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불가리아의 대외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가리아의 대외 관계는 외무부 장관이 이끄는 외교부가 관할한다. 동남유럽에 위치한 불가리아는 2004년부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2007년부터 유럽 연합(EU)의 회원국이다.[1] 불가리아는 183개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2]

불가리아는 대체로 이웃 국가들과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사회주의 정권과 민주주의 정권 모두에서 지역 내 건설적인 역할을 해왔다. 지역 안정 증진을 위해 불가리아는 1996년 7월, 동남유럽 외무장관 회의를 주최했으며, 1995년 11월에는 흑해 협력에 관한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회의를 개최하였다. 또한 불가리아는 1996년 알바니아에서 열린 남부 발칸반도 국방장관 회의에 참여했으며, 동남유럽 협력 이니셔티브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15년 창설된 동유럽 NATO 회원국의 하위 협의체인 B9 형식에도 불가리아는 참여하고 있다. 북마케도니아는 역사적, 민족적, 문화적 유대 관계로 인해 불가리아의 대외 및 대내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각국별 대외 관계

[편집]

아시아

[편집]

대한민국

[편집]

대한민국과 불가리아 간의 외교 관계 수립은 1990년 3월 23일에 시작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불가리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만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냉전 이후에는 대한민국과도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불가리아는 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3][4], 대한민국은 소피아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5][6]

유럽

[편집]

그리스

[편집]

그리스와 불가리아의 관계는 1950년대 이후 매우 우호적이며, 이는 양국 간의 강한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유대 덕분이다. 20세기 초반에는 양국 간에 격렬한 적대 관계가 존재했으나, 이후 관계가 개선되었다. 불가리아가 1876년 독립한 이후, 그리스와 불가리아는 세 차례의 주요 전쟁에서 서로 맞섰다. 이 전쟁들은 제2차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 기간 동안 불가리아는 잠시 그리스 북부 일부를 점령하기도 했다.

불가리아는 아테네에 대사관을, 테살로니키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그리스는 소피아에 대사관을, 플로브디프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양국은 모두 유럽 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유럽 평의회의 정회원국이다.[7][8]

러시아

[편집]

불가리아는 모스크바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보시비르스크, 예카테린부르크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9]

러시아소피아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루세바르나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10]

러시아는 불가리아를 최초로 승인한 국가이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불가리아 독립 전쟁에서 큰 도움을 주었다.

튀르키예

[편집]

각주

[편집]
  1. Bechev, Dimitar (2020년 7월 20일). “Living on the Periphery: Bulgaria's Geopolitics Reconsidered”. 《Southeastern Europe》 (영어) 44 (2): 157–176. doi:10.30965/18763332-04402003. ISSN 0094-4467. S2CID 225573088. 
  2. Gerasymchuk, Sergiy (2019). “Bucharest Nine: looking for cooperation on NATO's eastern flank?” (PDF). Friedrich Ebert Foundation. 1–10쪽. 
  3. Bulgarian embassy in Seoul 보관됨 7월 8, 2015 - 웨이백 머신
  4. “МВнР :: Корея, Сеул, Посолство на Република България”. 
  5. South Korean embassy in Sofia 보관됨 3월 13, 2013 - 웨이백 머신
  6. “주 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7. “Country profiles”. 《european-union.europa.eu》 (영어). 2022년 7월 21일에 확인함. 
  8. NATO. “Member countries”. 《NATO》 (영어).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 
  9. “Министерство на външните работи”. 《Министерство на външните работи》. 
  10. “Russian embassy in Sofia”. 2009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