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중국 갈등
베트남–중국 갈등은 1979년 베트남-중국 전쟁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베트남 사이에서 발생한 일련의 국경 및 해상 무력 충돌이다. 이 충돌은 베트남-중국 전쟁이 종료된 이후부터 1991년 양국 관계 정상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1979년 3월, 베트남-중국 전쟁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PLA)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중국은 베트남 영토의 "1인치도 탐내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1] 그러나 실제로는 전투 발발 이전까지 베트남이 실효 지배하던 약 60km2의 분쟁 지역을 점령하였다.[2] 랑선 인근의 우의관 주변과 같이 군사적 가치는 낮지만 상징적 의미가 큰 지역도 점령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베트남을 공격하기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군사적 중요성이 있는 고지를 점령하였다.[3]
중국의 국경 지역 점령은 베트남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양국은 해당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지속적인 국경 충돌을 벌이게 되었다. 이러한 충돌은 1988년까지 이어졌으며, 특히 1984~1985년 사이에 가장 격렬했다.[4] 1990년대 초, 베트남의 캄보디아 철수와 소련의 붕괴 등 국제 정세의 변화와 함께 양국 관계는 점차 정상화되었다. 1991년, 양국은 외교 관계 정상화를 선언하면서 국경 분쟁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배경
[편집]1979년 이후, 베트남-중국 국경에서는 1980년 6월과 10월, 1981년 5월, 1983년 4월, 1984년 4월, 1985년 6월, 그리고 1986년 10월~1987년 1월까지 적어도 여섯 차례의 충돌이 있었다. 서방 관측통들에 따르면, 이 모든 충돌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이 시작했거나 도발한 것이었다.[5] 북쪽 이웃의 또 다른 침공이 임박했다는 위협은 베트남으로 하여금 막대한 방어 병력을 구축하게 만들었다. 1980년대 동안, 약 60만[6]~80만 명[7]에 달하는 베트남 정규군과 준군사 병력이 국경 지역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맞서 약 20만[7]~40만 명[6]의 중국군이 배치되었다.
갈등 전반에 걸쳐, 베트남의 비쑤옌현은 가장 격렬한 전선이었다. 대략적인 분석에 따르면, 1980년대 중반 이 전장에서 베트남군의 일곱 개 사단 (313사단, 314사단, 325사단, 328사단, 354사단, 356사단, 411사단)과 하나의 독립 연대 (266연대/341사단 소속)가 투입되었다.[8] 중국 측에서는 일곱 개 군구의 군대가 이 지역에 교대로 파병되었는데, 이는 중국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이 전투 경험을 쌓는 것을 뜻하며 비유적으로 표현한 "호랑이 엉덩이를 건드리다"는 표현에 따른 것이다.[9] 1984년부터 1989년까지, 최소 14개 중국 야전군 (제1군, 제12군, 제13군, 제14군, 제16군, 제20군, 제23군, 제26군, 제27군, 제38군, 제41군, 제42군, 제47군, 제67군)이 교대로 이 지역 전투에 투입되었다.[8]
정규군의 사용 외에도, 중국은 베트남과 라오스 정부에 맞서 비정규전을 수행하기 위해 소수민족 저항 세력들 (특히 몽족)을 무장시키고 훈련시켰다.[10] 그러나 1985년부터 라오스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함에 따라, 중국의 반군 지원은 점차 축소되기 시작했다.[11]
각주
[편집]- ↑ Nayan Chanda, "End of the Battle but Not of the War",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6 March 1979, p. 10. Chanda quoted Chinese officials on announcement of withdrawal on 5 March 1979.
- ↑ O’Dowd, p. 91.
- ↑ Nayan Chanda, p. 10. The most symbolic part was a 300-meter section of railroad track between the Friendship Gate and the Vietnamese border post.
- ↑ Joyaux, p. 242.
- ↑ Carlyle A. Thayer, "Security Issues in Southeast Asia: The Third Indochina War", Conference on Security and Arms Control in the North Pacific,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August 1987.
- ↑ 가 나 “Chinese Invasion of Vietnam – February 1979”. Global Security.org. 2020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Li, p. 259.
- ↑ 가 나 O'Dowd, p. 101.
- ↑ Li, p. 263.
- ↑ O'Dowd, p. 70.
- ↑ Quincy, p. 441.
외부 링크
[편집]- Amer, Ramses. "Cambodia and Vietnam: A troubled relationship."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Southeast Asia. Between B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 92–110.
- Brecher, Michael; Wilkenfield, Jonathan (2000). 《A Study of Crisi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0-472-10806-9.
- Garver, John W. China's Quest: The History of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People's Republic (2018) pp 383–400.
- Hood, Steven J. Dragons Entangled: Indochina and the China-Vietnam War (ME Sharpe, 1993).
- Joyaux, François (1994). 《La Tentation impériale - Politique extérieure de la Chine depuis 1949》. Paris: Imprimerie nationale. ISBN 2-11-081331-8.
- Li, Xiaobing (2007). 《A History of the Modern Chinese Army》.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ISBN 9780813124384. 2023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3일에 확인함.
- McGregor, Charles. "China, Vietnam, and the Cambodian conflict: Beijing's end game strategy." Asian Survey 30.3 (1990): 266-283 online 보관됨 2023-03-13 - 웨이백 머신.
- O'Dowd, Edward C. (2007). 《Chinese Military Strategy in the Third Indochina War: The Last Maoist War》. New York: Routledge. ISBN 978-0203088968. 2023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
- Path, Kosal. "China's Economic Sanctions against Vietnam, 1975–1978." China Quarterly 212 (2012): 1040-1058 online 보관됨 2020-07-15 - 웨이백 머신.
- Path, Kosal. "The Sino-Vietnamese Dispute over Territorial Claims, 1974-1978: Vietnamese Nationalism and its Consequ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 8.2 (2011): 189+ online.
- Quincy, Keith (2000). 《Harvesting Pa Chay's Wheat: The Hmong and America's Secret War in Laos》.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910055-61-1.
- Reddick, Zachary N. "A Sacrifice for Chinese Unity: The Sino-Vietnamese War through Domestic Media." Southeast Review of Asian Studies 39 (2017).
- Westad, Odd Arne, and Sophie Quinn-Judge, eds. The third Indochina war: conflict between China, Vietnam and Cambodia, 1972–79 (Routledge, 2006).
- Womack, Brantly. "Asymmetry and systemic misperception: China, Vietnam and Cambodia during the 1970s."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26.2 (2003): 92–119 online 보관됨 2020-07-12 - 웨이백 머신.
- Zhang, Xiaoming (2015). 《Deng Xiaoping's Long War: The Military Conflict between China and Vietnam, 1979–199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 9781469621258. 2023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