", "상대적 발산", "급진적 발산", "각색"과 같은 기준은 이러한 분석에 중요하다.[8]
이 분야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저자는 앙투안 베르만으로, 그는 번역 이론만큼 번역 비평을 위한 많은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는 자신의 모델을 분석 경로라고 불렀으며, 이는 각 분석가의 특정 목표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모든 표준화된 텍스트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는 또한 모든 번역가가 번역 과정 자체 이전에 먼저 번역 프로젝트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9]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이지만 번역 비평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튀르키예에서는 1940년 번역국의 설립 이후 튀르키예 문학 시스템이 다양한 언어의 번역을 통해 광범위하게 풍부해졌고 번역 활동은 작가, 번역가 및 비평가에 의해 평가되었다.[10] 기술 번역 연구를 위한 방법론은 기데온 투리(Gideon Toury)에 의해 제시되었다. 그는 번역가가 번역 과정에서 끊임없이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제안한다. 요약하면, 이 패러다임 내에서 작업하는 학자들은 번역이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유효한 목표 규범에 따라 기술되어야 하며 번역 이론에 의해 뒷받침되는 객관적인 번역 비평을 생성하기 위해 원본과 비교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투리 1980: 7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hat is translation criticism?”. Scientific Information Database. 2013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Translation Studies” (PDF). Routledge. 2017년 8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Zierer, Ernesto (2012). “Translation Criticism”. 세르반테스 문화원. 2017년 8월 20일에 확인함. (스페인어)
- ↑ Dinçel, Burç İdem (2012). 《Last Tape on Stage in Translation: Unwinding Beckett’s Spool in Turkey》.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6쪽. ISBN 9781443835145.
- ↑ Hermans, Theo (1985). 《The Manipulation of Literature (Routledge Revivals): Studies in Literary Translation》. Oxon: Routledge. 54쪽. ISBN 9781138794757.
- ↑ Viaggio, Sergio (2006). 《A General Theory of Interlingual Mediation》. Berlin: Frank & Timme GmbH. 263쪽. ISBN 9783865960634.
- ↑ Y. L. Shpak. “Toward Literary Translation”.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Lance Hewson. “An Approach to Translation Criticism”.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Berman's approach to translation criticism in a given example”.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Hewlett-Clarke, Daniel. “Translation Criticism”. 《dhctranslations.com》. Daniel Hewlett-Clarke.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See "A Systemic Analysis of Two Turkish Translations of Hemingway's The Old man and the Sea".
참고 문헌
[편집]- 앙투안 베르만, Pour une critique des traductions: John Donne. Paris: Gallimard, 1995. Translated into English by 프랑수아즈 마사르디에-케니 as Toward a Translation Criticism: John Donne. Kent, OH: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9.
- 발렌틴 가르시아 예브라, En torno a la traducción. Madrid, Gredos, 1983.[1]
- 피터 뉴마크, A Textbook of Translation. Chapter 17: "Translation Criticism". Prentice-Hall International, 1988. ISBN 978-0139125935
- 카타리나 라이스, Möglichkeiten und Grenzen der Übersetzungskritik: Kategorien und Kriteren für eine sachgerechte Beurteilung von Übersetzungen. Munich, Hueber, 1971. Translated into English by Erroll. F. Rhodes as Translation Criticism: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Categories and Criteria for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St. Jerome Publishing Ltd, 2000.[2]
외부 링크
[편집]- “Notes on Translation Criticism” (PDF). 발렌시아 대학교.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번역 비평
- ↑ En torno a la traducción 보관됨 2018-05-15 - 웨이백 머신 (스페인어)
- ↑ Translation Criticism - text of Katharina Reiss, translated by Erroll F. Rhodes 보관됨 2013-05-05 - archive.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