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르진스-델라헤이 방정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기화학에서 베르진스-델라헤이 방정식(영어: Berzins-Delahay equation)은 랜드레스-세브식 방정식과 유사하지만, 반응이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이고, 반응물이 용해되며, 생성물이 열역학적 활동도 1로 전극에 증착될 때 선형 전위 스캔의 피크 높이()를 예측한다.[1]

  • = 전극 표면적 (cm2)
  • = 반응물의 농도 (mol/cm3)
  • = 당량/몰당 교환된 전자의 화학량론적 수
  • = 패러데이 상수 (C/당량)
  • = 반응물의 확산 계수 (cm2/s)
  • = 스캔 속도 (V/s)
  • = 기체 상수 (J/molK)
  • = 온도 (K)

이 방정식은 핵 생성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고려할 때 매우 단순한 가정하에 도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베르진스-델라헤이 방정식은 종종 를 잘 예측한다. 이는 핵 생성 과정이 이 시점에서 해결되어 도출의 근본적인 가정이 물리적 현상과 잘 일치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잘못된 가정에 대한 수정 사항은 이용 가능하다.[2][3]

유도

[편집]

이 방정식은 다음 지배 방정식과 초기/경계 조건을 사용하여 유도된다.

  • = 시간 (s)
  • = 평면 전극으로부터의 거리 (cm)
  • = 전극의 전위 (V)
  • = 전극의 초기 전위 (V)
  • = 반응의 형식 전위 (V)
  • = 1 mol/L 또는 1 mmol/cm3의 기준 농도

용도

[편집]

베르진스-델라헤이 방정식은 주로 가역적인 증착 전기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분석 물질의 농도 또는 확산 계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정식의 적용을 검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이의 선형 관계와 에 독립적인 피크 전위()를 확인한다. 가라앉는 꼬리가 있는 급격한 환원(음전류)과 빠르게 전류가 0으로 감소하는 큰 산화 피크를 가진 증착 볼타모그램의 특징적인 모양도 반응에 용해성 반응물과 증착된 생성물이 있음을 확인하는 데 필요하다.

각주

[편집]
  1. Berzins, Talivaldis; Delahay, Paul (February 1953). 《Oscillographic Polarographic Waves for the Reversible Deposition of Metals on Solid Electrod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영어) 75. 555–559쪽. doi:10.1021/ja01099a013. ISSN 0002-7863. 
  2. Krulic, Denise; Fatouros, Nicolas; Liu, Dongya (2015년 10월 1일). 《A complementary survey of staircase voltammetry with metal ion deposition on macroelectrodes》. 《Journal of Electroanalytical Chemistry》 754. 30–39쪽. doi:10.1016/j.jelechem.2015.06.012. ISSN 1572-6657. 
  3. Rappleye, Devin S.; Fuller, Ranon G. (June 2023). 《Bringing the Analysis of Electrodeposition Signals in Voltammetry Out of the Shadow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영어) 170. 063505쪽. Bibcode:2023JElS..170f3505R. doi:10.1149/1945-7111/acd879. ISSN 1945-7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