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불안-몰입 애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안-몰입 애착(Anxious-preoccupied attachment)은 여러 심리적 대인관계적 문제와 연관지어져 왔다. 예를 들어, 연구를 통해 불안-몰입 애착이 아동기 정서적 학대(emotional abuse)와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와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1]

특성

[편집]

불안-몰입 애착 유형 소유자는 관계에서의 친함(closeness)과 친밀함(intimacy)에 대한 강한 욕구를 특성으로 하지만, 이들은 애착 대상 인물(attachment figure)의 이용가능성과 반응성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이 높다는 것을 경험하기도 한다.[2] 이런 애착 유형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모델과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모델과 연결되며, 이는 관계에 대한 몰입과 유기공포(fear of abandonment)를 일으킨다.[3]

불안-몰입 애착 유형은 정서적 단서(emotional cue)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타인에게서 고통 강도(pain intensity)와 불쾌함(unpleasantness)을 더 많이 감지하는 경향이 있다.[4] 이는 자신의 "참자기(actual-self)" 특질을 타인에 대한 인식에 투사(projection)하기 때문일 것이다.[5] 이들은 특히 치료사와의 관계가 강하지 않으면, 치료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걱정이 더 크고, 치료 중 가장 최근에 울었던 에피소드로부터 긍정적인 결과를 덜 감지하는 경향이 있다.[2]

불안-몰입 애착 유형은 자기관이 부정적이고 타인관은 변덕이 심하거나 분열(splitting)되어 있는데, 이는 대인관계에서의 기능부전(interpersonal dysfunction)에 기여할 수 있다.[6]

불안-몰입 애착 유형은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는 기회가 더 많아, 자신의 느낌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높아지게 된다.[7] 이들은 자기 침묵 전략(self-silencing strategies)에 의존하고, 특히 친한 사이에서 부정적 감정 표현을 자제할 것이다.[8]

원인

[편집]

불안-몰입 애착 유형은 사회적 평가 과업 동안 편도체(amygdala) 활성화가 증가된 것을 근거로, 정서적으로 유의미한 사회적 단서(social cue)에 대한 각성(vigilance)이 높아져 있다는 것과 관련되어 왔다.[9] 이는 애착 대상 인물의 이용가능성과 반응성에 관하여 과도하게 걱정하는 경향에 기여한다.

연구

[편집]

부모 양육 연구에서는 불안-몰입 애착 유형 부모가 안정 애착 유형 부모에 비하여 적대적 성향은 보다 많으면서도 애정 성향은 낮다는 것을 밝혔다.[10]

연령차에 있어, 연구는 나이 많은 성인은 상대적으로 어린 성인에 비하여 몰입형 애착 수준이 낮다고 밝혀졌다.[1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Frias, Alvaro; Palma, Carol; Farriols, Núria; Gonzalez, Laura; Horta, Anna (2016). “Anxious adult attachment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영어). 《Personality and Mental Health》 10 (4): 274–284. doi:10.1002/pmh.1348. ISSN 1932-863X. PMID 27604841. 
  2. Genova, Federica; Zingaretti, Pietro; Gazzillo, Francesco; Tanzilli, Annalisa; Lingiardi, Vittorio; Katz, Michael; Hilsenroth, Mark (March 2021). “Patients' crying experiences in psychotherapy and relationship with working alliance, therapeutic change and attachment styles.” (영어). 《Psychotherapy》 58 (1): 160–171. doi:10.1037/pst0000339. ISSN 1939-1536. PMID 33856858. 
  3. Pan, Yangu; Zhang, Dajun; Liu, Yanling; Ran, Guangming; Teng, Zhaojun (2017년 3월 1일). “The effects of attachment style and security priming on the perception of others' pain” (영어).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4 (2): 184–208. doi:10.1177/0265407515627509. ISSN 0265-4075. 
  4. Katz, Michael; Ziv-Beiman, Sharon; Rokah, Nurit; Hilsenroth, Mark (2022). “Crying in psychotherapy among Israeli patients and its relation to the working alliance, therapeutic change and attachment style” (영어).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22 (2): 439–457. doi:10.1002/capr.12458. ISSN 1746-1405. 
  5. Pan, Yangu; Zhang, Dajun; Liu, Yanling; Ran, Guangming; Teng, Zhaojun (2017년 3월 1일). “The effects of attachment style and security priming on the perception of others' pain” (영어).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4 (2): 184–208. doi:10.1177/0265407515627509. ISSN 0265-4075. 
  6. Choi-Kain, Lois W.; Fitzmaurice, Garrett M.; Zanarini, Mary C.; Laverdière, Olivier; Gunderson, John G. (November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Attachment Styles, Interpersonal Dysfunction,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미국 영어).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7 (11): 816–821. doi:10.1097/NMD.0b013e3181bea56e. ISSN 0022-3018. PMID 19996719. 
  7. Wearden, Alison J.; Lamberton, Naomi; Crook, Nicola; Walsh, Victoria (2005년 3월 1일). “Adult attachment, alexithymia, and symptom reporting: An extension to the four category model of attach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8 (3): 279–288. doi:10.1016/j.jpsychores.2004.09.010. ISSN 0022-3999. PMID 15865953. 
  8. Winterheld, Heike A. (2016). “Calibrating Us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the Relationship Context: An Attachment Perspective” (영어). 《Journal of Personality》 84 (3): 369–380. doi:10.1111/jopy.12165. ISSN 1467-6494. PMID 25643648. 
  9. Vrtička, Pascal; Andersson, Frédéric; Grandjean, Didier; Sander, David; Vuilleumier, Patrik (2008년 8월 6일). “Individual Attachment Style Modulates Human Amygdala and Striatum Activation during Social Appraisal” (영어). 《PLOS ONE》 3 (8): e2868. Bibcode:2008PLoSO...3.2868V. doi:10.1371/journal.pone.0002868. ISSN 1932-6203. PMC 2478709. PMID 18682729. 
  10. Kim, Do Hoon; Kang, Na Ri; Kwack, Young Sook (2019년 1월 1일).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According to Parental Adult Attachment Style” (영어).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0 (1): 17–25. doi:10.5765/jkacap.180014. ISSN 1225-729X. PMC 7289495. PMID 32595316. 
  11. Segal, Daniel L.; Needham, Tracy N.; Coolidge, Frederick L. (2009년 9월 1일). “Age Differences in Attachment Orientations among Younger and Older Adults: Evidence from Two Self-Report Measures of Attachment” (영어).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9 (2): 119–132. doi:10.2190/AG.69.2.c. ISSN 0091-4150. PMID 19960862.