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벨기에의 철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기에의 철도 노선도

벨기에의 철도(프랑스어: Transport ferroviaire en Belgique)는 크고 세밀한 철도망 인프라를 활용하고 있다. 유럽 대륙 최초의 공공철도 노선이 개통된 국가이며, 1835년 5월 5일 브뤼셀-알레 베르트~메헬렌 노선이 그 주인공이다. 벨기에는 국제 철도 연맹 (UIC)의 회원국이며, UIC 국가 코드는 88이다.

벨기에는 저렴한 철도 운임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벨기에 국민, 특히 학생노인에게는 지원금과 더불어 요금인하 정책이 적용된다. 이는 전국 도로망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다.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직원에게는 무료 내지는 대폭 할인된 정기권이 지급되어 통근에 활용하도록 한다. 민간기업에서도 정기권 구입에 한몫 보태는 경우가 많다. 2023년 1월부터 모든 철도역과 선로(실내외 모두[1]), 객차에서 흡연이 금지된다.

역사

[편집]
1835년 벨기에 최초로 자체 생산한 기관차 '르 벨주' (Le Belge)
브뤼셀 미디역에 정차중인 AM 08 열차

벨기에에 특정 형태의 철도나 운하를 도입한다는 구상은 183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으며, 공학자 피에르 시몽 (Pierre Simont)과 귀스타브 드 리데르 (Gustave De Ridder)의 연구로 실조사가 이루어졌다. 1835년 5월 5일 유럽 대륙 최초의 철도노선인 브뤼셀-그룬드레프/알레 베르트~메헬렌 노선이 개통되었다.

벨기에에 도입된 최초의 열차는 영국에서 수입된 스티븐슨 기관차였다. 각 기관차는 화살을 뜻하는 '페일' (Pijl), 코끼리를 뜻하는 '올리판트' (Olifant), 그리고 설계자의 이름을 따온 '스티븐슨'으로 불렸다. 이들은 벤치형 객차와 공공마차(diligence, 딜리전스)를 끌었다. 올리판트호의 경우 메헬렌에서 돌아올 떄 총 30량을 끌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1840년까지 철도 공사가 이어져 수도 브뤼셀을 비롯하여 헨트, 브뤼허, 오스텐더, 안트베르펜, 메헬렌, 뢰번이 철도로 연결되었다. 리에주, 몽스, 코르트레이크 등 남쪽 지방으로 향하는 노선은 부분완공되었다. 1843년 벨기에 국토의 주요 동서/남북 축이 완공되면서, 민간 기업의 사철 건설과 운영이 허가되었다. 이는 벨기에의 산업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870년 벨기에 국유 철도가 소유한 철도망은 총 863km에 달했으며 사철 소유 철도망은 2,231km에 달했다. 1870년~1882년에는 전국의 철도망이 점차 국유화되었다. 1912년 국가소유 철도망은 총 5,000km이었고 사철은 300km에 불과했다. 당시 완전 국유화가 검토되기도 하였으나 이것이 실현된 것은 1926년 벨기에 국철의 출범에 이르러서였다. 벨기에 국철은 SNCB(Société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belges) 또는 NMBS(Nationale Maatschappij der Belgische Spoorwegen)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는데 이는 12년 뒤 프랑스에 설립되는 프랑스 국유 철도와 같은 명명법이었다.

1935년 5월 5일, 벨기에 국철은 브뤼셀 북역에서 안트베르펜 센트랄역까지 44km 구간의 전철화를 시작하였으며, 1958년에는 전국 철도망이 완전히 국유화되었다.

철도망

[편집]

벨기에 철도의 궤간표준궤(1,435 mm (4 ft 8 12 in))를 채택하고 있다. 2018년 기준 벨기에의 전국 철도망의 총연장길이는 3,602km에 달하며,[2] 이 가운데 전철화된 구간은 3,064km에 달했다.[3] 전력공급방식의 경우 대다수 노선은 3kV DC 가공전차선 체계로 되어 있으나, 고속철도선25kV AC로 전철화되어 있다. 최근 전철화가 이루어진 리바주-구비/디낭-아투스 선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벨기에의 열차는 대체로 좌측통행이다.[4] 이는 도로 차량운행이 우측통행인 것과 대조적이며, 19세기 철도망 건설에 영국의 참여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남아 있다. 철도망의 관리와 유지보수는 인프라벨에서 맡고 있다.

인접국과의 연결

[편집]

벨기에의 인접국은 다음과 같으며, 모두 표준궤1,435 mm (4 ft 8 12 in)를 사용한다.

열차 등급

[편집]

지하철과 트램

[편집]
브뤼셀 메트로
헨트 트

지하철이 설치된 도시는 브뤼셀 (브뤼셀 메트로)이 유일하며, 트램이나 경전철이 설치된 도시는 다음과 같다.

과거 20세기 초 국립지방철도회사 (SNCV)는 여러 지방노선을 소유하였으며 도시와 마을간의 운행을 담당하였으나 철도망의 상당수가 1930년대~1980년대 버스 노선으로 전환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샤를루아와 벨기에 연안의 트램노선은 이 철도망의 흔적이다. 안트베르펜과 샤를루아 교외 지역에는 지하철을 건설할 목적으로 철로가 놓였으나 예산부족으로 폐기되고 트램이 그 일부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벨기에 연안철도 (Tramway de la côte belge)라 하여 라판 (La Pannes)에서 크노커헤이스트까지 벨기에 연안지대를 트램 노선으로 운영하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es quais 100% non-fumeurs”. 《belgiantrain.be》. 
  2. infrabel.be : [1] (2018년 2월 16일 확인).
  3. “Transports en commun par chemin de fer (1997-2010)” (프랑스어). 《SPF-Economie Statistics / FOD-Economie Statistics》. 04-03-2014에 확인함. 
  4. “interoperability - maps and facts on European interoperability issues”. 《www.bueker.net》. 2015년 10월 11일에 확인함. 
  5. “OpenRailwayMap”. 《www.openrailwaymap.org》. 2023년 10월 1일에 확인함. 
  6. “Ligne 156B : Chimay - Momignies”. 《cheminsdurail.be》. 2017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벨기에의 철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