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분할 (정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로 아일랜드 민족주의 성향의 남아일랜드 (오늘날 아일랜드)와 아일랜드 연합주의가 주류인 북아일랜드 (오늘날 영국) 사이의 분할 이후 아일랜드섬

국제 관계에서 분할(分割, Partition)은 이전에 통일된 영토를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말한다.[1]

브렌던 오리어리는 어떤 공동체가 본국으로 여기는 최소한 하나의 영토를 가로지르는 정치적 경계의 변경인 분할을 기존의 인정된 국가 내에서 발생하는 분리독립과 구별한다.[2] 아리에 둡노프와 로라 롭슨에게 분할은 민족-종교적 경계를 따라 영토를 별도의 국민국가로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다.[3]

역사

[편집]

둡노프와 롭슨은 분할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평화 구축과 거기에서 파생된 "민족성, 국가성, 시민권에 대한 새로운 대화"의 맥락에서 설명한다. 국제 연맹 위임 통치와 같은 전후 협정은 "민족 분리주의의 새로운 정치적 언어를 국가 자결권의 핵심 측면으로 장려하는 동시에 프랑스와 특히 영국의 제국적 권력의 지속과 확장을 보호하고 위장했다."[3] 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분할이 "제국적 전술에서 세계 외교의 조직 원리"로 변모했다고 주장한다.[3]

라나비르 사마다르는 특히 오스만 제국의 분할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체와 같이 경쟁하는 국가적 야망에서 비롯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분할이 중요해졌다는 점에 동의한다. 이 시점에서 민족성이 국경 제안의 주요 정당화가 되었다고 그는 주장한다.[4]

학계는 분할과 폭력을 밀접하게 연관시켰다. 아일랜드 분할의 전례를 이전 오스만 제국 영토 전반에 걸친 인구 재정착과 국가적 '다수'와 '소수'의 형성에서 추적하면서, 둡노프와 롭슨은 아일랜드 이후의 분할이 "별개의 국가로의 강제적 영토 분할뿐만 아니라 '불편한 인구'의 이동 제안"을 포함했으며, 이는 "현장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정치적 실체를 만들어 민족적으로 동질하게 만드는" 임무를 부여받은 현지 행위자에게 폭력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조한다.[3]

T.G. 프레이저는 영국이 경쟁하는 민족 집단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아일랜드 분할팔레스타인 모두에서 분할을 제안했지만, 어떤 경우에도 공동체 폭력을 종식시키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오히려 프레이저는 분할이 이러한 갈등에 "새로운 차원"을 부여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5]

마찬가지로, A. 디르크 모세스는 분할이 "소수자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분할된 단위에서 소수자 문제가 다시 나타나도록 다른 용기에 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실제 세계에서 정체성의 이질적인 현실을 무시하고 "자연스럽게 본국에 위치한 민족을 깔끔하게 지도화하려는" 그가 "신성한 지도 제작"이라고 부르는 것을 거부한다.[3]

찬성론

[편집]
  • 역사주의적 – 분할은 피할 수 없거나 이미 진행 중이다
  • 최후의 수단 – 모든 다른 수단이 실패할 경우 최악의 결과 (집단학살 또는 대규모 민족 추방)를 피하기 위해 분할을 추구해야 한다
  • 비용-편익 – 분할이 기존 국경을 변경하지 않는 것보다 갈등 감소에 더 나은 전망을 제공한다
  • 더 나은 내일 – 분할이 현재의 폭력과 갈등을 줄이고, 새로운 더 동질적인 국가가 더 안정적일 것이다
  • 엄격한 종결 – 이질성은 문제를 야기하므로 동질적인 국가가 모든 정책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2]

반대론

[편집]
  • 국가적 영토 통일성이 상실될 것이다
  • 이중국적주의와 다민족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
  • 정당한 분할의 불가능성
  • 새로운 경계선을 어떻게 그릴지 결정하기 어렵다
  • 무질서와 폭력의 가능성
  • 분할만으로는 원하는 문화 동질화로 이어지지 않는다
  • 새로운 국가 경계 내에서 발생하는 안보 문제[2]

다니엘 포즈너는 다양한 공동체를 동질적인 공동체로 분할하는 것이 공동체 갈등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경계 변화가 행위자의 인센티브를 변경하고 새로운 분열을 야기할 것이기 때문이다.[6] 예를 들어, 인도 독립운동 당시에는 무슬림과 힌두교의 분열이 가장 두드러졌을 수 있지만, 종교적으로 동질적인 힌두교 국가(인도)와 종교적으로 동질적인 무슬림 국가(파키스탄)의 탄생은 두 국가 모두에서 종교 이외의 선을 따라 새로운 사회적 분열을 야기했다.[6] 포즈너는 비교적 동질적인 국가가 많은 수의 균등하게 일치하는 민족 집단을 가진 국가보다 폭력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썼다.[7]

예시

[편집]

유럽과 중동

[편집]

그 외 지역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O'Leary, Brendan. 〈Partition〉.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Self-Determination》. Princeton University. 2024년 12월 2일에 확인함. 
  2. Brendan O'Leary, DEBATING PARTITION: JUSTIFICATIONS AND CRITIQUES 보관됨 31 10월 2019 - 웨이백 머신
  3. Dubnov, Arnie; Robson, Laura (2019). 《Partitions: A Transnational History of Twentieth-Century Territorial Separatism》.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 Samaddar, Ranabir (2005). 《Partitions: Reshaping States and Minds》. Abingdon: Frank Cass & Co. 92–124쪽. 
  5. Fraser, T.G. (1984). 《Partition in Ireland, India and Palestine》. London: Macmillan. 
  6. Posner, Daniel N. (2017년 9월 26일). 《When and why do some social cleavages become politically salient rather than others?》. 《Ethnic and Racial Studies》 40. 2001–2019쪽. doi:10.1080/01419870.2017.1277033. ISSN 0141-9870. S2CID 4507156. 
  7. Posner, Daniel N. (2003). 《The Colonial Origins of Ethnic Cleavages: The Case of Linguistic Divisions in Zambia》. 《Comparative Politics》 35. 127–146쪽. doi:10.2307/4150148. ISSN 0010-4159. JSTOR 4150148. 
  8. 노먼 데이비스. God's Playground, p. 28
  9. 스티븐 R. 턴불. Tannenberg 1410: Disaster for the Teutonic Knights p. 89
  10. Millot, Claude François Xavier. Elements of General History: Ancient and Modern p. 227
  11. Arthur Hassall. The Balance of Power, 1715–1789, p. 242
  12. "The Polish Occupation. Czechoslovakia was, of course, mutilated not only by Germany. Poland and Hungary also each asked for their share." Hubert Ripka Munich, Before and After: A Fully Documented Czechoslovak Account [1]
  13. Davies, p. 101
  14. 사무엘 레오나르드 샤프: 폴란드, 붉은 밭 위의 하얀 독수리
  15. 노먼 데이비스: God's Playground [2]
  16. 캐나다 자치령 상원 논쟁
  17. “Today in History – June 20: Mountaineers Always Freemen”. Washington, D.C.: Library of Congress. 2018년 3월 25일에 확인함. 
  18. “A State of Convenience: The Creation of West Virginia, Chapter Twelve, Reorganized Government of Virginia Approves Separation”. 《Wvculture.org》. West Virginia Division of Culture and History. 2018년 3월 25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Berg, Eiki. "Re-examining sovereignty claims in changing territorialities: reflections from ‘Kosovo Syndrome’." Geopolitics 14.2 (2009): 219-234.
  • Downes, Alexander B. "More Borders, Less Conflict? Partition as a Solution to Ethnic Civil Wars." SAIS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26.1 (2006): 49–61.
  • Fearon, James D. "Separatist wars, partition, and world order." Security Studies 13.4 (2004): 394–415.
  • Horowitz, Michael C., Alex Weisiger, and Carter Johnson. "The limits to partition." International Security 33.4 (2009): 203–210.
  • Kumar, Radha. "The Partition Debate: Colonialism Revisited or New Policies?." The Brown Journal of World Affairs 7.1 (2000): 3–11.
  • Kumar, Radha. "Settling Partition Hostilities: Lessons Learned, Options Ahead." The Fate of the Nation-state (2004): 247.
  • O'Leary, Brendan. "Debating partition: justifications and critiques." Revised version of portion of a paper presented at final conference of the Mapping frontiers, plotting pathways: routes to north–south cooperation in a divided island programme, City Hotel, Armagh, 19–20 January 2006. University College Dublin. Institute for British-Irish Studies (2006).
  • Robson, Laura. States of Separation: Transfer, Parti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
  • Sambanis, Nicholas, and Jonah Schulhofer-Wohl. "What's in a line? Is partition a solution to civil war?." International Security 34.2 (2009): 82–118.

틀:행정구역의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